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mot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for Academic Libraries
Authors
임정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경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는 최근 가장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는 웹 2.0 기술의 대표적 서비스이다. 참여와 공유, 개방을 기반으로 한 웹 2.0의 기술을 도입한 도서관은 이제 단지 ‘도서(books)’가 있는 공간이 아닌 그 이상으로 진화를 꾀하고자 탈바꿈하고 있다. 국외 대학도서관의 경우 이미 도서관 2.0에 해당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과 그 활성화는 가장 눈에 띄는 도서관 서비스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도서관이 운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을조사함으로써, 선호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을 밝히는 한편, 활성화된 대학도서관의 사례 조사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유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어떤 유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어떻게 도서관 서비스로서 제공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국내외 대학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그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된 블로그, 마이크로 블로그(페이스북, 트위터), 기타 서비스(플리커, 유투브)를 중심으로 활성화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례를 선정, 각 서비스의 활용을 내용적 측면에 분석하였다. 넷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회원도서관 49개 곳과 한국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의 회원도서관 121개 곳의 총 170개 대학도서관 중 현황조사를 통해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된 56개 대학도서관의 각 서비스 운영 담당자 7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중 최종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56부(회수율 80%)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의 수와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여부의 관련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 현황에 관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하여 명시된 업무 규정이 없다고 53명(94.74%)이 응답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업무는 업무의 일부분이라는 응답이 48명(85.71%)이었다. 또한 운영 담당자의 주요 업무는 전산업무가 16명(28.57%)으로 가장 많았으며, 운영 목적의 1순위로 ‘도서관 마케팅 및 도서관 서비스의 홍보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38명(67.86%)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선택한 이유를 파악하고자 5점 리커드 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블로그는 ‘도서관의 소식지로서 제공하기 위해(4.24점)’, 마이크로 블로그는 ‘변화한 이용자와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해(4.18점)’, 인스턴트 메시징은 ‘즉각적인 응답을 바라는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고(4.75점)’, ‘적극적으로 참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4.75점)’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와 관련하여 유형별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업데이트 주기와 모니터링 주기에 대해 조사하였다. 콘텐츠의 적절한 업데이트 주기로, 블로그는 ‘일주일 이내’가 29명(51.79%), 마이크로 블로그와 커뮤니티는 ‘하루 이내’가 24명(42.86%)으로 가장 많았다. 적절한 모니터링 주기에 대해서는, 블로그의 경우 ‘하루 이내’가 35명(62.50%), 마이크로 블로그의 경우에는 ‘3∼4시간 이내’와 ‘하루 이내’라는 응답이 각 20명(35.71%)의 동일한 비율로, 인스턴트 메시징의 경우 ‘한 시간 이내’라는 응답이 23명(41.07%)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효과에 대해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과 홍보의 효과를 기대한다는 응답이 1순위(38명, 30.77%)로 꼽혔다. 또한 도서관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고 38명(67.86%)의 운영 담당자가 응답하였다. 여섯째,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영하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요구 분석 및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였다. 먼저 응답자중 31명(55.36%)만이 추가적인 제공 의사가 있으며, 그 외의 25명(44.64%)은 추가적 제공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영 담당자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충분한 재원 및 인력의 확보’란 응답이 39명(22.29%), ‘업무 규정을 통한 업무 과중의 방지’란 응답이 38명(21.71%), ‘서비스별 체계적인 운영 계획의 설립 및 평가’란 응답이 33명(18.8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설문결과와 문헌연구 및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각 유형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선행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운영 활성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 규정의 마련과 인력의 지원이다. 현재 서비스 운영 담당자가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력의 부족과 불명확한 업무의 명시로 일이 과중해진다는 점이 꼽혔다. 둘째, 인력자원의 활용이 필요하다. 전담인력의 배치와 전담부서·팀의 설치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비스 선택에서부터 관리에 이르기까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영할 때에는 서비스별 운영 차별화와 함께 개별 서비스 간에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며, 이들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및 대학교 홈페이지에 명확히 공지함으로써 이용자가 이들 서비스의 운영 사실을 모두 알고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대학도서관이 운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공지, 그리고 적극적인 이용자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 이용자의 주의를 끌고, 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친근한 소통의 공간으로 그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다음으로 운영 활성화를 위한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전문서비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도서관 블로그를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글을 직접 올리는 것은 물론, 이미지, 영상 형태의 자료 제공은 물론 주제 관련 웹자료의 링크를 제공하여 주제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참고정보서비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트위터의 트윗과 DM, 인스턴트 메시징을 이용하여 이용자는 손쉽게 도서관에 본인의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도움을 손쉽게 요청할 수 있다. 셋째, 전자 아카이브 서비스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플리커는 다양한 희귀 도서 및 필사본 등의 이미지 아카이브로, 유투브는 도서관에 대한 영상은 물론 튜토리얼 또는 강의·강연회에 관한 교육적 동영상의 아카이브로 사용되고 있으며, 블로그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자료 모두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광범위 전자 자료의 보고로 활용되고 있다. 