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양옥남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Even in this country in which the family ties are strong and the status of the aged is firmly established, as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has become modernized, the status of the aged has been degrading and the caregiving function of the family has been weakening. Consequently the stresses of the aged and their family, in its quantity and quality has much worsened than before.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in Korea have experienced a great deal of stresses as the status of the aged has been degraded and the caregiving function of the family has been weakened. In particular, the aged in low-income families are overburdened by stresses, since their family members hav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o make their living and consequently, the aged have to fulfill their need of dependency by themselves. Meanwhile, the supporters in low-income also provide appropriate care-services for the aged. Furthermore, the supporters not only have to provide care-giving for the aged but also have to play other roles such as economic activity, housekeeping, childbearing and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at kinds of stresses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suffered respectively and what kinds of coping strategies they adopted. To put is concretely, it aimed at 1) verifying dimensions, affecting factors and the difference of dimensions of stress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experienced respectively, 2) verifying types, affecting factors and the difference of adopting the coping strategies to alleviated or relieve stress, 3) comparing-analysis of stress the aged and the supporters experienced and the coping strategies they adopted in such cases, 4) providing socio-political coping strategies to relieve stress of both the aged and the supporters. For this study, 398 of the aged of 60 years old and over their supporters who resided in a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 in Seoul city were chosen by purposive sampling and were interview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used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1) ques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the aged, supporters and family, 2) questions for stresses of the aged and supporters, 3) questions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of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s by SAS statistics package after coding and data-correcting proc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dimensions of stress experienced by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were classified as that of depression, loss of self-confidence, alienation and dissatisfaction were not found, while the dimension of depression of the aged was largely depended on the living cost of the family, the expected income of the aged. The dimension of the loss of self-confidence was determined by the expected income of the aged, monthly living cost of the family, the degree of harmonization of the family and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pporters. The dimension of the depression of the supporters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pporters, monthly living cost of the family, the expected income of the supporters. Meanwhile the dimension of alienation was determined by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pporters, the level of education and age of the aged. The dimension of depression was influenced y the health condition of supporters themselves. The dimensions of stress of the aged determined by these precedent factors showed differences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s for the dimension of depression of the aged, female aged indicated higher depression than male aged, And the depression degree of the aged wh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dimensions of the loss of self-confidence, alienation and dissatisfac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cratic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s for marital status, all 4 dimensions of stress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nly dimension that showed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pporters was that of depression; 1) female supporters indicated higher depressio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2) supporters who had spouses showed the lowest level of stress and supporters without spous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tress, 3) suppor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showed higher level of stress than those in economic activities. The coping strategies for both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adopted to cope with stress events consisted of 3 dimensions, that is, aggressive coping, negative coping and positive coping.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s of adopting coping strategies, the degree of adopting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was more likely to be determined by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aged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family economic status by aged. B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egative and positive coping strategies were not confirmed. The degree of adopting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of supporters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factors which were directly related with the aged such as age, monthly income of the aged, and also was influenced by the age of the supporters. The degree of adopting coping strategies of the aged and supporter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aged, their coping strateg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sex or marital status. In terms of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dopted positive strategies more often than those who did not.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of supporters who divorces tended to adopt less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and more positive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supporters who did not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tended to adopt more negative coping strategies. As for sex of supporters,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degree of adopting coping strategies. Each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and showed differences in adopting coping strategies responding to the coping strategies of their counterpart, 1) As supporters adopte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the aged utilized negative coping strategies, 2) As supporters adopted negative coping strategies, the aged tended to utilize positive strategies. As the aged suffered depression and loss of self-confidence, they tended to adopt positive coping strategies. As the level of the alienation became severs, they tended to adopt both positive an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As the dissatisfaction of the aged became higher, the aged tended to adopt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while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goes down, they tended to adopt negative coping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dimensions of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 became, the more they tended to adopt positive coping strategies.