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디드로 소설의 아이로니 연구

Title
디드로 소설의 아이로니 연구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De nos jours, il est de fait que Diderot est considere, avec Voltaire et Rousseau, comme un des auteurs representatifs du 18e siecle et, surtout, comme un precurseur de l’anti-roman moderne par ses reflexions novatrices sur le genre romanesque. Mais ce jugement qui nous parait evident ne date pas de longtemps. Non seulement les critiques de son epoque et ceux du 19e siecle, qui n’ont pas bien compris la valeur litteraire de ses romans, mais aussi ceux du 20e siecle prennent souvent Diderot pour un auteur improvisateur ne cessant de changer, de sorte qu’il leur etait impossible de comprendre ses oeuvres dans un systeme significatif et coherent. Ces jugements viennent essentiellement, nous semble-t-il, du fait qu’ils ont souligne demesurement les traits apparemment confus et troublants de l’ecriture de Diderot. Mais nous ne croyons pas que l’exsitence des contradictions et de l’ambiguite, qui est effectivement, un phenomene commun dans les romans de Diderot, ne tienne a la disposition improvisatrice de l’auteur et a son manque de composition. Au contraire, nous croyons que ces contradictions et cette ambiguite apparentes sont les effects de l’ironie, liee a la strategie narrative de l’auteur. Dans cette perspective, nous nous proposons d’analyser les divers aspects de l’ironie dans les principqux romans de Diderot, La Religieuse, Le Neveu de Romeau et Jacques le Fataliste sous les trois categories suivantes: les carateres des perspnnages, les formes narratives et le sujet global de l’oeuvre. Cette analyse nous amenera a constater que les soi-disant contradictions et ambiquite sont en fait les effets de l’ironie suggerant implicitement l’intention de l’auteur sous le sens apparent et que l’emploi frequent de l’ironie est en rapport direct avec la methode dialectique de Diderot dans le developpement de ses arguments.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essaierons de definir la nature de l’ironie litteraire et de montrer les bases theoriques qui permettent de distinguer le sens global de l’ironie dans chaque roman de Diderot d’apres sa nature thematique: l’ironie tragique de La Religieuse par la fin tragique de la vie de l’heroine, l’ironie satirique dy Neveu de Rameau ou l’ironie est souvent employee comme moyen efficace de la critique sociale, et d’ironie paradoxale de Jacques le Fataliste ou toutes les sortes de l’ironie coexistent sans s’exclure, ce qui rend difficile de trouver la conclusion ideologique de l’auteur. Dans le troisieme chapitre, nous envisagerons d’abord les caracteres de l’heroine dans lesquels se montrent contradictoirement l’obeissance innocente et la volonte inflechissable, la foi sincere et le refus obstine de la vocation religieuse. Ensuite, nous essaierons d’anlyser les contradictions au niveau des evenements, issues de la confusion du passe de l’histoire et du present de la narration part le double statut du temps du recit, c’est-a-dire la forme de memoires et celle du roman epistolaire. C’est dire que les contradictions manifestes des caracteres de l’heroine et du deroulement de l’histoire sont, plutot que le resultat de la negligence de l’auteur, liees a sa strategie minutieusement preparee pour faire croire au lecteur l’innocence fictive de l’heroine jusqu’a la fin de la lecture. Car; faisant de l’heroine une victime innocente, l’auteur peut faire sentir a celui-la plus d’emotion et de pitie susceptibles de relever le tragique du drame. Cela veut dire que Diderot a cree volontairement des contradictions psychologiques et narratives pour rendre plus convaincante sa critique contre l’institution couventuelle et qu’il a trouve dans l’ironie un moyen efficace pour son but litteraire et ideologique. Dans le quartieme chapitre, nous essaierons de preciser d’abord les abservations satiriques de la realite dans Le Neveu de Rameau or l’ironie devient plus explicite a mesure qu’- qugemente l’ambiduIte relectant la methode caracteristique de la pensee dialectique de l’auteur. Ensuite, nous essaierons d’analyser les caracteres du heros paradoxal montrant le desaccord entre