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지연-
dc.creator최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73-
dc.description.abstract지금 우리 한반도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다. 분단 이래로 한반도는 통일을 대비하여 통일교육을 실시해 왔다. 그런데, 최근 통일환경을 볼 때, 90년대 들어와 동서간에 냉전이 해체되면서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지양하고 있다. 이렇게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이념보다는 실리가 우선 시 되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급속도로 발달하는 정보화로 인해 국가간에 시공간적으로 압축되어가고 있다. 21세기 세계는 화해와 협력을 강조하는 시대라고 한다. 이러한 환경을 볼 때,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는 그 어느 때보다 통일에 대한 요구를 받고 있으며, 통일을 하기에 가장 유리한 상황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화 시대에 맞는 통일에 대비하여 통일교육은 그 어느 때보다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화·정보화 사회를 적응해 가는 청소년들은 통일을 맞이할 핵심적인 통일세대들이다. 기성세대는 북한과 어느 정도 사회·문화적 동질성을 공유하지만 새로운 세대는 공감하지 않는다. 청소년들은 통일에 대한 대비보다도 정보 사회에 대한 적응의 문제가 이들에게 더욱 시급하기 때문에 북한과의 이질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들 통일세대라고 할 수 있는 청소년들에게 그들에게 맞는 통일교육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시급하여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세계화와 정보화에 맞는 통일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취지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냉전의 종식으로 변화한 통일환경을 강조하면서, 체제나 이념적 논의에서 벗어나 북한을 객관적 현실적으로 바라보고,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자는 연구들이 상당히 많이 나와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은 더 나아가서 세계화 정보화로 인해 점차 지구촌을 형성하고 있는 통일환경에서, 통합의 문제는 남북한의 정치·경제적 통합과 사회·문화적 통합은 물론이고, 세계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문화와 민족과의 통합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미래 전개될 통일사회는 더욱 세계화되고, 정보화되어 있을 것이므로 통일교육은 이러한 통합의 문제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민족적 동질성회복 뿐 아니라, 세계화·정보화의 진전에 맞추어 지구촌 사회에서 개인 및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통일시민을 육성해야 합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한 통일환경을 고려해, 기본의 문헌을 연구하고, 사회과를 중심으로 교과서 분석과, 학생과 교사를 설문 조사하여 통일교육의 방향과 그에 따른 내용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특히, 사회과를 선택한 이유는 사회과 교육은 사회의 변화 과정에 선택적으로 대응하면서 사회질서를 창조·유지하도록 사회구성원의 지식·기능 및 태도를 함양하는 활동이다. 이에 통일교육은 통일된 조국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제반 교육 활동을 의미하므로 그 목적상 사회과는 통일교육의 핵심교과이기 때문이다. 조사 분석 결과 통일교육의 방향은, 분단된 현실을 인식하고, 통일사회를 대비하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민주시민을 양성하고, 이질적으로 형성된 북한의 사회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나아가 민족 공동체를 형성하는 교육이어야 한다고 말하는 기존 연구들의 논의 뿐 아니라, 통일환경을 고려하고, 많은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해 본 결과, 통일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통일교육은 국제적이고 체계적 시각과 교양을 갖춘 세계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을 포괄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에 따른 통일교육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볼 때, 분단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과 통일준비를 위한 교육, 통일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과서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통일환경이 냉전이 종식되고, 통일을 하기에 유리한 상황으로 변하면서, 남북한을 체제적으로 비교·설명하는 등의 분단현실에 대한 내용 중심에서 점차 통일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내용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북한을 소개함에 있어, 체제중심 내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은 있으나, 북한의 경제적 실상에 대한 소개에 치우쳐 결국,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는 등 내용의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일환경의 변화로 체제 중심 논의가 주류를 이루었던 분단이해교육 내용과 통일 준비내용이 내용의 타당성을 상실하면서, 기존 분단이해교육 내용을 대체할 만한 내용이 아직 개발되지 못하여, 결국 통일준비와 통일사회대비 내용만을 강조하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교육은 세가지 차원의 교육이 골고루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통일사회대비 교육에는 앞에서 언급한 세계시민 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첨가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존의 정부가 제공한 텍스트 중심의 설명방식에서 나아가, 설문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습자들은 매체활용을 절대적으로 원하고 있다. 