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애선-
dc.creator최애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0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 level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aged women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It also aims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 strategy to prevent and resolve stress based on the findi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66 women aged between 40-60, and the research tools is a questionnaire containing 8 questions ab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14 questions about stress level and 48 questions about social support. To measure stress level perceived by the middle-aged women, we utilized the tool that Shin-jeong Kim et al. (1990) adapted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with 14 question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In addition, to investigate tangible support, affirmative support, belonging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we adopted the tool that was standardized by Jeong-hee Kim & Jang-ho Lee(1987) based on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that had been developed by Cohen & Hoberman (1983) to measu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otential quality of social support. The present researcher collected data between 17th of September and 12th of October in 2001 by visiting the subjects in person, distributing written consents and questionnaires, and collecting them after 2 or 3 day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SAS 6.12. The answers to each question were coun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religion, family type, economical status, employment and the menopaus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7.3 years, and 44.7% of them were in their early forties, and 56.4%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89.1% were married, and 46.6% were Christians. As for family types, 76.7% were living with the husband and children. Economically, 36.0% of them earn between 2,000,000 and 2,990,000 won, and 51.5% were unemployed. 51.5% of the subjects were before the menopause, 21.1% at the menopause and 27.3% after the menopause. 2.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The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in the present research was average 1.67, which meaned 'often stres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Perceived Stress Scale was high but the ambiguity of the word 'past month' affected to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of former study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e symptoms and stress but 51.5%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before the menopause. The tool of this study utilized to investigate stress level was not so sensitive tool of the stress of experienced by middle aged women 3.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In the present research, the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was average 2.22, which meaned over the middle value of social support. If we investigated each subscales, the tangible support appeared 2.44, the highest, and the self-esteem support 2.06.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search by Yun Jin, Jang(2001) that social support was lower than middle value and the tangible support level was the lowest. 4.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ress level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ges(p=.0017), different economical conditions(p=.0015), and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p<.0001). 5.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otal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rried and unmarried(p=.0139). In addition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tangible support(p=.0411), affirmative support(p=.0003) and self-esteem support (p=.019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economical condition, self-esteem support(p<.0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menopause as well, self-esteem support (p=.042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lf-esteem support of those before the menopause was highest. 6.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stress level and total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statistically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self-esteem support of the subjects (r=0.1357, p=.0268). Playing multiple roles of the wife, the mother, a daughter-in-law and an employee, and undertaking various duties, middle-aged women are perplexed by stress they experience in the course of life. With respect to quality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the health of their family,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stress of middle-aged women and to provide increased social support so that they can prevent and overcome the stress.;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0-60세 중년여성 266명이며 연구 도구는 일반적 배경 8문항, 스트레스 정도 14문항, 사회적 지지 정도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스트레스 정도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스트레스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 PSS)를 김신정 등(1990)이 번안한 총 14문항으로 된 도구를 사용하여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 정도는 사회적 지지의 인지된 유용성과 잠재적 질을 측정하기 위해 Cohen과 Hoberman(1983)이 개발한 대인관계 지지 평가 척도(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 ISEL)를 기초로 김정희와 이장호(1987)가 번안한 총 48문항으로된 도구를 사용하여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소속감 지지 및 존중감 지지를 조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9월 17일에서 10월 12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를 방문하여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설문지를 배분하여 2-3일 후에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6.1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pearman rank correlation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연령, 교육정도, 결혼 상태, 종교, 가족형태, 경제상태, 직업유무, 폐경 여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7.3세이었고, 40대 초반 44.7%, 교육 정도는 고졸 56.4%, 결혼 상태는 기혼 89.1%, 종교는 기독교 46.6%로 가장 많았다. 가족형태는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살고 있는 유형 76.7%, 경제상태는 가계 월수입 200만원에서 299만원인 경우가 36.0%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51.5%가 직업이 없었고 51.5%가 폐경 전 상태였다. 2.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67점으로 스트레스가 '가끔 있다' 정도를 의미하였다. 이는 연구 도구 자체의 신뢰도는 높았으나 연구도구에서 사용한 질문에서 '지난달'이라는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한 이해부족과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발표한 갱년기 증상의 영향으로 인한 스트레스와의 유의한 상관관계에 비추어 본다면, 본 연구 대상자의 51.5%가 폐경 전 상태로 스트레스 점수가 낮게 보고되었다고 사료된다. 즉,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한 도구가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독특한 스트레스와의 내용 타당성을 재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3.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평균 2.22점으로 중간이상의 지지를 받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사회적 지지 정도를 하위 변인별로 나누어 보면 물질적 지지가 평균 2.4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존감 지지가 2.06점으로 측정되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자존감 지지를 가장 적게 받고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는 장연진(2001)이 도시 저소득층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정도에 대해 연구한 결과 중간값 전후의 비교적 낮은 지지 수준을 보였고, 물질적 지지의 수준이 가장 낮았던 것과는 차이가 나는 결과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p=.0017), 경제 상태(p=.0015)와 직업유무(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사회적 지지는 결혼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39).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결혼상태는 물질적 지지(p=.0411), 평가적 지지(p=.0003)와 자존감 지지(p=.019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제상태와 자존감 지지(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가계의 월수입에 따라 자존감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상태와 자존감 지지(p=.042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와 전체 사회적지지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위별로 보면 자존감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1357, p=.0268).-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II. 문헌고찰 A. 스트레스 = 6 B. 사회적 지지 = 11 C.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 15 III.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 18 B. 연구 대상 = 18 C. 연구 도구 = 18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20 E. 자료 분석 방법 = 20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21 IV. 연구 결과 및 논의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대상자의 스트레스 = 23 C.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 26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 28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 30 F.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 33 G. 연구의 제한점 = 34 V.결론 및 제언 A. 결론 = 35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1. = 48 부록 2. = 49 부록 3. = 54 영문초록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6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