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9 Download: 0

신해혁명 시기 국수학파에 관한 연구

Title
신해혁명 시기 국수학파에 관한 연구
Authors
천성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By overthrowing the alien Qing(淸) Dynasty, the 1911 Revolution declared the final fall of Chinese despotism which lasted 2000 years. Many Studies were devoted to the theme of the 1911 Revolution because the Revolution makes such a significance in the Chinese history. However, most of the former studies were leaned toward only the political aspect of the 1911 Revolution on purpose to clarify the process toward the 1949 Communist Revolution. Accordingly, we can find that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approach in the scholarship to the 1911 Revolution period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When we regard that many of the 1911 Revolutionaries were intellectuals who had traditional title such as xiucai(李才), juren(擧人), despite the Revolution was armed one to subvert the old regime, we will admit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is period emerges an important project in clarifying the Revolution’s characteristics. With this critical mind on the 1911 Revolution, this study elucidated the National Essence School, which represents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among the Revolutionaries, and the National Essence Movement held by the School. In Chapter 1, I observ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Studies(國學保存會). In the second chapter entitled“Scholary Viewpoint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I examined how traditional schlorship and thouguts were reexamined and applied in a nation’s cultural crisis. Chapter 3 tackled the concept of nationalism that the National Essence School devoted, which was formulated under western socialogy and nationalism. Finally, in chapter 4, I clarified the National Essence School’s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anarchism, especially its understanding of nationalism in relation to the above two ideologies. Above four chapters focussed on its activities and thoughts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before the year of 1908 when the School emerged as an influencial power. However, in the last chapter 5, I discussed the School’s activity from the year of 1908 to 1911 Revolution, and furthermore, that after the Revolution when the initial standpoint of the School become deemed. Finally, the theses which I draw out from my discussion of the five chapter are summarised as follows: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Studies, and its publication of The National Essence Journal(『國粹學報』) in 1905. The National Essence School was established under the Chinese intellectuals’ awarness of cultural crisis responding anti-Manchism. Also the Meiji(明治) Japanese National Essence Protection Movement made a direct influence on its establishment. Most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were young intellectuals who were engaged in education or publication. They had been traditionally educated in their youth, accordingly they were profoundly based on the national learning(國學). The members were from the wealthy southeastern coaster provinces such as Jiangsu(江蘇), Zhejiang(浙江) etc., which were also traditionally well rooted. Even after they joined the Revolutionary Alliance(Tongmenghui, 同盟會), the members of the School felt quite of unsatisfactory and rebellious feelings against Sun Wen(孫文) group which was evaluated as incompetent to deal with national learning. In addition to its journal the National Essence journal, the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Studies published diverse books on the national learning though its own press. Furthermore the Society founded a library called Cangshulou(藏書樓) which had a huge collection of rare books, and actively collected cultural artifacts. They laid great stress on the visual arts as repositories of national essence, and the number of