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인순-
dc.creator서인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13-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increase of the aged and dementia patients, the problems caused by dementia are emerging as a critical social problem beyond a domestic problem. In Korea, because of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 emphasizing filial piety and the lack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most of dementia patients are being taken care of at home. So far, the studies on dementia have been generally made regardless of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so they haven't identifie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that a dementia patient's family members had to experienc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daughters- in-law's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demented mothers-in-law. Because the care-givers in the families are usually daughters-in-law, and they are liable to be neglected still as a silence group even in a changed society like today. This study has adopted a Narrative Inquiry by Connelly & Clandinin (2000).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 proper studying method for understanding daughters-in-law's personal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demented mothers-in-law, and it helped to reveal the daughters -in-law's voices as they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daughters-in-law who were taking care of their demented mothers-in-law at h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n-the-spot observation. And the interviews and observation were made from December, 2001 to March, 2002. Among the data were interview records, field notes, and the subjects' diaries. We analyzed the data by reading between the lines of the field texts, by narratively coding them, by reconstructing and describing the subjects' stories about their care-giving experiences. Next, we induced the meanings of their care-giving experiences. The stories of the daughters-in-law's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demented mothers-in-law were as follows; The story of the first woman A's experiences: making a secret of the attack of dementia; being disgusted with cleaning the mother-in -law's excrements; feeling heartbroken with repetitive weird behaviors; feeling burdened alone with many duties; resigning herself to her fate; depending on her mother-in-law though she is not helpful at all; pouring forth her depressed heart; getting encouraged with others' praises of herself; being worried if the hard times would get prolonged. The story of the second woman B's experiences: desire to inform her husband's family members of the demented mother's critical situation through a thorough medical check; difficultly deciding to take care of her mother-in-law for the peace of her family; the lasting hard times; desire to give up her family because of the conflicts with her husband's sisters; trying to find a meaning of care-giving life; looking for a job because of an increasing financial problem; senses of guilt and resentment; unstabled married life due to the conflict with her husband; desire to leave her demented mother-in-law to her husband's sister or brother. The story of the third woman C's experiences: feeling thrown into despair with the announcement of dementia; justifying herself to send her mother-in-law to a nursing home; feeling honored in bringing her mother-in-law into her home; desire to give up the duty if possible; turning to a religion for support; feeling hard to support herself due to menopause; feeling sad more and more in spite of her desire for compensation; desire to live a life which she wants. Anyway, the meanings of three daughters-in-law's care-giving experiences, who took care of their demented mothers-in-law, could be interpreted as 'the life without her own life', 'the lonely burdened life', 'the desire to break herself from her husband's family