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를 위한 지침에 관한 연구

Title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를 위한 지침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uideline Proposition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for music libraries in Korea
Authors
김설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악보 자료는 물리적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악보 자료를 소장하는 음악도서관은 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국내에는 악보 자료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지침이 존재하지 않아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지속적인 손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이용에도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국내 현실에 맞는 악보 자료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지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의 문헌을 연구하고, 국외의 지침을 분석한 후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에서 진행된 악보 자료의 관리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다. 둘째, 국외의 지침을 조사하기 위해 국제음악도서관협회에 소속된 각국의 음악도서관협회에 지침을 요청하였으며, 요청에 응한 5개국이 제안하는 지침과 홈페이지에 기본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의 지침을 종합하여 총 6개국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셋째, 국외 지침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인 국가들이 제안하는 지침을 조사한 결과, 지침에 포함된 세부항목은 조금씩 달랐으나, ‘관리 평가’, ‘물리적 환경’, ‘악보 자료의 관리’, ‘특별 장서(special collection)’의 네 가지 기본항목으로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국내 현황분석을 위해 음악도서관을 선정하였으며, 전국의 16개의 음악도서관 중 조사에 응한 13개의 음악도서관을 최종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음악도서관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평가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악보 자료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현황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정책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일반 정책에 관한 항목’, ‘응답자의 배경에 관한 항목’을 기준으로 삼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설문조사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면접조사 또는 전화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여섯째, 국내의 13개 음악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현황분석 결과, 국내의 음악도서관은 악보 자료의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체계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악보 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음악도서관의 담당자들은 국내실정에 맞는 악보 자료의 관리를 위한 지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미국 대학교의 음악도서관을 대상으로 국외 현황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미국음악도서관협회에 속해있는 음악도서관 중 조사에 응한 14개의 음악도서관을 대상으로 e-mail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는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평가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항목’,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현황에 관한 항목’, ‘특별 장서에 관한 항목’이 포함되었다. 여덟째, 미국의 음악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외 현황분석 결과, 조사대상 모두 악보 자료의 관리를 위한 체계화된 지침을 갖고 있으며 이는 개별 음악도서관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음악도서관은 각 기관의 악보 자료 관리 지침에 따라 악보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홉째, 국외 지침분석, 국내 현황분석, 국외 현황분석을 통해 국내실정에 맞는 악보 자료의 관리 지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침은 그 기준항목을 채택함에 있어서 국외의 지침에서 나타나는 항목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지침은 크게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평가’, ‘음악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음악도서관의 악보 자료 관리’, ‘기타 규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세부항목으로는 장서점검, 계획, 프로젝트, 온도와 습도, 조명, 실내설비, 청소, 서가형태, 서가구분, 바인딩, 보수, 자료대체, 폐기, 탈산처리, 특별장서 및 악보자료의 질적 판단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음악도서관이 앞으로 악보 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자료가 되고, 개별 음악도서관이 악보 자료의 관리체계를 갖는 데 기초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Since physical forms of music scores are very diverse, maintaining a music library poses difficult problems. However, a systematic guidelin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does not exist in Korea yet, leaving individual libraries alone to solve any difficulties arising from managing a music collection. This lack of a proper guideline not only causes deterioration of the scores but also inconveniences library patrons with damaged or inaccessible library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make the system or a guidelin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because there is no professional music librarian or music library association in Korea, and there is not enough study conducted exclusively on the maintenance of music scor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roper guidelin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on music score maintenance, analyzed Korean and foreign guidelines and surveyed current conditions of music score maintenance in Korea and overseas. First, Korean and foreign studies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music scores were analyzed.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systems or guidelines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in the world, several questions and guidelines were requested through E-mail to the following six countries that belong to IAML: Austria, Australia, New Zealand, Pol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ird, the suggested guidelines of the above countries were different but they all included maintenance assessment, physical environ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music scores, and special collection. Fourth, in order to analyze present condition of music scores maintenance in music libraries, a questionnaire was sent to sixteen academic music libraries in Korea, thirteen of which responded. Fifth,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hirteen librarians on the following categories: assessment of music sco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physical environment of music library, collection of music scores, current condition of music sco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music sco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otocols, general protocols of music library, and respondent’s background. Following interviews or 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Sixth, the result of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in academic music libraries showed that there is no proper system or guidelin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in Korean academic music library, but the librarian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uch guideline. Seventh, in order to analyze present condition and system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in the academic mus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 E-mail survey was conducted on fourteen professional music librarians in academic mus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on the following categories: assessment of music sco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physical environment of music library, current condition of music sco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special collection. Eighth, the result from the above survey showed that each library has a system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fitted to its needs, which differ from one institution to another. It also showed each music library’s continued effort to maintain and manage the music scores according to the guideline. Ninth, the guidelin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fitted to music libraries in Korea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surveys of music librarie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ountries that belong to IAML. This guideline consists of assessment of music scores in music library, physical environment of music library, maintenance of music scores in music library, and other regulations. Subcategories include condition survey, maintenance planning, maintenance project, temperature and humidity, light, HVAC system, cleaning, shape of bookshelves, separation of bookshelves, binding, repair, replacement, discarding, de-acidification, and quality analysis of special collection and music scores. This guideline suggested here for the music libraries in Korea includes the method of assess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music scores. This study will provide reference for maintaining music scores for Korean music libraries and serve as a preliminary data as individual music libraries build guidelin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music sco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