illustrations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creased steadily throughout the journal’s life. Most of all, the Society held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National Subjects(國學講習會) in order to train scholars in the national learning. Apparently, all of the activities were done under a cultural catchprase proclaming preservation and advo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with confronting the pouring western culture. However, in its inner side, a hidden political end also resided: to reveal the Qing’s severe rule of Han(漢) people, and to instigate anti-Manchu feelings. As a matter of fact, the National essence Journal played an important role to make conservative shidafu(士大夫, scholar offical) and the new armies(新軍) join the Revolution. Additionally it played a quite influencial role as propagandist medium together with the People’s Journal(Minbao, 『民報』). Such an activity of the School made an impact on the many intellectuals, and there appeared lots of journals which represented the preservation and advocacy of the national learning. The term“guocui(national essence)”(國粹)is a Meiji Japanese neologism, and the Chinese National Essence School adopted it as an enlarged term such as traditional Chinese cultural legacy. Especially to the members of National Essence School as intellectuals, who were educated with traditional learnings, the advocacy of“guocui” meant flourishment of the national learning. They understood that nationa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guocui”, and futhermore that survival of national learning is directed to that of the nation. They thought the survival of the nation depended on the survival of national culture. They advocated the view that protection of the nation’s classical culture was essential to it’s survival. When the“Western Impact” initiated by the Opium War(阿片戰爭). Display supremacy of the West, especially that of western learning, there coexisted admiration and resistance toward the West among the Chinese intellectuals. Consequently, there appeared a refracted attitude among the Chinese intellectuals claming both adoption of western learning and restoration of Chinese identity. Thus, the hot issue casted to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was to establish Chinese learning which was competent to replace Westerning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le saying“Chinese learning as a goul, Western learning as means”(中學僞體, 西學僞用) by“foreign affairs”group(洋務派) can attain its originality. Yet, the principle“Chinese learning as a goal, Western learning as means”is not a thinking structure particural to the foreign affairs group in China, but a universal logic which was common among the nation's inevitable situation of adopting different culture shown in the cases of German Romanticism, Russian Slavism, Korean“Estern thought and Western carrier”(東道西器) and Japanese “Japanese spirit and Western technic”(和魂洋才) If we understand the competent Chinese learning against Western learning exalted by foreign affairs group was the institutionalized Confucianism, that suggested by the National Essence School was Qing Kauzhengxue(考證學) and all the traditional learning whatever appears useful in those days. Especially, what the School proclaimed as the remedy of the cultural crisis was the non-Confucian pre-Chin(先秦)'as “One hundred schools(諸子學)” by emphasizing its contemporary usefulness which appears embracing the Western learning. Furthermore, the School criticized the“modified” Confucianism which has served the ruling class, and defined Confucius as a mere name among many classical philosophers. In the background of the School’s criticism of Confucianism, there was the tradition of the Old Text School(古文學派) which tried to understand Confucius as a scholar or a historian while the New Text School(今文學派) Which regarded Confucius as a redeemer in order to make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Constitutionalists. From the