members', 'unwillingly doing her duty', 'expecting some compensation from her husband', 'a sense of pride in doing her duties', and 'feeling herself exhausted'. From the above results, we could find that the daughters-in-law, though they were taking care of their mothers-in-law in the traditional family relationship, just unwillingly or unkindly took care of the demented mothers-in-law. And they didn't have any positive support from her husband's family members as well as social facilities. Moreover, because they had to raise children, manage her household, have a job, and care for her own parents at the same time, they were so depressed psychologically, physically, and socially that they were injuring their health.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nursing is that it could provide a development frame for nursing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daughters-in law's care-giving experiences and by identifying the universal and peculiar characteristics which the care-givers could experience.;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의 증가와 질병특성으로 인해 치매 문제는 한 가족의 문제에서 벗어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효 중심의 전통적 가치관이 지배하고 있고, 또한 공적 시설의 미비로 대부분의 치매노인들은 집에서 수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까지의 치매 가족 관련 연구들은 가족 관계를 구별하지 않고 연구되어 가족원만이 갖는 독특한 특성을 밝히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 노인 가족수발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고, 또한 변화된 가족 문화 속에서도 여전히 침묵의 집단으로 남겨지기 쉬운 집단인 며느리를 대상으로 하여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는 어떤 경험을 하며, 또한 그 수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목소리를 조각 내지 않고 잘 드러낼 수 있으며, 또한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개인적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적합한 연구방법인 Connelly & Clandinin(2000)의 내러티브 탐구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가정에서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세 명의 며느리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01년 12월부터 2002년 3월까지였다. 자료수집은 주로 면담과 현장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에는 녹취 후 필사본으로 작성된 면담자료, 현장일기, 참여자의 일기가 있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 즉, 현장 텍스트의 행간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내러티브적 코딩을 한 후 각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다시 재구성하여 그들의 수발 경험이야기를 기술하였으며, 또한 수발 경험의 의미를 도출해냈다.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씨의 수발 경험 이야기로는 <치매 발병 사실 비밀에 감추기> <'미운 똥' 치우기가 역겹고 고됨> <반복되는 기괴한 행동에 억장이 무너짐> <전혀 도와주지 않아 미워도 의지가 됨> <겹겹의 짐을 홀로 감당하게 됨> <내 운명으로 받아들임> <쌓인 감정을 쏟아 냄> <'잘한다'는 말에 힘을 얻음> <고난의 세월이 더 길어질까 두려움>이었고, 둘째 '나' 씨의 수발 경험 이야기로는 <가족의 화합을 위해 모시기로 어렵게 결심함> <확실한 진단으로 시댁 식구에게 심각성을 알리고 싶음> <고통의 나날들이 연속됨> <시누이와의 충돌로 내 팽개치고 싶음> <나름대로 의미를 찾고자 애씀> <가중되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일자리를 찾아 나섬> <죄책감과 분노감이 교차됨> <남편과의 갈등으로 결혼 생활이 흔들림>이었으며, 셋째 '다'씨의 수발 경험은 <설마 하다 받은 진단에 가슴이 덜컥 내려앉음> <시설로 보내면서 나름대로 합리화함> <집으로 모셔오면서 마음이 떳떳해짐> <의무를 느끼나 할 수 있다면 피하고 싶음> <기댈 곳 없어 신앙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됨> <내 몸도 폐경으로 추스르기 힘들어짐><보상받고 싶으나 섭섭함만 더 해 감> <이젠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싶음>이었다. 또한,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경험의 의미는 <내가 없는 삶> <홀로 감당해야하는 짐> <단절하고 싶은 시댁 식구들> <형식적인 섬김> <남편에 대한 보상기대> <도리 감수에 대한 자부심> <사그러드는 내 몸>으로 해석되었다. 1) <내가 없는 삶> 며느리들의 자아는 인륜과 도덕의 관계 속에 용해되어지기를 강요받고 있었으며, 시집을 위해 참고 희생하며 자기 것을 주장하지 않는 것이 미덕이라는 유교적 관념에 의해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고 있다. 그들은 비록 효 의식에 따라 수발의 도리를 감수하고 있다고 할 지라도 근대적 의미의 자아와 전통주의의 관계 속에서 크게 갈등하고 하고 있다. 2) <홀로 감당해야 하는 짐> 며느리들은 자신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과업을 수행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치매 시어머니에 대한 수발을 감당해내느라 큰 어려움 가운데에 있다. 며느리들은 핵가족화로 인해 약화된 가족원의 지지망 속에서 가족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또한 공적 서비스의 미비로 인해 휴식 공간 없이 치매 시어머니의 수발을 혼자 감당하고 있었다. 3) <단절하고 싶은 시댁식구들> 새로운 가족 문화 속에서 며느리들은 시누이의 지지를 기대하는 데 반해 시누이들은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출가외인임을 표방하며 수발의 책임에서 벗어나 있으며, 또한 지배적인 위치에서 오히려 며느리 수발을 감시 감독함에 따라 며느리와 시누이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4) <형식적인 섬김> 며느리들은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할 시 애정이나 공경의 요소가 없이 형식적인 수발을 하고 있었다. 