l’apparence et le fond, et de preciser la technique narrative mettant en contraste “Lui” et“Moi”. A travers ces analyes, nous pouvons constater que la nature divisee de Rameau, qui est a la fois un fou degrade et un sage perspicace, et la technique narrative de dedoublement mettant en contraste “Lui” et“Moi”, permettant la distanciation de l’auteur, sont en fait la cause principale de l’augmentation de l’ambiguite dans cette oeuvre. Nous croyons que les caracteres contradictoires de Rameau sont des preparatifs pour denoncer la societe corrompue par la perspective d’un connaisseur degrade et que l’ironie issue du dedoublement des vues et des valeure differentes entre Rameau et le philosophe sert a l’auteur de methode speculative pour reveler sa proper contradiction interieure. Dans Javques le Fataliste, il existe des contradictions a plusieure niveaux: entre le lecteur et le narrateur a l’exterieur de l’univers romanesque, entre les caracteres et les roles de Jacques et de son maitre et aussi entre l’histoire principale et les episodes intercales. Dans le cinquieme chapitre, nous essaierons d’apprehender l’esprit experimental de Diderot, recherchant la possibilite de l’anti-roman par le refus methodique des canons du roman traditionnel, et ses opinions sur le fatalisme et le jugement moral en analysant divers aspects de l’orpnie dans cette oeuvre. D’ailleurs l’emploi de l’ironie dans ce roman montre un mode nouveau par rapprot aux oeuvres precedentes. C’est que, au lieu de servir a relever le tragique du drame ou a denoncer la realite, l’ironie est employee ici comme technique realiste proper a Diderot pour decrire la realite complexe et variee dans son ensemble. Grace a l’ironie, il se permet de prendre ses distances par rapport a l’univers romanesque et de considerer tous les sujets traites dans le roman dans une vue globale, libere d’un point de vue etroit et fixe. Cela veut dire que le reel auquel vise Diderot ne se borne pas au niveau de l’appareil decoratif assurant le tragique du drame par la description realiste des details comme c’etait le cas de La Religieuse. En situant le lecteur dans la conversation fictive au niveau extradiegetique du roman, l’auteur accorde au narrateur le privilege d’intervenir librement dans le recit, de faire des digressions ou d’interrompre le deroulement de l’histoire a son gre comme s’il s’agissait d’une grande conversation entre le elcteur imaginaire et le narrateur. L’image de cette conversation, de laquelle il est impossible de prevoir la direction, montre en effect celle de la realite complexe qui ne cesse de changer. C’est precisement l’ironie qui rend possible cette liberte a la narration et, par consequent, l’ironie devient une technique narrative realiste destinee a decrire dans son ensemble la realite plenie de contradictions. Les analuses de l’ironie nous amenent a verifier le processus de modification des romans de Doderot: il a commence par le realisme pathetique de La Religieuse, mais dans Jacques le Fataliste, l’auteur finit par chercher a creer un nouveau realisme en detruisant lui-meme l’illusion romanesque. En conclusion, nous croyons que l’ironie est une technique constante de l’ecriture de Diderot dans ses divers essais experimentaux du genre romanesque: depuis le realisme pathetigue, qui etait son point de depart, jusqu’a l’experience du nouveau realisme, l’ironie constitue son principe de la creation litteratire. Dans cette etude, nous avons constate que la modernite de Diderot, qui a essaye un anti-roman il y a plus de deux siecles, etait en fait le resultat de sa proper methode de la pensee dialectique et, comme technique narraitve, de l’ironie susceptible d’exprimer un tel processus. Il faut donc conclure que les contradictions et l’ambiquite dans les oeuvres romanesques de Diderot ne tiennent pas a l’incapacite de l’auteur, mais a la strategie narrative preparee minutieusement par l’auteur pour que le lecture puisse deviner son intention sous le sens apparemment contradictoire.;오늘날 디드로는 볼테르, 루쏘와 함께 18세기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소설 쟝르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일찍이 시도한 누보로망의 선구자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디드로는 