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포괄이익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itle
포괄이익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mprehensive income is all changes in equity during a period except those resulting investments by owners and distributions to owners. As the various items of comprehensive income bypass the income statement and are reported as direct adjustment to equity, market participants require that those items be reported as adjustments to net income to arrive at comprehensive income.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has recently issued Statement of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No.130, Reporting Comprehensive Income, which mandates that a new summary measure of firm performance, comprehensive income, be reported in a firm's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The Korea Accounting Standards Board dose not mandate that comprehensive income be reported, but market participants beca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ose items. In this paper, I calculate as-if SFAS No.130 comprehensive income as net income adjusted for other comprehensive income-the change in the balance of unrealized gains and losses of marketable securities(M-adj) and the change in the cumulative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adjustment(F-adj). This paper examines whether comprehensive income or net income better summarizes firm performances as reflected in stock returns. A second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components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improve income's ability to summarise firm performance. The third, these tests are conducted both for the entire sample and within major industry group-manufacturing factor firms and Financial sector firms. The main research method is multiple regression and I develop empirical models from valuation model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relation between accounting numbers and equity value. The earnings level variables and the earnings change variable are includ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in an association study context, I evaluate the relative ability of comprehensive income and net income to summarize firm performance as reflected in stock returns. Empirical tests are conducted using returns regressions for all listed firms over 1998-2000 and within major industry group. At full sample results, The adjusted R² using net income is larger than the adjusted R² using comprehensive income(COMP) and the earning estimates(COMP_(M-adj)) which include net income and the balance of unrealized gains and losses of marketable securities is the only variable that improves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and returns.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se results is that the earning estimates (COMP_(F-adj)) which include net income and the change in the cumulative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adjustment may be more noisy than the marketable securities adjust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within-industry estimates, the adjusted R² using COMP and COMP_(M-adj) is larger than the adjusted R² using net income for manufacturing sector firms. For financial sector firms, the adjusted R² using net income is larger than the adjusted R² using COMP and COMP_(M-adj). This results did not support the claim that comprehensive income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returns than net income, but could provide empirical evidences for Korea Accounting Standards Board to adopt comprehensive income.;포괄이익은 한 회계기간동안 기업의 순자산의 모든 변동을 나타내는 회계이익이다. 종래에 보고하던 당기순이익에 포함되지 못하고 자본조정이나 주석에 기록되는 기타포괄이익항목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항목들을 당기순이익에 더하여 포괄이익으로 공시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우리 나라에는 포괄이익공시에 대한 규정이 없으나, 미국재무회계기준위원회(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에서는 이미 포괄이익에 대한 기준(Statemant of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No.130)을 제정하였고, 국제회계기준위원회(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에서도 포괄이익에 대한 기준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손익계산서상의 수익·비용의 성격을 갖는 모든 손익항목을 포함하는 포괄이익이 더 나은 기업성과의 요약치인가에 대한 문제, 즉 포괄이익을 기록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결국 포괄이익과 당기순이익의 기업가치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자본시장이 보다 국제화되어감에 따라 일관성 있는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포괄이익이 재무성과의 요약치로서의 이익정보의 유용성을 높이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는 연구는 앞으로 우리 나라의 기업회계기준에서도 포괄이익에 대한 공시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할 때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재무회계기준보고서 제130호(SFAS No.130)에서와 같이 포괄이익을 비소유주와의 거래로 인한 주주지분의 모든 변동으로 정의하고, 첫 번째로,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과 더 관련이 높은 이익수치인지를 실증분석해 보았다. 두 번째로, 당기순이익 외에 포괄이익에 포함되어야 할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차대를 기타포괄이익이라 정의하고, 기타포괄이익에 포함된 항목 중 어떤 항목이 당기순이익에 더해짐으로써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세 번째로, 산업에 따라 포괄이익의 정보유용성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주식수익률과 더 관련이 높은 이익수치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회계수치와 주식가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평가모형을 근거로 회계이익의 수준변수와 차액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검증모형을 도출하였다. 상대적 가치관련 연구방법에 따라 당기순이익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모형의 수정결정계수와 포괄이익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모형의 수정결정계수를 비교하여 주식수익률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기타포괄이익항목 중에서 어떤 항목이 당기순이익의 주가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당기순이익에 각 기타포괄이익항목을 포함시킨 이익수치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산업별로 포괄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모든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에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변동액이 포함된 이익은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고, 해외사업환산차대변동액이 포함된 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은 낮았다. 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조업에서는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고, 당기순이익에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변동액을 포함한 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사업환산차대변동액을 당기순이익에 포함시킨 이익의 경우는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포괄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는 요인이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변동액이고, 해외사업환산차대변동액은 오히려 당기순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관련성을 훼손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업에서는 제조업에서의 결과와 반대로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당기순이익에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변동액을 더한 회계수치의 경우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에 해외사업환산차대변동액을 더한 이익은 당기순이익보다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나, 해외사업환산차대변동액의 관측치는 양쪽 극단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의미 있게 해석하기는 곤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포괄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주식수익률과 더 관련이 높다는 근거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기타포괄이익을 구성하는 항목 중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변동액은 당기순이익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관련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포괄이익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실증분석연구가 별로 없었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우리 나라 회계환경에 포괄이익 보고기준을 적용시키는 것이 과연 바람직할 것인가, 만일 포괄이익을 공시해야 한다면 어떤 항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인지, 산업별로 동일한 항목을 포함시켜야 할 지에 대한 논의에서 하나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실증검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