넷째, 종합 도서관 서비스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블로그와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도서관 소식과 행사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질의응답에서 일상적인 대화, 참고서비스는 물론,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와의 연동을 통해 검색 서비스의 제공 등 종합 도서관 서비스로서 운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실질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에 의의가 있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운영 활성화의 선행 요소를 도출하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현황조사 및 활성화 사례 분석을 통해 운영 활성화의 내용 요소를 연구함으로써 구체적인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The academic libraries have been accepting the Web 2.0 technologies to change and transform the library services for their new users, called ‘Net Generation’. And these efforts could be named as ‘Library 2.0’. Librarians want their users to recognize the library as a image of ‘beyond the book’. For this reason, social network services are adopted to show their users the library is no longer just holding spaces of the ‘book’ and they can offer the newest and most popular service as a library service for them. And that’s why social network services are the hottest issue in the librarian society. Foreign academic libraries have been providing the various services of Library 2.0 and they already had a significant change, the use and activ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library blogs and library Face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managed by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libraries and to promote social network services in domestic academic libraries according to each type of them. The object of case studies of academic libraries could be selected by these process, and from that the suggestion of promoting social network services in domestic academic library came out.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roblem and improvement factor of manag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s in domestic academic library.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First, there is no relevance between the size of user population and the offer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library service in academic library. Second, there is no rules about how to manage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bsence of code of practice is found in most case(94.74%). And it’s not a main task on the person in charge(85.71%), also the main task of managing personnel was computer system(28.57%). The primary purpose of the offering social network services in library is for marketing and promoting of library services(67.89%). Third, the reason for choosing the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s in library is as following. Blog was selected as a newsletter for the library, micro-blog was provided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their users. Instant messaging was chosen to offer the reference services for the users who wish to get immediate response and to activate communication with them. Community service was selected to boost the library-related activities such as book club. Fourth, the proper cycle of updating and monitoring is the followings. Appropriate update cycle is ‘within a week' to blog, ‘within a day' to micro-blogs and community. For proper monitoring cycle is ‘within a day' to blogs. In case of micro blogs, the answer rate of ‘within 3-4 hours' is the same as that of ‘within a day'. And it was the most common ‘within an hour' to instant messaging, ‘within a day’ to the community to response of the proper monitoring cycle. Fifth, the personnel in charge of managing social network services expect the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s as marketing the library and promoting the library services.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social network services would effect the perception and use of library more positively. Sixth, 55.36% of the respondents had a willingness to offer the additional social network services. To activate social network services in academic library, having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adequate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establishing the codes of practice will be needed for ongoing oper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case study, four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 Fist, blog could be used as a service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Using blog as a library service, librarian could post specific subject information for academic needs and also offer the links to subject-related web resources. Second, librarians could offer the reference service easier by using the twitter and instant massaging. Users could access the librarians conveniently when they need a help and there is more chance to get a quick response through tweet/DM service or instant massaging from librarians. Third, social network services was used as a digital archive. Flickr for images, Youtube for video, blog for various contents of information. Fourth, social network services utilized for comprehensive library services. Facebook and blog service offer the searching service through connection with library homepage. News feed from Facebook, RSS feed and track back from blog, these technologies make user send a message easily so eventual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ibrarians and users could be active. Also Librarians use those technologies to send news and to announce for notice about the library. So users can get information from Facebook and blog about the library and use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and communicate for reference service and so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