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대중문화가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관한 연구

Title
대중문화가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관한 연구
Authors
조미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의 청소년들이 학업외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 대중매체들의 급속한 발달과, 이전과는 다른 형식과 내용을 가진 대중문화의 발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문화/문화상품의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청소년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대중문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그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들의 일상 또한 학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대중문화를 통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중문화와 관련되어져서 이루어지는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러한 사회적 배경과 한국 청소년의 삶의 특성을 배경으로 그들의 일상에서 드러나는 대중문화와 관계되어진 그들만의 문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들의 문화를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은 그들이 처해 있는 삶을 알아보았다. 간단히 요약하면 한국사회의 청소년은 입시와 관련되어 장시간 학교의 일정을 따라야 하는 고달픈 삶을 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체적인 삶을 산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 가운데 있다. 또한 이러한 그들의 빽빽한 삶 속에서도 청소년들은 대중문화를 통해 그들의 남은 시간을 상당부분 보내고 있으며 그것은 자연스럽게 그들 집단 안에서 성인들과는 다른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어 가는 원인이 된다. 그들의 삶 속에서 대중문화와 관련되어 구성되어지는 문화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동일한 대중문화의 취향에 따라 친구집단을 형성하기도 하고 그 집단 안에 소속되어 있다는 사실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또한 학업에 매인 수동적인 시간에서 벗어나 자신의 선택에 의해 대중문화를 수용함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간다. 둘째, 대중문화는 청소년들에게 학업이 아닌 분야에서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며 다른 친구들과의 경쟁의 자원으로 활용된다. 일상의 대부분에서 성적으로 판단되어지는 청소년들에게 공부를 떠나 자기를 드러낼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은 그들에게 큰 의미를 갖게 한다. 셋째, 청소년들은 규범과 일반화된 행동으로 구성된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그들의 삶의 조건에 따라 주어진 공간에서 환경에 적응할 기제들, 갈등과 스트레스를 풀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들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통해 상당부분 이를 해결해가고 있다. 넷째, 청소년들은 문화상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그들만의 특성을 보이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그들의 경제력에 따라 문화상품의 구입에 어느 정도의 차별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학교와 사회에서 받는 여러 가지 규제 때문에 그들의 스타일에 대한 추구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 가운데서도 그들은 정해진 한계 내에서 표현할 수 있는 스타일을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하며 그 이상의 표현욕구는 자유스러운 표현을 할 수 있는 스타들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대리충족 시킨다. 이상의 것들을 통하여 한국 청소년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여가시간 속에서도 그들 나름대로 일상의 여러 부분에서 대중문화와 관련된 자신들만의 문화를 구성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focuces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on the daily life in a teenagerd subculture group. Compared with any other social groups, teenagers are known as primary consumers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roducts. So, I selected them as a research obje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how th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from 'middle' class families, accep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roducts in their daily life. In Korean society, owing to a burden of entrance exam to college and many legal, economical and social limitations, teenagers have little time to practice any other activities but obligatory studies. That's why they take an interest in popular culture comparatively free from such limitations. Thus, popular culture is very important to teenagers' leisure, even to their everyday practices. Teenagers do not accept popular culture just for pleasure. They make cultural practices in their own cultural contexts. The different levels of popular culture participation cause teenagers to classify themselves into subgroups. That is, popular culture becomes a means to establish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popular culture is utilized to form and reinforce self-identity. Futhermore, since the interpretation of popular culture is differentiated to different groups, the knowledge of popular culture or cultural products is used as a kind of 'resource' for competition, like grades in school or skill to fight. Korean teenagers'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has some traits. First, as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roducts are 'produced' for the economic benefits of culture industries, the economic power of teenagers is important. Secondly, only the certain elements of popular culture that are shared in intimate friends' group can be used as 'resources'. Lastly, in the process of popular culture production, culture industries produce cultural products that are likely to be preferred by teenagers only. So, the formal traits of popular culture are more stressed rather than its contents or messages, and the set of popular culture teenagers accept might be limited. The popular culture is not be lead by teenagers usually, in Korea. The teenagers have no ability to make any culture for limitation of many situations, so that they must follow the popular culture. Although we many cultures but the teenagers they love to follow the popular culture, Because it is attractive and can be adapted, easily. Therefore it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ir daily life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