term“national learning”(國學) we can notice their position against the Western learning embracing all the traditional Chinese learning. However, the National Essence School clarified the definition of the national learning not as a pro-imperial learning(君學) but as something kept by the civil shidaifu, thus something deserves to preserve and something useful in the time. Based on the national learning, they organized their own theory by picking out something form the already introduces Western learning which appeared to make up and back up their assertion. Finally, nationalism was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model of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Essence. It was as early as around the 1900 when the concept“minzu(民主)”, “minzuzhuyi”(民主主義) had used in China. However, already in chunqiu(春秋) period, the“Rnagyi”(壤夷) idea(expelling the barbarian) as a subconcius nationalism in China had appeared. And it, for a long time, actived as a mental arm against the alien races’ invasion. By amalgamating biological evolution theory, and social Darwinism wit the“Rangyi” idea, the National Essence School set up its theoretical base of“anti-Machism” as well as“anti-imperial” nationalism. Their anti-Machuist nationalism, appeared as a racism that refused the inferior barbarian Qing’s rule of Han(漢) races, reveals that they defines the inferiority of alien race as an inborn facter. Racism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was suggested as a proof with which the Kang Youwei(康有爲) line tried to modernize China. He accepted the Qing dynasty by asserting the possibility of cultural and racial assimilation of Han race with Manchu race. In fact, they admitted the fact that Han race has historically been formed with foreign minorities and did not ignore the potential assimilation of the minorities. Rather, by linking racism with ciltural nationalism, the National Essence School could appeal to the shidaifu. They though it is not the political by product -“nation” but historical byproduct -“race” that shared language, custom, and history. They regarded that culture was producted by race, and the survival of culture relied on that of race. The political nationalism theorized by Liang Qichao(梁啓超) appeared from the self-reflection such as the impossibility of retaining the nation in the traditional frame of reference and value system in the political crisis especially after the Sino-Japanese Was(淸日戰爭). By the way, nationalism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represented by Zhang Binglin(章炳麟) started against the above political nationalism, and shared a thought that“No nation exists freed from history”. Under the rule of alien Qing, their cultural nationalism stands for cultural relativism which values each nation’s particular culture instead of its falling into chauvinism, or national imperialism. Based on such a cultural nationalism, and influenced by the Japanese socialists with whom they associated, the School developed anti-imperialism from a mere anti-Manchism. They called for the independence of subjected Asian nations and their unity and solidarity needed in self-defence against the west. The National Essence School was concerned about and introduces Western socialism and anarchism even before those ideologies were propogandised in Japan. However, Western socialism and anarchism had to be quite filtered through the concept of the National Essence. Being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cept, the School introduced those two ideologies as something matches with nationalism suggested by the School. The Western anarchism adopted by the School can be an extension of their concept of National Essence due to its being an independent search for modernity among their critical awareness of the rushing Western culture. But, as seen in the case of Liu Shihpei(劉師培) , it is quite indolent thinking either searching fir the Western socialism in the traditional Chinese society or finding our