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became, the more they utilized negative coping strategies. As for supporters, regardless of the dimensions of stress, they tended to adopt negative coping strategies as the level of the stress they experienced increased. But as the level of depression, loss of self-confidence and dissatisfaction increased, they adopte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while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became to be higher, they adopted aggressive coping strategies while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became to be higher, they adopter positive aggressive strategies more often. Based on these major findings, linkage system among three subjects for welfare-government, family and individual ? must be firmly established and all of these three subjects should make efforts to alleviated the stresses of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unequal redistribution of income through the expansio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of life protecting program relieve economic, time, social and psychological burdens of supporting the aged by managing self-supporting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community care. And people are encouraged to future plan for their old years when they are in their middle aged. Also the aged and their supporters should be helped to learn elf-control methods to relieve the stress they are now experiencing. The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synthesizing the processes and structures of stresses. The buffer effect of social support, factors directly related with supporting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strata/area should also be conducted;가족간의 유대가 튼튼하고 노인의 지위가 확고한 가족전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사회구조가 근대화 됨으로 인하여 노인의 지위가 하락되고, 가족의 노인부양기능 또한 약화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과 부양자가 갖는 스트레스는 양과 질 면에서 이전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저 소득층 가족의 노인은 가족성원의 대부분이 생계유지를 위한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신체 및 정신적 기능의 약화로 인하여 야기된 의존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 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일반 노인층에 비하여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저소득층 가족의 부양자 역시 노인 부양에 필요한 물질적 기반이 취약하여 노인에게 적절한 보호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데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클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생계유지를 위한 경제 활동, 가사, 자녀양육 및 교육 등 여러 역할들을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역할과중현상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 인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과 부양자 각각이 어떠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를 경감 또는 해소하기 위하여 어떠한 대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1. 노인과 부양자 각각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차원, 영향요인 그리고 스트레스의 수준차이를 검증하고, 2. 스트레스를 경감 또는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대처방안의 유형, 영향요인 그리고 활용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3. 노인과 부양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그리고 이에 반응하여 사용하는 대처방안을 비교분석하여 4.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영구임대 아파트단지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과 부양자 398명을 유의집표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는 1. 노인, 부양자, 가족의 특성과 자원에 관한 질문, 2.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질문, 3.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및 자료수정 작업을 거쳐 SAS통계 페케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과 부양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차원은 우울, 자신감 상실, 소외감, 불만감이라는 4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노인들이 경험하는 소외감, 불만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발견되지 않은 반면 우울수준은 가족의 월 생활비, 노인의 희망수입에 의하여 결정되며, 자신감 상실의 차원은 노인의 희망수입, 가족의 월 생활비, 가족화목도, 부양자의 건강상태의 영향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부양자의 우울수준은 부양자 자신의 건강상태와 연령, 가족의 월 생활비, 노인의 희망수입의 영향에 의해, 자신감 상실수준은 부양자의 건강상태, 가족의 월 생활비, 부양자의 희망수입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리고 소외감 수준은 부양자의 건강상태, 노인의 교육수준, 노인의 연령에 의해, 불만감 수준은 부양자 자신의 건강상태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선행요인들에 의해 결정된 노인의 스트레스 수준은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우울수준은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에 비하여 높았고,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하여 높았다. 하지만 자신감 상실, 소외감, 불만감 수준은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결혼상태에 따라서는 4가지 스트레스 차원 모두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차원은 우울 뿐이었는데, 1. 여성 부양자가 남성부양자에 비하여 우울수준이 높고, 2. 유배우자인 부양자의 우울수준이 가장 낮고 사별한 부양자의 우울수준이 가장 높으며, 3.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부양자들의 우울수준이 더 높았다. 노인과 부양자가 스트레스 사건에 대처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대처방안은 공격적 대처, 소극적 대처, 그리고 적극적 대처라는 3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처방안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면, 노인의 공격적 대처방안의 활용도는 노인의 교육수준, 노인의 주관적인 가족경제 사정에 대한 평가라는 변인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지만. 소극적 대처와 적극적 대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부양자의 공격적 대처방안 활용도는 노인의 연령, 노인의 월 수입 등 주로 노인과 관련된 변인의 영향에 의하여, 그리고 부양자의 연령도 함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소극적 대처방안 활용도는 가족생활비의 영향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었으며, 적극적 대처방안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노인과 부양자의 대처방안 활용도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노인의 경우에는 성별이나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하여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부양자의 결혼상태에 따라서는 이혼한 부양자가 다른 부양자들에 비하여 공격적인 대처방안은 적게 활용하고,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활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서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양자가 보다 소극적인 대처를 하는 경향이 높았지만, 부양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대처방안 활용도에 있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과 부양자 각각의 대처방안 활용도에 따라 상대방의 대처방안 활용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1. 부양자가 공격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며 노인은 소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여, 2. 부양자가 소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면 노인은 적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노인이 우울, 자신감 상실을 경험하는 경우에는 적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며, 소외감의 수준이 높아지면 적극적 대처방안과 공격적 대처방안을 활용하고 불만감의 수준이 낮아지면 소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부양자는 스트레스 차원에 관계없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수준이 높아질수록 소극적 대처방안을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 자신감 상실, 그리고 소외감을 느끼는 수준이 높아질수록 공격적 대처방안을 활용하였고, 불만감의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적극적 대처방안과 공격적 대처방안을 더 많이 활용하였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원조하기 위하여는 국가, 가족 그리고 개인이라는 세 복지 주체 사이의 연결체계(linkage system)를 공고히 하고, 이들 세 주체가 동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국가에서는 생활보호 사업, 노인복지정책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의 제고를 통하여 불평등한 소득재분배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저소득층 가족들은 노인을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들이 공동으로 부양할 수 잇는 자조집단은 운영함으로써 노인부양에 소요되는 경제적, 시간적, 사회적, 심리적 비용을 경감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 개개인은 성인기에서부터 철저한 노후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며, 노인과 부양자 개개인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한 자기관리 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관한 과정론적 과점과 구조론적 관점을 통합한 이론적 시각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부양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 그리고 계층간·지역간의 비교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