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팀 동료와의 이질성 지각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서 갈등유형의 매개효과

Title
팀 동료와의 이질성 지각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서 갈등유형의 매개효과
Authors
안소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order to cope with rapid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s proactively, many organizations utilize the team organization. Accordingl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team organization. One of these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terogeneity of team composition and team effectiveness. But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s not consistent. Thus,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re are potential mediating variables and one of those is conflict. Conflict is unavoidable phenomenon in organization because of interaction among the workers and especially, in team there are more possibility to occur conflict because team members have closer interaction than workers in the general unit.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the conflict in team, specially there is no research to examine the conflict type respectively. So this study focus on the effect of each conflict type with regard to conflict contents and I will research about the cause of conflict type in team composition and effect of each conflict type on team effectiveness.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type, that is,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moderating effect of task inter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type and team effectiveness. Especially the level of analysis is an individual because the conflict is occurred with a specific person. After being created model and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by team-workers(n=197) in 9 company, who are engaged in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research & development field, consulting for management and management suppor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wo heterogeneity factors in team composition factors, which affect the conflict type in team composition factors. The factors are heterogeneity in knowledge and in values. I expect that knowledge heterogeneity and value heterogeneity will increase the task conflict and value heterogeneity will increase relationship conflict. These hypothesis are supported as expected. Second, it is expected that conflict type will have nega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variables, that is, coworker satisfaction, attitude about team, which includes team satisfaction and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perception. These hypothesis is supported only about coworker satisfaction. In attitude about team, only relationship conflict affect the team satisfaction and team commitment significantly and only task conflict affect the perception of team performanc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present that, team members percept the objective aspects in task and subjective aspects in emotions separatel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is examined. Conflict typ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heterogeneity and team effectiveness variables, especially conflict type has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eam performance. But the expectation about that task conflic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eterogeneity and team effectiveness is not supported. Fourth, I expect, task interdependence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type and team effectiveness variables. These hypothesis are not supported but task interdependence has direc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as independent variable. These results has implications as follow: First, this study is about conflict in team organization, which is insufficient in Korea.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conflict type respectively while preceding researches in Korea understand conflict as one concept. Third, with a practical respect,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mon goal, mission and vision that team members don't feel value heterogeneity. Fourth, task conflict should be managed to improve team performance. Limitations and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data about knowledge heterogeneity and team performance were collected subjectively through the questionnaire. But there could be a difference perceptions of team members and objective data. Thus, it is needed to compare subjective perception with objective data in the future. Second, it could be better study longitudinal research. Third, in this study task interdependence has independent effect on team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indicate cl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interdependence and team performance.;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팀조직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팀조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연구흐름 중 하나가 팀구성 이질성과 팀 효과성과의 관계이다. 그러나 팀원들의 이질성과 팀 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일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관계를 매개할 잠재적인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갈등이다. 갈등이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사회현상이고, 특히 팀은 팀원들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할 여지가 많다. 그러나 국내에서 팀 내의 갈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갈등을 그 내용에 따라 차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용에 따라 분류되는 각 갈등유형이 팀구성차원에서의 원인과 그 결과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갈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갈등은 특정대상에 대해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분석수준은 팀원 개개인에게 초점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작업운영을 위해 이미 팀조직을 활용하고 있거나, 향후 팀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팀 내 갈등의 기능을 밝혀, 팀 구성과 팀 관리차원의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가설을 수립한 후, 단순한 소규모 작업그룹과는 차별화 되는, 다양한 기능을 전제로 하고 있는 팀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9개 회사의 팀원들에게는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고, 원거리에 있는 기술개발팀원들에게는 설문지를 인터넷에 링크 시켜 익명 처리된 결과를 e-mail로 회수하여,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197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유형의 선행요인은 팀 구성특징인 이질성 중, 지식이질성과 가치이질성을 선정했다. 특히, 과업갈등은 팀동료와의 지식이질성과 가치이질성 지각, 둘 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고 관계갈등은 가치이질성 지각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였는데, 분석 결과 이 예측은 지지되었다. 둘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각각 팀 효과성 변수인 동료만족, 팀 만족과 팀 몰입으로 이루어진 팀에 대한 태도 그리고 팀 성과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였다. 이 예측은 동료만족에 대해서는 지지되었으나, 팀에 대한 태도는 관계갈등에 의해서만, 그리고 팀 성과지각에 대해서는 과업갈등에 의해서만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갈등이 부정적인 감정을 수반하는 현상이라고 할지라도, 개인적인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 관계갈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과업과 관련된 차원인 과업갈등은 태도보다는 성과라는 객관적인 변수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팀구성원들이 그 지각을 차별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팀 동료와의 이질성지각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였다. 이는 지식이질성지각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지되지 않았으나, 가치이질성지각이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통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지지되었으며, 특히 팀 성과 지각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과업상호의존성이 각 갈등유형이 팀 효과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였다. 그러나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는 종속변수들에 대해서 독립변수로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수설정 오류라고 할 수 있으나, 과업상호의존성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국내에서 연구가 미진한 팀조직의 갈등에 대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국내 갈등에 대한 연구들이 갈등을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한데 반해, 본 연구는 갈등을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분류하여 그 영향을 고찰했다는데에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실무적인 면에서는 팀 내에서 많은 구성원들이 과업을 수행할 때, 그들이 갈등을 유발하는 가치이질성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팀의 사명과 비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지식 이질성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업무처리를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케 하여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넷째, 팀에 대한 감정적 태도가 아니라 성과측면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관계갈등보다는 과업갈등측면을 잘 관리해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팀 성과를 객관적인 데이터 수집의 한계로 인해 지각정도로 측정하였는데, 이는 실질적인 성과지표와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객관적인 성과지표와 주관적인 성과지각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질성 변수 중 지식이질성에 대한 정확한 계량적 정보를 입수하지 못하였는데, 계량적인 수치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한 시점에서 모든 변수들을 측정하여 갈등이 시간경과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지 못했다. 그러나 팀 형성 시기 초기와 시간경과 후에는 각 갈등유형의 정도도 다르게 나타나며, 그 결과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갈등에 대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직무의 복잡성에 따라 팀 내 갈등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과업의 성격에 따른 비교연구를 해 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과업상호의존성을 갈등유형과 결과변수간의 조절변수로 보았으나 이는 변수설정 오류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업상호의존성과 갈등과의 관계를 더욱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