anarchism in the absolute monarchy. Liu Shihpei embraced the anti-Manchu revolution, the hottest assignment at the moment, in the anarchist revoution and socialist revolution. The practical problem residing in the above thought is the it could dispense the revolutionary energy despite of its idealistic way of thinking. As a matter of fact, around 1908 when Kiu Shihpei defected, the National Essence School began to change its political standpoint. The National Essence School published numerous books on and articles regarding revolutionary advocacy under the catchphrase of“preserve of the national essence(國粹保存)” and“revival of classical philosophy(古學復興).” However, after 1908, the school's revolutionary characteristics faded and their articles were replaced by pure academism, or a mere exal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The inner change of the school was caused by the endless cacophony between the major members of the School such as Zhang Binglin, Liu Shipei and Sun Wen group, and the seal of The People’s Journal of which Zhang Binglin was main editor, and by the defection of Liu Shihpei. But most important factor was that the School’s“cooperation” with the Constitutionalists Zhang Jian(장건), Zheng Xiaoxu(鄭孝胥), and Chen Sanli(陳三立) who suggested reorganize the national heritage(國故) together. Even though each group differed its political position, it confirms the possibility to cooperate with academic sponsor for the School as a more tradition-oriented group in the revolutionaries under certain condition. Despite of fundamental political antinomy, there was some overlapping of purpose between this School and that of the late Qing reformer Zhand Zhidong(張之同) who was a monarchist. Certainly the School could have been in sympathy with Zhang’s idea of national essence as he discussed it in a ststement made on the opening of his Academy for the Heritage(存古學堂) in 1907.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Zhang and the School. Both were devoted to preserving the litarary heritage, and to that end, established academies and published bibliographies, textbook, and detailed study guides. However, as soon as they saw the change the Schoeol’s political position after 1908, Lui Yazi(柳亞子), Gao Yu(高旭), Chen Qubing(陳去病) estableshed the Southern Society of anti-Manchu revolutionary lierary circle. But the Southern Society(西社) of anti-Manchu revolutionary literary circle. But the Southern Society also revealed inner conflicts among the members since they lost their early commitment. As soon as the 1911 Revolution overthrow the Qing court, the National Essence School closed The national Essence Journal. It was because the School felt that its mission, anti-Manchu Revolution, was over. Nevertheless, it does not mean the end of the modern Chinese National School and that of the National Essence Movement. Rather, by exalting the value of the classical Chinese than the Vernacular iterature (Baihuo, 白話) the Monthly National Heritage(國故) of the Beijing University(北京大) and The Critical Review(學衡) of the Southeastern University(東南大) faculties proclaimed that“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essence” was still available. Beijing University could define itself as the heir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in the sence of asserting the ethical revolution and supporting the“Baihuo” literature against the New Culture Movement. As I observed in the above, the role of the National Essence School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1911 Revolution is enormous. But Together with the 1911 Revolution, the progressiveness they exalted was over. However, the geneology of the National Essence idea, as Guy Alitto pointed out, may be extended forward in time to the more instrumental and politicized Guomindnag(國民黨) Neotraditionalism of Dai Jitao(戴李陶) and Chen Lifu(陳立夫) in the 1930s, and even on to the recent Cultural Renaissance Movement in Taiwan.;辛亥革命은 異民族인 淸王朝를 무너뜨림으로써 2천년에 걸친 中國의 專制君主體制에 최종적인 파산을 선고했다. 