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 불안과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 불안과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Science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도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중에 ‘기초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이라는 항목이 있다. 또 최근에는 창의성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확산적 사고와 함께 자기신뢰감도 포함되어 있는 창의적 성향까지를 창의적 인재가 갖추어야 할 특성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자기 신뢰감은 자기 효능감의 구성 요소인 자신감과 연관된다고 보고 이것을 과학과목과 관련 지어 과학과목에서의 과학 불안과 자기 효능감에 대해서 알아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느끼는 과학 불안과 자기 효능감을 학교 급별, 성별, 영재교육기관의 교육 여부에 따라 집단 별로 조사하고 그 차이와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각 집단에 따른 교수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5, 6 학년에 재학 중인 272명의 학생과 중학교 1, 2 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84명으로 모두 456명이다. 집단 별로 과학 불안의 하위요소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근원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고 서로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검사결과는 SPSS WI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느끼는 과학 불안이 초등학생보다 높았다(p<.001).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집단이 영재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이 없는 집단의 학생에 비해 과학 불안이 낮았다(p<.001). 두 집단의 학생이 개인적 특성에서 가장 높은 과학 불안을 나타내었다. 또 두 집단에서 성별에 따른 과학 불안을 보면 하위 요소별로 차이는 있으나 여학생의 과학 불안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지 못한 집단에서는 과학 불안의 하위요소 중 수업상황은 p>.05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학학습내용(p<.001), 과학실험수행(p<.05), 과학평가와 학생의 개인적 특성(p<.01)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집단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생의 개인적 특성 불안이 더 높은 것(p<.05)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하위요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초등학생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중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 집단이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 집단보다 자기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p<.001).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근원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영역은 생리적 상태이다.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자기 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근원 항목에서 남, 여 성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셋째, 과학 불안과 자기 효능감은 r=-.710(p<.01)의 부적 상관을 보이며 과학 불안 하위요소 중 과학평가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생리적 상태에서 r=-.663(p<.01)의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가지는 과학 불안의 하위요소를 보면 전체 학생과 초등, 중등에서는 r=-.656(p<.01)을 나타내는 과학학습내용이며, 영재교육기관에서의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는 r=-.632(p<.01)를 나타내는 개인적 특성, 영재교육기관에서의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는 r=-.643(p<.01)을 나타내는 과학평가이다. 이와 같이 과학 불안과 과학적 자기 효능감을 학교 급, 집단, 성별에 따라 알아보고 하위요소의 항목을 분석하여 과학 불안을 낮춤으로써 과학적 자기 효능감을 높여 학생의 과학 능력에 대한 신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items of human character driven by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re is an item of ‘the person who shows his creativity with a new idea and challenge on a basis of fundamental ability'. Also, the scholars who study on creativity consider a creative propensity having a self-confidence with the divergent thinking as a quality that the creative person should have. In this sense, this study defin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to relatively examine the science anxiety and self-efficacy in the science subje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any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anxiety and self-efficacy th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feel in order to improve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class, gender and the status of education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The study subject is 272 students who are in the 5th,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184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1st, 2nd grade, that is, totally 456 students. For each group,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the subfactors of science anxiety and the source of scientific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correlation. The study findings were analys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nalytic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p<.001). In the sub factors of science anxiety, the group of having an education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generally showed a lower science anxiety than the group which didn't(p<.001). The students of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science anxiety in the individual nature. And as to the science anxiety by the gender, the group of no experience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showed no difference in a class setting as p>.05, but it turned out that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anxiety than male students in the contents of science class(p<.001), science experiment performance(p<.05), science assessment, and student's individual nature(p<.01). In the groups of having an education in the educations center for the gifted, th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anxiety of student's individual nature(p<.05) than male students, while another subfacto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Second, the scientif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p<.001). The group of having an education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showed a higher self-efficacy than the group which didn't(p<.001). The physiological condition is the area that showed the highest point among the sources of scientific self-efficacy. As to the self-efficacy of group of no experience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t was higher in the males than females(p<.001). The physiological condition turned out to be high in both genders. The group of having an education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both genders in the items of the scientific self-efficacy source(p>.05). Third, the science anxiety and self-efficac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of r=-.710(p<.01), and it ha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of r=-.663(p<.01) in the science assessment and physiological condition of self-efficacy. As to the subfactor of science anxiety hav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ientific self-efficacy, it is the contents of science class that reflects r=-.656(p<.01) in all studen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in case of the group of no experience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t is the individual nature that reflects r=-.632(p<.01), and in the group of having an education in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t is the science assessment that reflects r=-.643(p<.01). Thus, it is important to make students have a self-confidence for their scientific abi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reduction of the science anxiety by analyzing the item of sub-factors after identifying the science anxiety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chool class, group and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