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저소득층을 위한 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만족도조사

Title
저소득층을 위한 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만족도조사
Other Titles
The Study into the Development Status and Satisfaction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Students
Authors
김효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는 2011년 공공기관 및 기업체에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음악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및 현황을 고찰하고, 참여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태도와 실태, 만족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수혜를 받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은 초등학교 4학년 이상으로 제한하여 설문의 신뢰도를 높였다. 설문 문항 내용은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 발행한 ‘한화 예술더하기’ 사업의 효과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 통계분석, 카이스퀘어검정,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관련 문항의 평균점수가 5점 만점 기준에서 4.07점으로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극적인 수업 참여 자세와 재참여 의도에서 각각 4.14점, 4.12점과 같이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가장 바라는 점에 관한 질문에 ‘악기를 더 많이 배우고 싶다’, ‘다른 악기를 배워보고 싶다’는 의견이 다수 있어, 다양한 악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관련 음악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일부 기관에 의해 조사되었으므로, 전체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참여자들에 대한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대체로 상당히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저소득층을 위한 음악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꾸준한 지원과 관심을 통해 일회성으로 그치지 말고, 장기적인 사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는 음악프로그램 복지 사업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 교사 선발에 있어서 실력 있고,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를 많이 활용함으로써 전문가 중심의 음악교육 계획 및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저소득층 아동들의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한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정부와 민간의 활발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가의 경제력뿐만 아니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음악교육의 수준도 한층 더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인해 우울한 정서와 상대적 박탈감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음악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마음을 심어주고, 문화경험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research seeks to invigorate th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students in a twofold approach: First, by studying the types, contents, and current status of such programs, and second, by surveying the reality, satisfaction and attitudes of participati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56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are eligible for such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elementary students from 4thgrade or abov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he survey questions were taken from and improved upon the data from the research paper by Korea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into the effects of the "Hanwha Arts Plus" program.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as appropriate for each survey questions. The results reveal a considerab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rograms, scoring 4.07 out of 5 on average. In particular, the high scores of 4.14 on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4.12 on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indicate a very positive student reac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 feedback included responses such as "I would like to learn more about an instrument" and "I would like to learn other instruments", suggesting that the future of the programs lie in diversification of instruments. As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the institutions that focuses on providing such music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one must be careful no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other music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ting students, however, were, on average, considerably satisfied with the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to invigor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low-income families. First, the programs must evolve into long-term projects with steady support and interest from the community. Second, more active research must be performed into the effectiveness of music welfare programs. Third,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improved by recruiting skillful and qualified teachers. Fourth, in order to encourage the program participation of low-income children, such programs must be promoted via diverse channels, along with active support from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Despite the high quality of music education that accompanied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refinement of public lifestyle, low-income families are left deprived of emotions and other positive outcomes of such advancement. Such low-income families must be provided with easy access to and ample opportunities for music education to promote positivity and diversity of cultural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