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창순-
dc.creator오창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사업가와 타의료전문직들의 의료사회사업가에 대한 역할기대와 의료사회사업의 기능에 대한 인식 및 의료전문직들 각자가 자신들의 역할과 관련해서 느끼는 갈등의 정도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사회사업가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일반의료사회사업가, 정신의료사회사업가 및 재활의료사회사업가 모두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정의하였다. 제1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정의와 기능,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의료사회사업의 발달과정을 검토하는 문헌고찰을 시도하였고,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에 대한 의료전문직들의 기대와 관련된 연구들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의 병원중에서 사회사업가가 있는 13개 종합병원의 의료전문직들로 사회사업가를 비롯한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물리치료사, 의무기록사, 행정가 등 8개 전문직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종합병원이라도 사회사업과(실)에 소속되지 않고 정신과에 소속된 단 한명의 (정신)의료사회사업가만이 있는 병원의 경우는 조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표본의 추출은 집단간 표본크기의 지나친 차이를 통제하기 위하여 전문직 마다 사회사업가 수의 3배 이내로 임의제한을 두고 각 병원의 직원수에 비례해서 조사대상자의 수(403명)를 결정하였다. 조사는 본 연구목적에 맞게 고안된 질문지에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식으로 수행하며 81.4%(322명)의 회수율을 얻었고, 최종분석 대상는 의사 42명 , 간호사 72명, 약사 48명, 영양사 26명, 의무기록자 34명, 물리치료사 35명, 그리고 사회사업가 31명으로 총 323명이었다. 사회사업가에 대한 역할기대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내용은 클라이언트(환자, 가족), 문제(심리(정서)적, 사회환경), 활동(평가/치료, 의뢰)등 세가지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게 구조화하였고, 의료사회사업기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각 전문직들이 병원 조직내에서 자신들의 역할과 관련하여 느끼는 역할갈등의 정도를 Likert 척도로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8개 전문직에 대한 개체적 분석을 기본으로, 사회사업가와 7개 전문직, 사회사업가와 의사, 간호사 그리고 사회사업가와 5개 전문직(약사, 영양사, 의무기록사, 행정가, 물리치료사)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의료사회사업의 기능에 대한 평가나 각 전문직들이 자신들의 역할과 관련해서 느끼는 역할갈등의 정도를 분석할 때는 8개 전문직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모든 의료전문직은 기본적으로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대상으로 환자보다는 가족을, 심리(정서)적 문제 보다는 사회환경적 문제를, 평가/치료활동 보다는 의뢰활동을 더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가지 비율변인(클라이언트비율, 문제비율, 활동비율)에 대한 기대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첫째, 사회사업가와 7개 전문직간에는 클라이언트비율(환자: 가족)의 차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문제비율(사회환경: 심리정서)과 활동비율(평가/치료: 의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의사, 간호사와 사회사업가 간의 기대차이는 약사, 영양사, 의무기록사, 물리치료사, 행정가의 5개 전문직과 사회사업가 간의 기대차이 보다 뚜렸했다. 즉, 의사, 간호사와 사회사업가의 차이는 문제비율과 활동비율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나, 5개 전문직과 사회사업가간에는 3개 비율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대상 8개 전문직 모두 의료사회사업의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전문직의 평균은 5점 척도에서 4.3점이었고, 전문직간의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즉, 8개 전문직 모두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의료사회 사업기능의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의료사회사업의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한 전문직은 의료사회사업가가 자신들이었으며, 그 다음은 영양사, 행정가, 의무기록사, 약사, 간호사, 의사, 그리고 물리치료사 순이었다. 각 전문직이 자신들의 역할과 관련해 느끼는 갈등의 정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8개 전문직 모두 “역할의 명확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요인 즉, 역할갈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업무량”으로 나타났다. 갈등을 가장 적게 느끼는 전문직은 행정가였고, 그 다음은 물리치료사, 사회사업가, 의무기록사, 영양사, 간호사, 의사, 약사의 순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medical professionals’ expect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role in the general hospitals, their perception of medical social work functions, and the level of conflict felt by medical professionals with regard to their own role. In this study, the term “medical social worker” has a wide meaning involving all of general medical social workers,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rehabilitation social workers in general hospitals. Chapter One begins by making an issue of this study. Chapter Two make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in whic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medical social work, and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s are studie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are those in eight kinds of medical professional groups, such as social workers, physicians, nurses, pharmacists, dieticians, physical therapists, medical recorders and administrators, in a total of 13 general hospitals in the Seoul area where social work staff are working. General hospitals each of which has only one (psychiatric) social worker working for the psychiatric unit, not in the social work department (office) were excluded from this research. In order to control excessive discrepancies of the size of samples, sampling was conducted in such a way as to limit the number of each professional group within less than three time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after determining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403)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aff of each hospital. For the survey, subjects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s themselves. The rate of the questionnaires returned was 81.4 percent (328). The final number of subjects available for analysis was 323: 42 physicians, 72 nurses, 48 pharmacists, 26 dieticians, 34 medical recorders, 35 physical therapists, 35 administrators and 31 social workers.