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숙영-
dc.contributor.author권정민-
dc.creator권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77-
dc.description.abstract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미술교육은 장르와 매체뿐만 아니라 각 교과 간의 경계를 넘어 학습자의 실제적인 삶과 연관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미술교육은 시각과 관련된 모든 문화양상을 포함하는 시각문화예술로써, 우리 삶 전체와 연결되는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는 타 교과들 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교교육에서 미술과 한국사, 화학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다음과 같은 목적 및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의 감상영역과 한국사교과, 화학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미술작품 비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고등학교 학생들에 있어서 발달단계에 따른 감상교육과 의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과지식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 감상과 관련된 각 교과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미술, 한국사, 화학교과를 통합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 창원에 위치한 S여자고등학교 1학년 4학급 13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은 총 8차시(각50분)에 걸쳐 이루어 졌다. 한국사, 화학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은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를 제재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주제와 부합되는 이론과 방법으로 학습하였다. 실험집단은 조선시대 도자기와 조선시대의 시대사회적 배경 및 기술과학적 수준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을 위하여 1-2차시에는 한국사와 미술 통합 수업으로 조선시대 도자기의 역사적 탄생 배경과 미술사적 의의를 알아보았으며 3차시에는 산화-환원의 화학적 원리 학습을 통해 화학적 변화에 따른 조선시대 도자기의 제작원리를 학습하였다. 4-5차시는 백자제작을 위한 표현학습으로 청화안료의 사용법과 농담 조절법을 학습하고, 전통문양을 이용하여 청화기법으로 백자를 제작하는 표현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6-7차시에는 작품비평을 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를 종합적인 관점으로 해석하고 비평하는 비평학습지를 작성하였다. 마지막 8차시에는 지금까지의 수업을 정리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학습한 내용을 종합정리하고, 지필평가 및 수업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미술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백자 만들기 표현수업과 작품의 비평학습, 지필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연구결과물은 SPSS win 19.0 Program을 이용하여 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 감상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학업성취도와 비평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도자기 감상지도방안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학업 성취도에서 각 교과영역인 미술, 한국사, 화학교과 모든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증진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도자기 감상 지도방안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평능력의 하위요소인 내용구성의 적절성, 조선시대 도자기 이해도, 조선시대 도자기의 조형적 특징이해도, 시대사회적 맥락에서 작품비평의 타당성, 가치판단의 논리성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를 감상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 감상 지도방안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표현영역의 하위요소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비슷한 점수를 받음으로써 교과통합을 통한 감상지도방안이 표현력의 향상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 도자기 감상 지도방안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을 종합적으로 감상하고 비평하는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미술과 한국사 혹은 미술과 과학 영역과의 통합뿐만 아니라 미술과 여타 여러 교과들과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에 대하여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자료로써 의의를 갖는다. 또한 교과통합을 통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이 학업성취도와 작품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과통합형 지도방안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으로 교과통합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이 미래의 학습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안으로써 교육적 성과를 나타내고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e fine arts education is being emerged the necessity that will need to be integrated by associating with learner's actual life beyond the subject-based boundary as well as genre and medium. Also, the fine arts education is the visual culture art of including all the cultural aspects related to sigh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inclusive education, which is connected with the whole of our life, can be said to be greater than other curricular subject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through the integrative approach of fine arts with Korean history and chemistry subjects and carried out a research with the following objective, procedure, and metho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influence of integrative approach in the appreciation sphere of fine arts subject with Korean history subject and chemistry subject up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ability of criticizing art work.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it examined about significance, necessity, and type of inclusive education course and about appreciation education, significance, contents, and method in high school students. And, it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each subject in relation to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curricular subject based on this, and prepared the teaching guidance plan, which integrated fine arts, Korean history, and chemistry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mposed of 134 students for 4 classes in the 1st grade of S Girls' High School where is located in Changwon of Gyeongnam. A class was formed over totally 8 instructional units(50 minutes, respectively). Fine arts appreciation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integrative approach with Korean history and chemistry subjects was selected the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as material. The experimental group was learnt with theory and method of satisfying the topic of this study.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1st-2nd instructional units examined the background of historical birth and the significance in art history for the ceramics in Joseon period as the fine arts inclusive class with Korean history aiming at a prior learning for understanding the ceramics in Joseon period and the historical & social background and technical & scientific level in Joseon period. The 3rd instructional unit learnt the principle of making ceramics in Joseon period according to a chemical change through learning the chemical principle of oxidation-reduction. The 4th-5th instructional units learnt the usage and the shading control method in Cheonghwa(靑華) pigment as the expression learning for making a white porcelain, and progressed the expression instruction of making a white porcelain with Cheonghwa(靑華) technique by using traditional pattern. After this, the 6th-7th instructional units learnt a method of criticizing a work, and prepared the critical learning paper of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Finally, the 8th instructional unit generally arranged the learnt contents in order to arrange and evaluate instruction so far and carried out paper test, teaching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The control group was progressed the traditional fine arts class and was performed the expression instruction of making a white porcelain, critical learning of a work, and paper test same as the experimental group. To elicit the finding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whethe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pplication in instruction of appreciating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ritical 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with application of traditional instruction, by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a plan of gui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was indicated to show the higher promotion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fields of fine arts, Korean history, and chemistry subjects, which correspond to each of curricular sphere, in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a plan of gui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received high score in all the fields on the appropriateness in content construction, the understanding about ceramics in Joseon period, the understanding about ceramics formative feature in Joseon period, the validity of criticizing a work in the historicalsocial context, and the logicality in judging value, which are sub-elements of critical ability,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higher in ability of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a plan of gui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received the similar score to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fields on the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formative element & principle, and expression material & tool, which are sub-elements of expression sphere. Thus, the plan of guiding appreciation through subject integration was indicated to have no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in expressive ability. In conclusion, the plan of guiding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had influence upon the improvement i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improvement in ability of generally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 work based on the learnt contents. This study suggested positive direction on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plan between fine arts and other several subject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fine arts with Korean history or of fine arts with science sphere. It has significance as its material. Also, there is significance in having verified educational effects of a guidance plan in the subject integration typ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lan for guiding appreciation of fine arts through subject integration. Even in the future, the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 for this field are desired to lead to what a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shows educational outcome as the more effective and significant teaching-learning plan for future learners and is positively applied to the school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6 A. 통합교육의 이해 6 1. 의미와 필요성 6 2. 유형 9 B. 고등학교 미술 감상교육의 이해 12 1. 발달단계에 따른 감상교육 12 2. 감상교육의 의의 14 3. 감상교육의 내용과 방법 16 C. 교과지식을 통한 조선시대 도자기 이해 20 1. 미술 20 2. 한국사 34 3. 화학 38 Ⅲ.미술, 한국사, 화학교과의 통합 미술 감상 수업의 실제 49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49 1. 연구의 대상 49 2. 연구의 절차 50 B. 연구도구 52 1. 수업도구 52 2. 평가도구 73 C. 자료처리 80 Ⅳ.연구결과 및 논의 82 A. 연구결과 82 1. 학업성취도 평가 82 2. 비평능력평가 85 3. 실기평가 88 4. 만족도 조사 90 B. 연구 논의 91 Ⅴ. 결론 95 참 고 문 헌 98 부록 102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545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과통합을 통한 조선시대 도자기 감상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 미술, 한국사, 화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Plan for Appreciation Guidance of Ceramics in Joseon Period through Subject Integration : Focused on Fine Arts, Korean History, and Chemistry for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Kwon, Jeong Min-
dc.format.pagex, 1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