문학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동시대와 19세기 비평가들 뿐만 아니라 그의 작가적 재능을 인정하는 20세기의 비평가들도 그를 모순과 혼돈의 작가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일견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디드로의 사고의 특성을 강조하여 일관성 있는 틀속에 체계화할 수 없게 부단한 변화를 거듭하는 즉홍적인 작가로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모순과 애매모호함이 디르로 소설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러한 현상이 그의 즉홍적인 기질과 구성력 결여의 결과가 아니라 작가의 의도적인 서술 책략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디드로의 대표적인 소설 작품인 <수녀>, <라모의 조카>, <운명론자 쟈크>를 분석함으로써 작중인물의 성격, 서술형식, 주제에서 나타나는 모순과 애매모호함이 기실은 표면적인 의미 속에 감추어진 작가의 의도를 교묘하게 드러내는 아이로니의 빈번한 사용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아이로니의 용법은 디드로의 변증법적 사고방식과 직결되는 것이라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 Ⅱ장에서는 아이로니의 성격을 정의하고, 세 소설을 녹스의 주제에 의한 분류에 따라, 주인공의 생애가 비극적으로 끝나는 <수녀>를 비극적 아이로니, 아이로니가 풍자의 수단이 되는 <라모의 조카>를 풍자적 아이로니, 다른 유형의 아이로니의 속성을 공요하고 있는 모든 것이 상대적인 <운명론자 쟈크>를 역설적인 아이로니로 구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제 Ⅲ장에서 <수녀>를 대상으로 작가가 의도적으로 부각시키려는 주인공 쉬잔느의 순진무구함과는 어울리지 않는 강인한 투지, 진실한 신앙을 갖고 있으면서도 시종일관 수녀가 되기를 거부하는 이율배반적인 행동 등에 나타나는 모순을 살펴보고, 수기의 형식과 서한체 소설이라는 이중의 설정을 통해 사건이 일어난 시점인 과거와 그것을 회상하며 서술하고 있는 현재라는 분리된 두 시점이 뒤섞여 버리는 작위적인 상황의 모순을 검토한다. 주인공의 성격과 사건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순은 작가의 부주의 탓이라기 보다는 주인공의 허구적인 순진함을 독자가 끝까지 믿도록 하기 위한 계산된 책략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작품에서 아이로니는 쉬잔느를 순진무구한 희생양으로 만듦으로써 독자에게 더 진한 감동과 분노를 자아내어 극적인 비극성을 고조시키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사용된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작가는 수녀원 비판에 더 강한 설득력을 부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순된 상황을 설정하고 아이로니의 수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제 Ⅳ장에서는 작가가 풍자의 대상으로 삼은 현실을 묘사하는 방법에, 그의 변증법적인 사고의 특성이 반영되어 애매모호함이 증폭됨으로써 아이로니가 더 분명히 드러나는 <라모의 조카>를 고찰한다. 외양과 내면의 부조화를 보이는 역설적인 인물 라모의 성격과, <나>와 <그>를 대비시킨 서술방식을 검토해 보면, 타락한 광대인 동시에 혜안을 지닌 현자라는 라모의 모순된 이중적 속성과 작가가 작중인물과 거리를 두는 서술 방식인 <나>와 <그>의 이중화 현상이 이 소설의 애매모호함을 증폭시키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결국 라모의 성격적 모순은 한 개인의 타락상을 통해 사회전체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고, 또 상반되는 가치관의 소유자인 철학자와 라모라는 작중인물의 이중화에서 나타나는 아이로니는 작가 자신의 내적 모순을 탐색하는 철학적 사색의 수단이 된다. 제 Ⅴ장에서는 <운명론자 쟈크>의 작중인물인 독자와 화자, 쟈크와 그의 주인의 성격과 역할에서 드러나는 모순을 살펴본다. 우리는 여기에 나타나는 아이로니의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전통적인 소설의 부정을 통해 새로운 소설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디드로의 실험정신과, 운명론적 도덕적 판단에 대한 그의 견해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설에 나타나는 아이로니의 용법에서는 앞서의 작품과는 다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수녀>나 <라모의 조카>에서 처럼 극적감동을 고조시키거나 비판하기 위한 수단 대신에, 복잡하고도 다양한 면모를 지닌 현실을 묘사하는 디드로 특유의 사실주의적인 방법으로 아이로니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작가는 아이로니를 사용함으로써 소설 속에서 논의되는 모든 주제를 고정된 하나의 관점이 아니라 포괄적인 시각으로 서기를 두고 바라보게 된다. 결국 디드로가 지향하는 사실성은 <수녀>처럼 현실적인 세부사항에서 비롯된 극적 감동이 보장해 주는 장치의 수준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서술외적 층위의 대화에 등장시킨 독자를 이용해서, 화자가 자유롭게 시도하는 이야기 속의 개입이나 탈선, 중단처럼 그 전개를 예측 할 수 없는 대화 자체가 부단하게 변화하는 현실의 복잡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자의 자유로운 행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아이로니이며, 따라서 아이로니는 모순이 존재하는 현실을 포괄적으로 묘사하는 디드로 특유의 사실주의적인 서술 기법이 되는 것이다. 세 소설에 나타난 아이로니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디드로 소설의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디드로는 <수녀>의 감상적 사실주의로부터 출발하지만, <운명론자 쟈크>에 이르러 작가가 감동적인 화상을 스스로 파괴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주의를 시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소설쟝르에 대한 반성과 당대의 소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소설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디드로가 시도한 다양한 소설 양식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서술 기법의 특징으로 아이로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출발점인 감상적 사실주의의 단계에서부터 새로운 사실주의의 시도에 이르기 까지 그의 소설창작의 원리로 나타나는 기법이 바로 아이로니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서, 오늘날 18세기 작가이면서 두세기를 앞서 반소설을 시도한 디드로의 현대성은 그 특유의 변증법적인 사고와 그것을 담을 수 있는 표현형식인 아이로니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디드로 작품의 모순과 애매모호함은 작가의 무능력 탓이 아니라, 표면적인 의미속에 감추어진 의도를 독자가 짐작할 수 있도록 작가가 마련한 계산된 책략이라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