이처럼 중국 역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는 신해혁명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1949년의 사회주의 혁명을 정점에 두고 그에 이르는 과정을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에서, 신해혁명의 정치혁명으로서의 성격에 집중되어 왔으며 이 시기의 사상, 문화면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시 되어 왔다. 신해혁명은 비록 式裝起義의 수단으로써 淸廷을 전복하였지만 혁명의 시도자중 많은 사람들이 李才 擧人등 전 傳統 功名을 가진 지식인이었음을 생각할 때 이 시기의 전통 지식인에 대한 연구는 신해혁명의 성격을 해명함에 있어 나아가 그것의 한계를 설명함에 있어 중요한 연구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 의식하에 본고는 신해혁명 시기 혁명파 내부의 전통적 지식인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의 國粹學派와 그들에 의해 전개된 國粹主義 운동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제 1장에서는 국수학파를 성립시킨 당시의 시대배경과 국수학파의 성립과정 그리고 國粹保存會의 구체적 활동 상황을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국수학파의 學術觀이라는 제목하에 전통적 학술, 사상이 당시의 민족적, 문화적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재해석 되고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이와 같은 국수학파의 학술관에 주요한 근거를 두고 아울러 당시의 서구의 사회학,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구축된 국수학파의 민족주의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제 4장에서는 국수학파의 사회주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인식, 특히 그것들과 민족주의와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상 네 장은 1908년 이전 국수학파가 사상적으로, 사회적으로 근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던 시기의 활동과 사상에 집중된 것이며 마지막 제 5장에서는 국수학파의 초기입장이 점차 쇠퇴해 가면서 활동면에서나 사상면에서 침체되기 시작하는 1908년 이후부터 신해혁명까지 그리고 신해혁명 이후의 활동을 추적해 보았다. 이상 다섯 장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국수학파의 성립은 1905년 國學保存學會의 설립과 그 기관지 『國粹學報』의 창간을 기점으로 삼는다. 국학보존회는 당시 고조되고 있던 排滿民族主義에 호응하여“學亡”을 우려하는 많은 지식인들의 문화적 위기의식 아래 직접적으로는 일본의 국수보존운동에서 시사를 받아 성립하였다. 그 구성원의 대부분은 어려서부터 전통적 교육을 받아왔고 국학의 기반이 깊었던 자들로 당시 교육계나 출판계에 종사하고 있던 젊은 연령의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은 대개 당시의 교육계나 출판계에 종사하고 있던 젊은 연령의 지식인 들이었다. 그들은 대개 당시 경제적 문화적 선진지대였으면서도 전통의 뿌리가 깊었던 江蘇 浙江등 東南 沿海지역 출신이었다. 그들은 대부분 곧 이어 성립하는 同盟會에 가입하지만 국학적 소양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孫文집단에 대해 상당한 불만과 반발을 갖고 있었다. 국학보존회는 직접 인쇄소를 운영하면서 기관지『國粹學報』외에 많은 국학관계 도서를 간행하였으며 희귀본 서적을 다량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 藏書樓를 건립하였고 아울러 문화예술품의 수집에도 적극적이었다. 또한 후진의 양성을 위해 國學講習會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러한 작업들은 일차적으로는 당시 가속화하고 있던 서구문화의 유입 앞에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발양한다고 하는 문화적 목적 아래 진행된 것이지만 그 이면에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청조의 漢民族에 대한 가혹한 지배상황을 폭로하고 이로써 排滿 사상을 격발 시킨다고 하는 정치적 목적이 숨어 있었다. 실제로 『국수학보』는 단순한 학술 잡지로서 뿐 아니라 『民報』와 함께하는 선전매체로서도 일정한 영향력을 갖고있었으며 특히 완고한 士大夫, 그리고 新軍들로 하여금 혁명에 나서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국수학파의 이러한 활동은 당시 많은 지식인에게 영향을 주어 이후 국학의 보존과 발양을 표방하며 간행된 잡지가 많이 출현하게 된다. “國粹”라고 하는 用語는 日本 明治시대의 新造語로 중국의 국수학파는 그것을 중국의 전통문화유산이라고 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였다. 전통적 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서의 국수학파에게 있어 국수의 발양이란 무엇보다도 국학의 부흥을 의미하였다. 그들은 국학이란 국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그것은 存亡은 民族, 國家의 存亡으로 연결된다고 생각하였다. 阿片戰爭으로 시작되는“서양의 충격”이 사양의 우위 특히 서구학문의 우위를 과시했을 때 중국 지식인의 반응에는 敬意과 反撥이 공존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주체성을 保持하면서 그 한도 내에서 서양의 학문을 흡수한다고 하는 굴절된 자세로 나타났다. 서양의 학문에 代置할 만한 또는 代置 가능한 중국의 학문을 확립 해내는 것이 당시의 지식인에게 부여된 急務였다. 洋務派의 中體西用論은 그 原初的 형태로 위치지울 수 있다. 그러나 中體西用論이란 洋務派에 한정된 고정된 사유구조이기 보다는 對應의 유사성만을 생각 한다면 獨逸의 浪漫主義, 러시아의 슬라브주의, 그리고 朝鮮의 東道西器論, 日本의 和魂洋才와 같이 異質的 文化를 수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하나의 논리구조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양무파의 중체서용론에 있어 대치할만한 중국의 학문이란 體制公認의 學으로서의 儒敎였다면 국수학파는 淸朝의 考證學을 계승하고 그 밖에 중국의 전통 학술 중 現在에 有用性을 갖는다고 생각되는 것을 총동원하였다. 그들이 특히 顯彰한 것은 諸子學으로 서학과의 대비를 통해 제자학이 갖는 현재의 유영성을 역설 하였다. 나아가 역대로 지배층을 위해 봉사해온 “변질된” 유교에 비판을 가하고 공자 또한 제자의 한 사람으로 위치지웠다. 이와 같은 사고의 근저에는 공자를 宗敎家로 보려고 하는 康侑爲, 梁啓超 등 保皇派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今文學에 대해 공자를 學術家, 歷史家로 보려고 하는 古文學의 전통이 놓여 있었다. 그들은 지배층의 體制敎學으로서의 유교도, 康侑爲의 改制敎學도 아닌 유교를 포함하는 중국의 전통 학술을 총동원하여 西學에 代置 할 수 있는 중국의 학문으로 제출하였다. 그들이 이 중국의 전통 학술 총체를“國學”이라 칭한 것은 西學에 대한 의식을 엿보게 한다. 