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숙영-
dc.creator박숙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4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54-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정보와 지식이 여러 산업에서 중요한 생산요소로서 작용하고, 지식근로자가 많이 부상하게 됨을 이미 우리는 최근의 기업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Drucker, 1991). 이렇게 지식근로자, 지식경영의 개념이 대두되고 실제적으로 우리 주위에서 이를 흔히 접하게 됨으로써 기업과 학계의 관심은 이들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선행 요인이 필요한지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다. 지식근로자의 경우 지식이 팀 효과성에 핵심요소이고 이러한 지식이 공유되기 위하여 그들의 인지적인 측면을 고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초점을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인 공유멘탈모델에 맞추고, 이와 비교하여 팀의 속인적 유사성 역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과업의 다양성이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작용 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검토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에 따른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IT 산업에 속하는 83개의 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높을수록 팀 효과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팀 구성원의 속인적 유사성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본 결과 팀 구성원 연령, 팀 근속년수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 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전공의 유사성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과업 다양성이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을 조절하는지를 검증해본 결과,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은 지식근로자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다. 팀과 과업에 관한 지식, 태도, 신념, 가치 등을 공유함으로써 팀 구성원이 인지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은 팀의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근로자 팀의 경우, 관리자는 팀원들의 인지적 유사성이 팀 효과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둘째, 팀 구성원의 속인적 유사성 또한 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팀효과성을 설명함에 있어 인지적 유사성이 속인적 유사성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이는 속인적 측면의 유사성도 중요하지만, 팀원들이 인지적으로 유사하도록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적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이 인지적으로 유사할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가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를 고찰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둘째, 공유멘탈모델은 지식공유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지식경영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지식 공유의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공유멘탈모델은 팀 구성원이 과업과 관련된 지식 뿐만 아니라 팀과 관련한 지식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유멘탈모델은 지식공유의 의미보다 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문헌을 토대로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공유멘탈모델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룰 개발하였다. 이는 공유멘탈모델이라는 개념이 도입 초기에 있고 아직까지 그 구성개념에 대한 특징이 명확치 않은 시점임을 감안 할때 중요한 실증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해 볼 수 있다. 첫째, 팀의 인지적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진한다고 본 연구에서는 밝히고 있으므로, 향후의 연구과제는 팀의 인지적 유사성을 증진시킬수 있는 선행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유멘탈모델의 척도를 계기로,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지 기법보다 더욱 정교한 척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유멘탈모델은 팀 구성원의 인지적인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팀원간의 멘탈모델의 유사성 정도를 측정하는 보다 객관적인 척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횡단적 연구가 아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를 고찰하는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지식근로자의 경우 지식이 팀 효과성에 핵심요소이고 지식이 공유되기 위하여 그들의 인지적인 측면을 살펴보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볼 때 아직까지 국내기업들은 지식근로자 팀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절실히 깨닫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인 공유멘탈모델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지식근로자의 팀 효과성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학계나 기업 모두에 지식근로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인지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In 21 century, it is not difficult for us to find that information and knowledge operate as the important production element in many industries and the knowledge workers increase(Drucker, 1991). As knowledge workers increase, corporations and academic world have focused on what kind of antecedents are in th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In case of the knowledge worker, knowledge is a key factor of team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knowledge workers in cognitive point of view. Therefore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brought to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 and with comparing this I observed as well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Also I tried to verify that the task variety will oper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as moderator. The basic frame work used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model, are as followings: Hypothesis 1-1: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1-2: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1-3: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client satisfaction. Hypothesis 2-1: The similarity of age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2-2: The similarity of tenure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2-3: The similarity of major in schoo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3-1: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performance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Hypothesis 3-2: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commitment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Hypothesis 3-3: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client satisfaction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For this research , I prepared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fter that, I set a model and hypotheses and I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83 teams which belonged to IT industr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shared mental model of team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 effectiveness. Second, the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member influences to team committment. But the similarity of major in school is not related to team commitment significantly while the similarity of age and tenure of team is related to team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task variety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significantly. As based on a research result, it will be able to presented a discussion point as followings. First, cognitive similarity of team is important antecedent of team effectiveness. By sharing task-related and team-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value, the cognitive similarity is related to team effectiveness positively. Second,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is related to team's effectiveness positively bu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ed according to statistics cognitive similarity can predict team effectiveness more precisely than demographic similarity. Therefore, managers of knowledge worker team are required to make team members have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cognitive simila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s effectiveness-has the significance itself because there are few research into shared mental model. Second, shared mental model includes the concept of information sharing. Nowadays information sharing is issued to knowledge workers team. The concept of shared mental model implies both task-related knowledge and team-related knowledge, so it is wider concept than information sharing. Third, I developed new measure of shared mental model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because the accurate measure is not established yet. For knowledge workers, knowledge is key factor to increase team's effectiveness.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knowledge workers in cognitive point of view. However, in overall many domestic corporations have not still realized how important cognitive point is and only a few of them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t. So that I made this research into team's effectiveness by using the concept of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For this, I tried to remind the academic world and corporations the importance of cognitive view to manage knowledge workers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절차 = 3 C. 논문의 구성 = 4 II. 이론적 배경 = 5 A. 팀조직 = 5 1. 팀조직의 정의 = 5 2. 지식근로자 팀조직 = 7 B. 공유멘탈모델(SMM): 팀의 인지적 유사성 = 9 1. 공유멘탈모델의 개념 = 9 2. 공유멘탈모델의 측정 = 12 3. 공유멘탈모델의 선행 연구 = 18 C. 팀의 속인적 유사성 = 21 1. 연령의 유사성 = 23 2. 팀 근속년수의 유사성 = 24 3. 대학전공의 유사성 = 25 D. 팀 효과성 = 27 1. 팀 효과성의 차원 = 27 2. 팀 성과 = 29 3. 팀 몰입 = 31 4. 고객만족 = 32 E.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 관계의 조절변수 = 35 1. 과업의 다양성 = 35 III. 연구모형 및 가설 = 38 A. 연구모형 = 38 B. 연구가설 = 40 IV. 연구조사방법 = 45 A.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45 1. 공유멘탈모델 = 45 2. 팀의 속인적 유사성(연령, 팀 근속년수, 대학전공) = 46 3. 팀 효과성 = 48 4. 과업의 다양성 = 49 B. 설문지의 구성 = 50 C.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51 D. 자료분석 방법 = 52 V. 연구결과 = 54 A. 응답자의 특성 = 54 B.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56 1. 신뢰도 분석 = 56 2. 타당도 분석 = 57 C. 가설검증 = 60 1. 상관관계분석 = 60 2. 가설검증 = 63 3. 추가분석 = 73 VI. 결론 = 76 A. 연구결과 및 의의 = 76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 80 참고문헌 = 81 부록: 설문지 = 89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91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