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시 텍스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시교육 방안 연구

Title
시 텍스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시교육 방안 연구
Authors
박호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의 시교육이 개별 시 텍스트에 대한 분석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의 풍부한 시 읽기 경험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시적 문학 경험 확대를 통해 자연스럽게 감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시는 본래 함축성이 강한 언어로 이루어진 구조체이므로 학습자 혼자만의 시각으로는 깊이있게 감상하기 어렵다. 그리고 시교육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해석의 다양성을 허용해 주면서도 텍스트의 내적 의미에서 현격히 벗어나는 해석을 하지는 않게 적절히 안내해 주어야 한다는 교육적 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스스로 시를 올바르게 감상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시적 문학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그 문학 능력은 학습자가 다양한 시를 읽어 나가면서 자신의 인식의 폭을 넓히고 보다 창의적인 시각에서 시 텍스트를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비로소 발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서로 연관성 있는 시 텍스트들을 비교·대조하면서 읽는 것은 시에 대한 안목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시 텍스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제일 먼저 새로이 적용되는 7차 교육 과정 문학 영역을 검토하여 학습자의 문학 경험 확대를 통한 문학능력 향상이라는 목적의 의의와 교사의 열린 교재관 수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해 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문학 교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시 관련 문항 양상을 살펴, 교과서 밖의 시를 적절히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과 텍스트 사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18종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검토해 본 결과, 시 선정상의 문제점과 학습활동상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교과서에는 지금까지 정전이라 고 평가받아 온 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여성 시인의 시나 1980년대 이후에 나온 시에 대한 안배가 부족하며, 또한 학습활동에서 연관성 관련 문항을 충실하게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교사가 주제별, 이미지별로 연관성을 살려서 시를 읽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 자료를 구성하여 학습자가 비판적인 시각에서 시 읽기 경험을 확대해 나가도록 이끌어 줄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주제별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시 텍스트들을 함께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시 텍스트의 주제별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자아의 갈등과 성찰의 자세, 고향의 기억과 원형적 그리움의 정서, 죽음의 승화와 삶의 의미 재인식이라는 세 가지 주제 항목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의 실제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들을 읽어가는 동안 학습자들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인식의 폭을 넓히면서 시를 더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고, 이차적으로 자신을 반추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임을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이미지별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시 텍스트들을 함께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마찬가지로 시 텍스트의 이미지별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시 교수·학습 모형을 먼저 설계하고, 이를 우리에게 친근한 꽃, 새, 돌이라는 세 가지 사물의 이미지 항목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의 실제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 꽃은 개화의 희망과 낙화의 절망이라는 이미지로, 새는 자유로운 비상과 초월이라는 이미지로, 돌은 무거움과 생명에의 의지라는 이미지 등으로 읽어 나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시 읽기를 하는 동안 학습자들은 시인의 시각에 비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찾아 볼 수 있고, 하나의 사물에 대한 상상력을 풍부하게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시 창작을 위한 문학적 인식 능력과 태도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가 서로 연관 있는 시 텍스트들을 대하면서 교사와의 원활한 소통과정을 통해 문학 경험을 확대해 나갈 때, 자신의 문학 능력 또한 자연스럽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가 안겨 주는 아름다운 정서적 체험을 직접 누려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그 실제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research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at the present poetry education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each poetry texts and it prevents learners from having a large experience in reading poetry. Therefore I've tried to find some methods to enlarge learners' powers of appreciation of poetry naturally through expanding experience of poetry. Poetry originally consists of significant words and it's hard for learners to appreciate poetry from ones' viewpoint. And there is an educational difficulty in that though they are allowed to interpret poetry variously, learners should be guided not to go against inner meanings of texts. Therefore we need to extend learners' ability in understanding of poetry and literature in order to let them appreciate poetry more profoundly and understand it fully. Learners can have the ability in understanding of poetry and literature through the expending experiences by reading poetry, wider recognition and creative vision. On this process it can be helpful for having an eye for poetry to compare and contrast between poetry texts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research I proceeded with this study to give directions to the education of poetry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poem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chapter, above all I examined the domain of literature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its goal, improvement of literary ability by means of enlarging learners' literary experiences and necessity of teacher's open-mind at choosing textbooks. I examined the aspects of questions related to poetry 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ich has a great effect on high school literary class and I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poems out of textbooks appropriately and introdu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exts. In connection with this, I examined the present 18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then I found the problems of inclusion of poems and learning activities. On the textbooks most of the poems are Canons so far and the textbooks require poems of after 1980's and women poets' and show limits in that they don't give question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solidly. I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get support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images and themes, which can help learners to read and understand poetry and let the learners enlarge their reading poetry experiences from the point of critical view. In the third chapter I tried to find a solution to reading poetry texts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mes together. For this, first I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entered on the relation of poetry texts by themes. I applied this to three theme items such as self-complication vs. self-reflection, emotion of archetypal longing vs. the memory of hometown and the sublimation of death vs. the meaning of life and suggested the actua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le reading various poems connected with each theme, learners can understand poetry more profoundly, widening their understanding of matters at first. And then they can have time to look back on their own lives. In the fourth chapter I tried to find a solution to reading poetry texts 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images together. For this, first I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entered on the relation of poetry texts by images. I applied this to three image items such as flowers, birds and stones which are familiar to us ; blooming flowers as image of hope and fallen ones as image of despair, birds as image of free flying and solitude, stones as image of heaviness and desire to life. While reading these poems, learners can find poetry writers' various perceptions of matters from their own viewpoint and develop imagination of a matter. Furthermore they can have literary ability and attitude to compose a poem. Learners can extend their literary ability naturally when their literary experiences are expanded through the smoot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by texts connected with each other. Learners can experience emotional richness from poetry as well. I expect that this essay will show the systematic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help to reach the goals mentioned up above and its actual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