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농산물 유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농산물 유통에서 파생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농산물 물류센터의 도입을 통해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보고, 서울시를 연구 대상으로 한 농산물 물류센터의 입지 선정에 초점을 두고 연구에 임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각 평가요인별 평가기준에 맞는 지역을 찾아내어 중첩된 결과를 농산물 물류센터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지역으로 추출하였으며, 장래의 수요 예측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을 하기 위해 통계기법과 GIS의 공간분석기법인 Grid 분석, Tin 분석, 그 밖의 중첩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997년 서울시통계 연보와 1998년 서울시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 수립구상, 각 연도별 총 사업체조사보고서 등을 토대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의 유통구조는 보편적으로 생산자-도매상-소매상-소비자의 3단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유통단계별로는 소매상의 유통마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총 유통비용 중에서는 물류비가 1/3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농산물 물류센터는 현재 전국적으로 15개소가 있으며, 서울시에는 양재와 창동의 2군데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간의 불균형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시설의 확충이 요구된다. 셋째, 농산물 물류센터의 입지 선정 평가요인으로 크게 지형, 토지이용, 인구예측, 지가, 농산물 물동량 예측, 도로와의 접근도등을 고려하였다. 이 중 농산물 물류센터의 입지 선정 평가요인의 하나인 농산물 물동량 예측 모형을 만들기 위해 농산물 물동량을 종속변수로 두고, 이것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17개의 인구·사회·경제학적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인구, 도·소매업체수, 음식점 업체수, 시장부지면적의 4개의 변수가 추출되었다. 넷째, 각 평가 기준에 적합한 지역을 중첩해본 결과 적당한 입지 지역으로 4개의 지역이 선택되었다. 그 결과 마포구 상암동, 영등포구 신길 4 동, 서초구 방배 3동, 강동구 암사동 등 4개의 지역이 평가기준에 맞는 입지 후보지로 추출되었다. 또한 도심부는 전반적인 인구 감소와 높은 지가, 농산물 물동량의 비중이 감소 추세, 화물수송로의 규제등으로 해당 지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물류센터와 같은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은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의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제이므로 보다 타당성 있는 척도가 개발되어야한다. 이러한 척도개발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정확한 세부적 자료가 마련되어진다면 농산물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을 하는데 있어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This research paper is focused on general logistic location of agriculture products in Seoul. For the efficiency of the flow of agriculture products, the structural problems caused by the flow of agriculture products are supposed to be solved by induction of logistic center of agriculture products. For this study, results overlaid by finding the regions which fit each standards of appraisal were selected as the opportune regions, and statistical technique and Grid, Tin and Overlay analysis of GIS technique is used for locations selection. The references are Seoul Statistical Year Book by 1997, and Report on each years Establishment Census Vol 3.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flow structure of agriculture products in general consists of these three steps a producer, a wholesale dealer, a retail dealer and a consumer. The retailer's margin ranks top in distribution steps and the material flow cost occupies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total distribution costs. Second, there are 15 logistic centers of agriculture products in Korea. And there are 2 logistic centers in Seoul, one is in Yangjae-Dong and the other in Chang-Dong. It is possible that 2 logistic centers in Seoul make the partiality between regions, therefore mo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logistic centers are required. Third, as primarily estimated factors for location selections are topographical condition, land utilization condition, material flow prediction, accessibility to traffic roads and traffic volume. Multiple Regression is applied to build the estimation model for agriculture products material flow, which is the main factor for location selection. By agriculture products material flow as Dependent Variable and 17 populational,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having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 4 variables are finally deprived population, the number of the wholesalers and retailers, the number of restaurants and market area. Fourth, the Overlay results in those four proper location by standards of appraisal, The results of selected location were Mapo-Gu Sangam-Dong, Youngdungpo-Gu Shingil 4-Dong and Kangdong-Gu Amsa-Dong and Socho-Gu Bangbae 3-Dong. In the downtown area no appropriate place turns out, because of decreasing agriculture products material flow and restricting freight roads. Location selection for the public facilities, such as Logistic center of agriculture products has to be considered under both efficiency and equity. The reasonable and realistic guiding post for Logistic center of agriculture products would be suggested and developed by accurate detai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방법 = 2 II. 이론적 고찰 = 6 1. 농산물의 분류 = 6 2. 농산물 유통의 개념과 특성 = 7 3. 연구동향 = 9 ① 농산물 물류센터에 관한 연구 = 9 ②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10 ③ GIS기법을 이용한 입지분석 연구 = 12 III. 서울시의 농산물 유통현황 = 13 1. 미곡의 유통현황 = 14 2. 청과물 유통현황 = 16 3. 육류의 유통현황 = 19 IV. 농산물 물류센터의 현황 = 22 1. 농산물 물류센터의 정의 = 22 2. 농산물 물류센터 건설의 법적 기준 = 22 3. 농산물 물류센터의 기능 = 23 4. 농산물 물류센터의 분포 = 25 V. 농산물 물류센터에 대한 입지 분석 = 28 1. 입지인자 = 30 (1) 지형 = 30 (2) 토지이용 = 32 (3) 인구 = 34 (4) 지가(地價) = 40 (5) 교통 = 45 2. 농산물 물동량 예측 모형 = 49 (1) 농산물 물동량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 선정 = 49 (2) 선정된 독립변수의 예측 = 51 (3) 농산물 물동량 예측모형 = 54 3. 최적 입지 선정 = 58 VI. 요약 및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600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시 농산물 물류센터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