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systematically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ree variables such as client (patient; family), problem (psychological (emotional): socio-environmental), and activity (assessment/treatment, referral). It was also designed with a 5-point scale to make a comparison of the each professional group’s perception of medical social work function and the level of conflict felt by themselves in connection with their role.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analyses of each of eight professional groups. Further analyses were made on this basis by categorizing into three sectors such as social workers and seven other groups, social workers and two other groups (physicians and nurses), and social workers and five other groups (pharmacists, dieticians, medical recorders, administrators and physical therapists). However, an individual analysis of each professional group was made in making a review of the level of conflict and perception of medical social work function on the part of each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all medical professionals basically expect medical social workers to deal more with families than patients, with socio-environmental problems than psychological (emotional) problems, and with referral than assessment/treatment activities. However, it was found out as foll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f the three ratio variables 9client ratio, problem ratio, and activity ratio):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ocial workers and seven other groups in the client ratio,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ratio and activity ratio.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f physicians and nurses, and social workers was found to be more conspicuous than that of five other groups and social workers.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roblem ratio and activity ratio in the difference of expectation of physicians and nurses, and social workers;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he three ratios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five other groups and social workers. All of the eight medical professional groups were found to think highly of the medical social work func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eight groups was 4.3 in the 5-point scal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expect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groups. However, the group which placed the highest value on the medical social work function was medical social workers themselves. Then came dieticians, administrators, medical recorders, pharmacists, nurses, phy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in that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nflict felt by each professional group in connection with its own role. All of the eight groups gained the highest score in the sector “clarity of role” and the lowest score, that is a factor found to be the biggest cause of role conflict, went to the sector “workload”. The group which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conflict was administrators. Then came physical therapists, social workers, medical recorders, dieticians, nurses, physicians and pharmacists in that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5 제3절 연구의 제한점 ------------------------------------------------ 6 제2장 이론적 배경 ---------------------------------------------------- 8 제1절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 8 제2절 의료사회사업의 역사적 발달 ----------------------------------- 11 제3절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 22 제4절 관계문헌고찰 ------------------------------------------------- 28 제3장 조사방법 ------------------------------------------------------- 38 제1절 연구가설 ----------------------------------------------------- 38 제2절 조사방법 ----------------------------------------------------- 41 제3절 자료의 분석 -------------------------------------------------- 51 제4장 조사결과의 분석 ------------------------------------------------ 53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3 제2절 의료전문직들의 사회사업가에 대한 역할기대 -------------------- 58 1. 사회환경적 문제와 심리(정서)적 문제 --------------------------- 58 2. 경제적 문제 --------------------------------------------------- 69 3. 상담서비스 ---------------------------------------------------- 71 4. 그밖의 다양한 문제들 ------------------------------------------ 74 5. 의료사회사업기능의 중요도 ------------------------------------- 78 6. 전문직종간 역할갈등의 정도 ------------------------------------ 78 제3절 조사결과의 요약 ---------------------------------------------- 80 제5장 가설검증 ------------------------------------------------------- 85 1.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에 대한 기대차이 --------------------------- 86 1) 클라이언트, 문제, 행동의 8개 지표변인 ------------------------- 86 2) 클라이언트, 문제, 활동에 관한 비율변인 ------------------------ 93 3) 3개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 97 2. 의료사회사업 기능의 중요도 --------------------------------------100 3. 전문직별 역할갈등의 정도 ----------------------------------------103 4. 가설검증의 요약 -------------------------------------------------104 제6장 결론 -----------------------------------------------------------107 제1절 주요발견 -----------------------------------------------------107 제2절 제언 ---------------------------------------------------------113 참고문헌 -------------------------------------------------------------116 영문초록 -------------------------------------------------------------124 부 록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463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종합병원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인식과 이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기대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