그러나 국학이란 君主에 봉사하는 학문, 즉“君壑”이어서는 안되며 民間의 士大夫에 의해 영위되어 온 것으로서 보존될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현재에 유용성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 그들은 국학의 기반 위에서 그리고 당시 중국에 소개된 西學 중 그들의 주장을 補强하고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것들을 선택하여 자신들의 이론을 구축해 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民族主義 였다. 중국에서“民族”,“民族主義”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을 전후해서였다. 그러나 중국에 있어 太古로부터 잠재해 온 本能과도 같은 민족주의로서의 嚴“華夷之防” 즉 攘夷 사상은 이미 春秋시대로부터 발생, 오랬동안 이민족 침입에 대한 정신적 무기로 작용해 왔다. 국수학파는 이 攘夷 사상에 근대 서구의 生物進化論, 社會進化論을 결합시켜“反滿”나아가“反滿” 민족주의의 이론 기초를 삼았다. 그들의 배만 민족주의는 일차적으로는 이민족의 열등성을 타고난 것으로 규정하고 열등한 이민족으로서의 淸朝의 漢族에 대한 지배를 거부한다고 하는 種族主義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어 종족주의는 漢族과 滿族의 文化的種族的 동화를 주장하며 청조를 온존시킨 채 改革의 방법을 통해 중국의 근대화를 추진하여 했던 康侑爲 노선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위한 논거로서 제시된 것이었다. 사실 그들은 韓民族이 역사상 수많은 소수 민족과의 동화를 통해 형성된 것임을 인정하였고 이민족의 漢化를 거부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종족주의를 문화민족주의와 결합시킴으로써 당시 사대부들에게 커다란 호소력을 가질 수 있었다. 言語, 風俗, 歷史를 공유하는 것은 정치적 소산으로서의“民族”이 아니고 역사적 소산으로서의“民族(種族)”이다. 그들은 문화는 민족에 의해 생기며 문화의 興亡盛衰는 민족의 興廢에 달려있다고 생각하였다. 梁啓超 에 의해 이론적으로 다듬어진 정치적 민족주의는 淸日戰爭 후의 정치적 위기 중에서 전통적인 사고틀과 가치 기준을 유지한 채로는 保國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자각적 반성에서 출현하였다. 장병린으로 대표되는 국수학파의 민족주의는 이에 대한 반발에서 출발,“역사를 떠난 민족은 있을 수 없다” 고 하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민족 청조지배라고 하는 특수한 조건하에서 그들의 문화민족주의는 쇼비니즘, 민족제국주의로 흐르지 않고 오히려 각 민족 고유의 문화가 갖는 개별적 가치를 존중한다고 하는 문화상대주의의 입장을 띠었다. 이와 같은 문화민족주의의 바탕위에서 그리고 당시 그들이 교제한 일본의 사회주의자들의 영향을 통해 그들은 점차 단순한 배만 민족주의에서 반제민족주의로 나아갔다. 국수학파는 1907년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사회주의, 무정부주의를 선전하기 전 이미 국내에서 서구의 사회주의, 무정부주의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왔고 그것을 국내에 적극적으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그들에 의해 서구의 사회주의, 무정부주의는 “국수”라고 하는 여과장치를 통해 심한 굴절을 거쳐야했다. 더욱이 일반적 통념과는 달리 그것들은 국수학파가 가장 역점을 두고 전개해 온 민족주의와 위배되지 않는 것으로서 이해되고 소개되었다. 그들의 사회주의, 무정부주의는 서구 문화의 충격아래 위기의식을 갖고 있던 그들에게 있어 독자적 근대의 모색이었다는 점에서 국수주의의 연장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사배의 경우를 통해 보았듯이 중극 전통사회에서 서구 사회주의의 가능성을 발견해 낸다든지 전제군주체체에서 무정부주의 실현의 가능성을 찾아낸다든지 하는 것은 지나치게 안일한 사고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유사배는 당면의 혁명의 과제인 배만 혁명을 무정부주의혁명, 사회혁명 중에 포괄시켜버리고 있는데 그것이 갖는 이상주의는 차치하고라도 현실적으로 그것은 혁명의 역량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유사배의 변절이 있었던 1908년을 전후하여 국수학파는 정치적 입장에 변화를 보이기 시적한다. 그 이전까지 그들은“國粹保存”,“古學復興”의 구호하에 혁명을 고취하는 수많은 저술, 논문을 발표했으며 立憲派와의 투쟁, 봉건사상과의 투쟁에서 어느정도 공헌하였다. 그러나 1908년 이후 그들의 혁명 색채는 점차 퇴색하고 純學術性의 논문 또는 단순히 전통문화를 찬미할 뿐인 논문으로 대체되어 간다. 국수학파의 이와같은 변화는 章炳麟, 劉師培 등 국수학파 중심인물들의 孫文 집단과의 잇따른 불화와 장병린이 주편을 담당해온 民報의 封禁 그리고 유사배의 變節 등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각기 다른 목적하에 “國粹”를 제창하고 있던 張之同 등 淸廷내부에서의 국수운동 그리고 학문적 입장에서 국수학파에 친밀감을 느끼고, 함께“국고”를 정리할 것을 제안하며 국수학파 내부로 접근해온 장건, 鄭孝胥, 陳三立등 立憲派에 대한 국수학파의 “제휴”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들은 각기 정치적 입장을 달리해 왔지만 혁명파 내부의 보다 전통지향적인 집단으로서의 국수학파라 할 때 특정한 조건하에서는 학문적 후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1908년 이후 이와 같은 국수학파의 정치적 입장의 변화에 대해 柳亞子, 高旭, 陳去病 등은 불만을 느끼고 따로이 反淸革命文學團體 南社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南社또한 초기의 열정이 쇠퇴하면서 일부 社員들간에 내분이 끊이지 않았다. 1911년이 일어난 신해혁명으로 청정이 멸망하자 국수학파는 자신들의 임무가 끝났다고 생각하고 1912년 초, 제 82기를 끝으로 1905년의 창간이후 7년간 중단 없이 간행해 온 『국수학보』를 정간한다. 그러나 이것으로써 중국 근대의 국수학파와 국수주의의 생명이 끝난 것은 아니었다. 신해혁명 후의 復古 逆流에 대해 論理革命과 白話文學을 창도하며 일어난 新傅統主義的 新文化運動에 대해 신해혁명 전 국수학파를 계승한 北京人 내부의 國故 月刊과 東西大 교수를 주요 필진으로한 學衡 잡지는“국수의 보존”이 여전히 유효함을 주장하고 나아가 白話文을 반대하고 古文이 갖는 가치를 역설하였다. 신해혁명 준비시기 국수학파의 역할을 상당히 큰 것이었다. 그들은 학술을 빌어 당시의 정치적 과제, 즉 배만혁명에 공헌한 것이다. 그들이 갖는 진보성은 신해혁명과 함께 종결되었고 이후 그들은 무화면에서 전통주의를 고수하고 反“西化”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문화면에서의 보수주의는 1930년대에 보다 큰 작용을 했고 보다 정치화한 戴李陶, 陳立夫 등 國民黨 新傅統主義者에게까지 계승되었으며 심지어 최근 臺灣의 中華文化復興運動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들이 갖는 보수성에 대한 평가 여하를 떠나 중국 근 현대사상 국수주의가 갖는 생명력과 비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