수발의 동기가 애정보다는 책임에서 출발하였고, 또한 발병 전 이미 형성된 고부간의 갈등이 수발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며느리들은 도덕적 양심에 위배되지 않을 만큼의 수발을 하고 있다. 5) <남편에 대한 보상기대> 며느리들은 자신의 희생이 헛되지 않기를 기대하며, 가장 중요한 지지원으로 여기고 있는 남편으로부터 희생에 대한 보상받기를 기대하고 있다. 며느리들은 보상으로 수발에 대한 직접적인 조력뿐만 아니라 며느리 자신의 노고에 대한 인정, 그리고 친정에 대한 관심 등을 기대하고 있다. 6) <도리감수에 대한 자부심> 며느리들은 치매 시어머니 수발로 인해 많은 고통과 스트레스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수발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도리를 해낸다는 자부심은 특히 남편과 아들과의 관계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한편 주위 사람들의 칭찬은 도리 감수에 대한 자부심을 강화시키고 있다. 7) <사그러드는 내 몸> 며느리들은 치매 시어머니 수발로 인해 심신이 지쳐 있다. 신체적인 문제로는 만성 피로와 관절에 무리가 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년의 며느리인 경우는 며느리 자신의 폐경 증상이 겹쳐 수발을 더 부담스럽게 여기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들은 전통적인 가족 관계의 덫에 걸려 수발하고 있지만 마음도 없고 정도 없는 형식적인 수발을 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자원은 물론 시집식구로부터 긍정적인 지지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며느리들은 자녀 양육 역할 및 살림관리자 역할 뿐 만 아니라 직업 역할, 친정관리 역할까지 감당해야하는 상황 속에서 치매 수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며느리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억압되어 있으며 건강마저 해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며느리들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발 경험을 탐구함으로서 수발자가 가지는 보편적인 요소와 구별되는 특성을 밝혀냄으로서 며느리 수발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 개발에 그 기틀을 제공할 수 있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치매를 앓았던 나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 = 1 B.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6 C. 연구 문제 = 8 Ⅱ. 문헌고찰 = 9 A. 치매 가족 수발자(Family Caregiver) = 9 B. 치매 노인 며느리의 수발 경험 = 16 Ⅲ. 연구방법론 = 22 A. 내러티브 탐구 = 22 B. 자료수집 = 27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 27 2. 자료 수집 절차 = 30 1) 연구자 자신의 경험 이야기 쓰기 = 30 2) 현장에 들어가기 = 31 3)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 31 C. 자료 분석 = 35 D. 윤리적 고려 = 37 Ⅳ.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경험 이야기 = 39 A. '가'씨 이야기 = 39 1. '가' 씨 집안 환경 = 39 2. '가'씨와 그녀의 시어머니 = 41 3. '가'씨의 치매 시어머니 수발 경험 = 45 이야기 1. 치매 발병 사실 비밀에 감추기 = 45 이야기 2. '미운 똥' 치우기가 역겹고 고됨 = 46 이야기 3. 반복되는 기괴한 행동에 억장이 무너짐 = 52 이야기 4. 전혀 도와주지 않아 미워도 의지가 됨 = 55 이야기 5. 겹겹의 짐을 홀로 감당하게 됨 = 59 이야기 6. 내 운명으로 받아들임 = 64 이야기 7. 쌓인 감정을 쏟아냄 = 68 이야기 8. '잘한다'는 말에 힘을 얻음 = 70 이야기 9. 고난의 세월이 더 길어질까 두려움 = 71 B. '나'씨 이야기 = 74 1. '나'씨의 집안 환경 = 74 2. '나'씨와 그녀의 시어머니 = 76 3. '나'씨의 치매 시어머니 수발 경험 = 76 이야기 1. 가족의 화합을 위해 모시기로 어렵게 결심함 = 76 이야기 2. 확실한 진단으로 시댁식구에게 심각성을 알리고 싶음 = 79 이야기 3. 고통의 나날들이 연속됨 = 81 이야기 4. 시누이와의 충돌로 내 팽개치고 싶음 = 83 이야기 5. 나름대로 의미를 찾고자 애씀 = 85 이야기 6. 가중되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일자리를 찾아 나섬 = 87 이야기 7. 죄책감과 분노감이 교차됨 = 89 이야기 8. 남편과의 갈등으로 결혼 생활이 흔들림 = 91 C. '다'씨의 이야기 = 94 1. '다'씨의 집안 환경 = 94 2. '다'씨와 그녀의 시어머니 = 96 3. '다'씨의 치매 시어머니 수발 경험 = 98 이야기 1. 설마 하다 받은 진단에 가슴이 덜컥 내려앉음 = 98 이야기 2. 시설로 보내면서 나름대로 합리화함 = 100 이야기 3. 집으로 모셔 오면서 마음이 떳떳해짐 = 102 이야기 4. 의무를 느끼나 할 수 있다면 피하고 싶음 = 103 이야기 5. 기댈 곳 없어 신앙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됨 = 105 이야기 6. 내 몸도 폐경으로 추스르기 힘들어짐 = 107 이야기 7. 보상받고 싶으나 섭섭함만 더 해감 = 109 이야기 8. 이젠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싶음 = 112 Ⅴ.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경험의 의미 = 114 1. '내'가 없는 삶 = 114 2. 홀로 감당해야하는 짐 = 118 3. 단절하고 싶은 시댁식구들 = 121 4. 형식적인 섬김 = 124 5. 남편에 대한 보상 기대 = 127 6. 도리 감수에 대한 자부심 = 131 7. 사그러드는 내 몸 = 134 Ⅵ. 논의 = 137 A. 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 경험의 의미에 관한 논의 = 137 B. 간호학적 의의 = 146 1. 간호 연구와 이론 측면 = 146 2. 간호 실무 측면 = 147 3. 간호교육 측면 = 147 Ⅶ. 결론 및 제언 = 149 A. 결 론 = 149 B. 제 언 = 151 참고문헌 = 153 부록 1. 연구참여동의서 = 169 Abstract =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1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치매 시어머니를 수발하는 며느리의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내러티브 탐구 방법론-
dc.format.pagevii, 17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