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의 Burnout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의 Burnout에 관한 연구
Authors
문정화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주간보호사업은 1993년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기 시작하면서 6년이 지난 오늘 날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중요한 재가노인복지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노인주간보호사업에서 종사자들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전달하는 전달자로서 또한 변화의 매개체로서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노인 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들의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Burnout의 정도를 파악하고 Burnout의 원인이 되는 개인적 특성요인과, 업무환경 요인, 클라이언트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재가노인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전국 50개 노인주간보호사업소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총 85부가 연구 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와 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 분석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되었다.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은 비교적 Burnout 경향이 낮게 나타났으나, 사회사업기관 종사자들과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Burnout 정도를 연구한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이 기관사회복지사 및 의료기관 사회 복지사들보다 Burnout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탈진과 비인간화되는 정도가 높고 개인적 성취감을 덜 느끼고 있어 전체 Burnout이 많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은 성별, 결혼, 사회복지계 총 근무년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 여자가 남자보다 Burnout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혼이 기혼보다 Burnout 을 많이 경험하며 사회복지계 총 근무년수가 짧은 종사자가 총 근무년수가 긴 종사자에 비해 Burnout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종사자가 자아존중감이 높은 종사자에 비해 Burnout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환경 변수들은 역할갈등, 역할모호, 편안함, 도전, 슈퍼비션, 업무량, 금전적보상으로 나타냈다. 역할이 모호하고 역할 갈퉁이 높을수록, 업무환경이 편안하지 않을수록, 도전의 기회가 적을수록, 슈퍼비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금전적 보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수록 Burnout 가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업무량과 Burnout과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적 탈진과 업무량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업무량과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Burnout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이언트 변수들은 종사자가 지각하는 클라이언트 수의 적절성과 클라이언트와의 친밀감, 종사자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태도 시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Burnout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Burnout의 예측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개인특성 변수, 업무환경 변수, 클라이언트 변수로 구분하여 회귀분석 결과 개인특성 변수중에서 Burnout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결혼, 나이, 성별이며 업무환경 특성 변수중 Burnout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역할모호, 업무량, 도전, 편안함, 금전적 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특성 변수중 Burnout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클라이언트 수의 적절성과 클라이언트와의 친밀감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Burnout의 예측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종합회귀분석을 한 결과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의 전체 Burnout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클라이언트 수의 적절성, 결혼, 편안함으로 전체 Burnout을 33.1% 설명하고 있으며 업무량, 도전, 결혼상태, 클라이언트 수의 적절성이 정서적 탈진을 47.5%, 자아존중감, 클라이언트와의 친밀감으로 비인간화를 24.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정리해 볼 때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의 Burnout 현상은 어느 한 요인에 의해 작용되기보다는 개인적인 특성, 여러 업무환경적인 특성, 클라이언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연관된 다차원적인 문제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Burnout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제언을 해보면 첫째, 노인주간보호사업 종사자들이 스스로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타 분야의 전공자와의 관계에서 생길 수 있는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을 감소시켜 Burnout을 예방 할 수 있도록 각 분야의 전문인으로서 자질향상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한다. 둘째, 역할모호 및 역할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간보호 종사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협회 차원에서 표준화된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해야 한다. 셋째, 노인주간보호 종사자들이 장기 근속 할 수 있도록 기혼자에 대한 기관장의 인식이 높아져야 하고 종사자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업무량의 적절한 조절과 클라이언트의 적절한 수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 및 협회 차원에서의 홍보와 기관내부의 운영규정 확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업무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Burnout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논의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한 Burnout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개입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Adult Day Care Center which has been widespread recently since it was established in 1993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has been a key factor for providing the effective services as well as a media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ived degree of burnout among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and to figure out which individual characteristic, work environmental, client factors provoke staff's burnout since the importance of staff's role was recogni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85 staff from 50 Adult Day Care Centers was registered in Korea Association in Community Care for Elderly Data analysis were done by SPSS.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reported somehow level of burnout. Nevertheless, Compared to social service agents and medical social workers,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reported higer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nd a lower level of personal accomplishment.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on the staff burnout are gender, marital status, work period and self-esteem. Females go through burnout more males do. The single people do more than the married people. Staff who have short career tend to be burnout easier than those who have long career. The lower staff's self esteem is, the more they experience burnout. Third, the work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perceive are ambiguity, role conflict, comfort, challenge, supervision, workload, financial rewards. The more ambiguous their role is, the more the roles conflict, the worse the work environment is. The fewer the chances of challenge i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taff burnout is. The worse supervision, and the less the amount of financial rewar-ds, and the less comfort i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taff burnout is. With regard to workload, 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Fourth, the client variables which affect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are adequate number of clients, emotional closeness, client's attitude to staff and clien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these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aff burnout. Fifth, to examine expected variables of burn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ree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istic, work environmental, client variables-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which affect staff burnout are self-esteem, marital status, age and gender.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s which affect staff burnout are role ambiguity, workload, challenge, comfort, financial rewards. The client variables which affect staff burnout are adequate number of clients and emotional closeness. Sixth,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self-esteem, the adequate number of clients, marital status number of clients, marital status and comfort explained 33.1% of challenge,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clients explained 47.5% of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workload, challenge, comfort, financial rewards. Self-esteem and emotional closeness explained 24.5% of depersonalization. In conclusion, the staff burnout in Adult Day Care Center cannot be explained by one way but also should be explained through complicated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and client factors. In addition, there are some obvious suggestions which were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ults to prevent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from burnout. First, the staff must have higher self-esteem, while doing their best to decrease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with the experts from another field. Second, Korea Association in Community Care for Elderly must define the role of the staff in Adult Day Care Center and their responsibility clearly. Third, labor conditions for staff should be improved and the chief of center must change their point of view so that the married staff can continue to work. Fourth, the public relations by the government and Korea Association in Community Care and the guideline of center are needed to keep the workload and the adequate number of clients. Last, the work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in a mentally and physically convenient way. Furthermore, more studies on the staff burnout are demanded to clear the exact causes and the effectiv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