이제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컴퓨터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통일교육의 정보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태도 변화를 유도하고 교사화 학습자간에 협력 수업을 하여, 효과적인 통일교육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많은 학습자들이, 세계화와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적응의 문제는 하나의 도전이고 과제라고 보는 반면, 통일의 문제는 부담되고 꺼려지는 문제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문제가 결코 독립된 주제가 아닌 결부되어 있는 문제임을 강조하여, 통일의 문제가 부정적이고 꺼려지는 문제가 아닌 긍정적 차원에서 반드시 도전하고 대비해야 할 문제임을 인식시키데 공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통일교육에 관해 부정적이고 지루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대다수의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통일교육을 가능하게 하여, 통일한국을 대비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The premise of unification education is Korea-unification. Unification is the matter not only of Korea, but also of world. So, we can start on home and abroad changing history to look over unification education. Today, the unification environment is changing. Recent changes have created cooperation with various culture and nation. It has been raising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has features both one global society and the other information age, which makes world one global village. This has been reflected upon the various education efforts. Especially, the Social Studies is disciplinary to cultivate cognitive ability about social phenomena with complicated structure and function and to bring up the democratic citizen and world citizenship who is capable to participate in global society activity . So, Social Studies is a core disciplinar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ver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at first, I have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Second I have analyzed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social education. For example, analyzing examining the organization, social studies textbook for unification education etc. Finally, I have surveyed about direction,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41 social studies teacher and 929 students. The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now in use are as follows. First, lack of objectivity Secondly, a comparis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bout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 Thirdly, the content of abstraction and difficulty Fourthly, lack of the understanding of divided nation and preparation for unification. Fifthly, teaching-method not to reflect on the learner. Finally, unification education not to consider of unification environment, etc. To overcome these problems,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Now to prepare the unification society should include the comprehensive meaning, both preparation for South-North unification and global unification. Therefore the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each the contents to prepare the unification and the forthcoming unification society with enough comprehension in divided situation and unification environments. To achieve these goals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s follows. First, the unification education to prepare the future unification society should be moved on the education for world citizenship with international sense and culture, whose it has abilities - creative and open thought, reasonable decision making, sense of value with right moral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comprehensive and systemic viewpoint. Secondly,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each actually and objectively the content, which are the comprehension of divided situation, the preparation of unification and the preparation of unification society. Thirdly, the unification education method should pursue the informational method. The education should offer the objective materials and make use of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nd multi-media such as Internet surfing, simulation, e-mail, discography, hypertext and has to lead the students to class. Therefore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the education that inspires the national integration consciousness and makes the student realize what the unification should be and is able to show a prospect for the global role and status of the unified n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C. 연구의 한계점 = 4 II. 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 = 5 A. 통일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 5 B. 통일환경의 변화 = 8 III. 통일교육의 방향 탐색 = 13 A.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 13 B. 통일교육 현황 = 19 1. 학교통일교육 - 사회과를 중심으로 = 19 가. 사회과와 통일교육의 관계 = 19 나. 중ㆍ고등 통일 관련 내용 사회과 교과서 분석 = 22 다. 교육 현장에서의 통일교육 실태 = 37 2. 사회 통일 교육 = 47 가. 통일부 활동 = 48 나. 민간 사회단체 활동 = 55 3. 통일교육 현황 분석 결과 = 57 IV. 통일교육의 방향 = 63 A. 통일교육 방향 = 63 B. 통일교육 내용 = 78 C. 통일교육 방법 = 83 V. 결론 및 제언 = 89 참고문헌 = 94 <부록-1> 통일교육개선논의에 관한 설문(학생) = 102 <부록-2> 통일교육개선논의에 관한 설문(교사) = 105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61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구촌 시대에서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