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성 연구

Title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성 연구
Authors
김보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교정시설에 적용가능한가, 또한 이 프로그램을 교정시설 비행청소년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이들의 인성변화 및 행동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가정법원으로부터 의뢰된 보호처분 4호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교정시설을 연구 대상으로, 약 4개월간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교정시설과 유사한 시설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시설에는 치료공동체와 비슷한 어떠한 프로그램도 하지 않았으며, 그 시설이 원래 진행해오던 프로그램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각 시설에서의 개별연구 대상은 13세에서 18세까지의 남자청소년들로 그 중에서 입·퇴소일, 가출유무, 타기관 의뢰 등을 고려한 각 30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성 검사를 통해 동일한 집단 구성원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 후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성변화는 최신인성진단검사를, 행동변화는 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인성에 있어서는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사회성, 성취성, 활동성, 지배성, 자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반면 안정성과 사려성은 그다지 큰 향상을 가져오지 못했다. 그리고 이들의 신경증적 경향, 정신장애 경향, 반사회성 경향은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경험 후에 크게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자기평가나 직원들의 자체평가에서는 공동체의식, 정직, 타인배려, 자신감, 성실성, 책임감 등이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 이후의 인성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인성변화에 효과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행동에 있어서는 실험집단 구성원들의 비행, 공격성 등의 외현화 문제 성향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반면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등의 내재화 문제에 있어서는 그다지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또한 청소년들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자체평가 내용에서도 흡연, 가출, 폭력, 도벽, 발표력 등의 행동변화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행동변화에 있어 외현화 문제에서는 효과적이나 내재화 문제에 있어서는 그다지 큰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의 적용은 비행청소년들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아침모임과 세미나 등을 통하여 실험집단의 구성원들은 자기표현력과 발표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사고력 향상 및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2차에 걸친 치료공동체 캠프는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더불어 각 프로그램 속에서 자기에 대한 사랑과 타인사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규집단과 참만남집단은 공동체 안에서의 타인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기개방을 함으로써 지지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으며 감정표현을 하는데 있어서 폭력이 아닌 대화의 과정을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치료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경험하게 되는 역할수행을 통하여 그들은 일에 대한 책임감과 성실성, 그리고 역할을 통한 타인배려와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켰다.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비행청소년들은 자유시간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직원들은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에 따르는 업무과중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표하기도 하였지만, 비행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인성 및 행동의 변화는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갖게 되는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으로 이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것은 그 동안 낙인 되어왔던 비행청소년들이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성 및 행동이 변화되고 더 나아가 건전한 사회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유용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교정시설 뿐만 아니라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상담소, 청소년 쉼터, 아동복지시설 등 다양한 청소년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 실천개입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즉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개입에 있어 이들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개입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교정복지 현장의 전문인력의 확보 및 현재 현장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강조한 점이다. 교정시설의 종사자들이 비행청소년들에게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적용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실천 방법에 대한 개별 상담, 집단 상담 그리고 사례관리 등의 전문적인 상담 기술이 요구되는 바 직원들에 대한 재교육 및 수퍼비전이 지속되어야 함을 제시한 점이 이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여부에 대한 직원들과의 사전합의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적극적인 참여를 위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수퍼비전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동체 안에서의 각 개별성원에 대한 정확한 사정을 바탕으로 개별성원의 강점이 강조된 차별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각 개별성원의 경험평가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Despite the increase in numbers delinquent adolescents, little is known on effective programs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delinquent behaviors. Meanwhile, Therapeutic Community (TC, hereafter) Program in the US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as it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for drug addicts and criminals both in and out of correctional facilities. Therefore, it is seemingly reasonable to apply TC to Korean delinquent adolescents in order to establish culturally congruent practice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C program to juvenile delinquents by measuring changes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 adolescents who were sentenced with Classification # 4 (probation and institutional care) and institutionalized in correctional facilities by the order of juvenile courts for their delinquent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where subjects were being taken care for 6 months and wher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hat is, both facilities provided institutional care for delinquent male adolescents only, ages ranging from 13 to 22. Thirty adolescents from each sit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election criteria were 1) those who were admitted to the facilities from May 1 to May 31, 2002, 2) those who did not have a history of runaways, and 3) those who did not have mental retardation or severe psychological pathologies. TC program was only applied to one facility and the other facility was used as a control group, and TC program was conducted for four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02. Two separate instrume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assess the changes in their personality and behaviors: Personality Inventory (2nd edition) and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In personality inventory, sociability, achievement, activity, dominance, autonomy, stability, and thoughtfulness were measured whereas in the clinical area, neurotic-, psychotic-, and anti-social behaviors were also measured. In Korean Youth Self Report, internalizing(i.e., somatic, anxiety/depressed, withdrawn), externalizing(i.e., delinquent and aggressive behaviors) symptoms as well as total problem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level of changes in their behaviors. Furthermore, structure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dolescents and staff members were also conducted to obtain and assess their views on the program. Pre-test of the participant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sonality inventory, participants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five areas except stability and thoughtfulness. In clinical areas of personality, adolescents showed marked improvements in all three areas. Second, in Korean Youth Self Report,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areas in externalizing symptoms whereas the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eas of internalizing symptoms. Third, during in-depth interviews, adolescents expressed improvements in competency, expressiveness, responsibilities, and more importantly, honestness. In addition, adolescents stated that they were able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verbal ways, instead of anti-social behaviors. Staff members stated that the program raised the sense of belongingness among the participants and made adolescents be more active in their daily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That is, TC programs in this study showed its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to delinquent adolescents in changing their behaviors, and it can establish a foundation to replicate in other settings such as youth counseling centers, shelters, and other child welfare agencies, particularly for delinquent adolescents. Second, as TC program was applied to delinquent adolescents, it laid out intervention methods applicable to this population, particularly using group dynamics and staff being a part of change agent. Meanwhil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pre-group meetings and educational orientation for the staff members in order to minimize their resistance and facilitate its process. Especially, although educational meetings were held and supervision was provided for the staff members, it would take time for them to familiarize with the TC program, which may require extra time to smoothly apply it to the resident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needed to be seriously considered, particularly in selecting members and measuring changes of their behaviors over time.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structured qualitative research to draw meanings of personal experiences of the program from adolescent perspect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