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근주-
dc.contributor.author민경희-
dc.creator민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5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rvey music teachers to examine the state of music education for alternative middle schools.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selects five special alternative middle schools, one alternative middle school that is accredited, and three alternative middle schools that is not accredited. For the schools that are included in the study,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ir curricular, student makeups, and music education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survey instrument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Dong Yun Kim (2007), Hyun Sook Kim (2007), and Min Sun Kim (2007). The method of analysis is descriptive statics,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long with additional analysis as needed. In addition, the course syllabi provided by music teacher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ctual course structures and content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Music education for alternative middle schools has diverse teaching areas and hiring process is based on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and congruence to schools' teaching philosophy system rather than teachers' specialized areas or teacher certifications. Music education for alternative schools has a diverse teaching areas and teaching methods. Music education from no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is more creative and has more diverse course materials than special alternative schools. Furthermore, no-accredited schools have more frequent course coverages and utilized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for music teachers is to make music a part of student's daily life. Teachers feel most gratified when students participate eagerly in musical activities and engaged in self improvement and teachers design their music educations advance these objectives. Teaching methods consist of self-engagement and team work approach which coincide with alternative school's teaching philosoph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Music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ontinuously improve and diversify their classroom teachings. Teachers need to mentor their students and engage in such activities as, '1 Day Travel with Teacher' and 'Project with Teacher.' Teachers need to fully utilize cultural organizations, participate with other alternative schools, and group presentations. And to compensate for heavy work loads,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onsider offering 'Recharge Day for Teacher' and 'Classroom for Pre-School Children of Music Teachers.';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분야 중학교(이하, 대안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수업 계획서를 통해, 현재 대안 중학교 과정의 음악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있었으나, 대안 중학교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그러므로 현재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수업 실태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대안학교에서 음악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를 논하는데 기반이 된다. 이에 이 연구는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대안 특성화 중학교 5학교와 학력이 인정되는 대안 중학교 1학교, 비인가형태의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대안학교 3학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교의 교육특징과 특성화 된 수업내용, 학생 현황, 음악 교과 현황 등은 홈페이지와 자료 등을 중심으로 문헌 조사하였다. 학교의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는 김동연(2007), 김현숙(2007), 김민선(2007)의 석사학위 논문에서 실시한 설문을 재구성한 것이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수치화가 가능한 설문 문항에 대해서는 백분율(%)로 분석을 하였다. 질적인 분석이 가능한 문항에 대해서는 응답의 내용을 요약하여 분석하거나 그대로 실었다. 또한 연구 대상학교의 음악교사들에게 제공 받은 수업 계획서를 통해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실제 수업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대안 중학교의 음악 교육과정은 다양한 교과영역으로 편성되어 있고, 교사 임용에 있어서 교사가 갖고 있는 음악교육 철학과 학교 이념과의 연관성 등이 전공이나 교원자격증 유무 사항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대안 중학교 음악 수업은 다양한 수업내용과 방법을 도입하여 시도하고 있었다. 특성화 중학교보다는 비 인가형 대안학교에서 창의적이고 활동이 다양한 수업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성화 학교에 비해 비인가형 학교는 수업 시수나 편제가 넉넉하게 확보되어 있어서 방법 면에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안학교 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육 목적은 생활화에 있다. 음악시간에 학습하거나 활동한 것을 학생 개인의 삶으로 발현시키는 모습을 볼 때 가장 보람을 느끼며, 그런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수업을 모색하고 있었다. 교육 방법은 체험 중심, 공동체 학습을 강조하여 대안학교가 추구하는 지향점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대안학교 음악교사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수업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한다. 음악교사 혼자서 지속적인 연구와 아이디어를 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대안학교 음악교사들 간의 온라인, 오프라인 모임을 갖도록 한다. 학생과의 소통이나 수업 시간 내 통제의 어려움을 위해 교사와 학생이 멘토링을 하며 ‘1일 여행’이나 ‘교사와 함께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문화예술 단체를 적극 활용하고, 타 학교과 동아리 발표회 등을 가져 문화 예술에 노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과다한 업무 가운데 있는 교사를 위한 복지 차원에서 ‘교사 충전의 날’을 제정하거나, ‘미취학 교직자녀 돌봄교실’을 운영한다. 대안학교는 다양한 가치와 교육을 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안교육의 중심에서 가장 많은 고민을 하며 학생들과 얼굴을 마주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더불어 이 연구가 대안 향후 중학교에서의 음악 수업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내용 3 C.연구의 제한점 4 D.선행 연구 고찰 4 E.용어의 정의 7 Ⅱ.이론적 배경 8 A.대안교육과 대안학교 8 B.대안학교의 등장배경 10 C.대안학교 교사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들 12 D.우리나라 대안 교육 현장의 분류 15 E.우리나라 대안학교의 법제화 19 Ⅲ.연구 방법 22 A.연구대상 및 방법 22 B.연구절차 22 Ⅳ.대안분야 중학교 음악과 수업 실태 26 A.A학교 27 B.B학교 36 C.C학교 39 D.D학교 41 E.E학교 44 F.F학교 48 G.G학교 54 H.H학교 59 I.I학교 65 J.대안 중학교 음악 교육 현황 분석 70 Ⅴ.연구 결과 73 A.설문지 결과표 및 문항분석 73 Ⅵ.결론 및 제언 112 1.결론 112 2.제언 115 참고문헌 118 부록 122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71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안 분야 중학교 과정의 음악 교육 실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Music Education for Alternative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Min, Kyoung Hee-
dc.format.pagexiii,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