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정다우리-
dc.creator정다우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29-
dc.description.abstractGreat amount of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are being excavated in historic sites of Goryeo such as kilns, tombs, Buddhist temples and government offices. However, in previous studies of celadon history,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did not gain much attention and were briefly discussed as one of many patterns. In fact, these were very popular in early and middle days of the Goryeo Dynasty. It was produced more than celadons with other patterns and mostly produced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It is a significant representative remains that show one side of celadons of the mid-Goryeo period. In this stud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were looked into based on those excavated in Korea, and various changes of those were examined through detailed analysis on excavated remains. Through such procedures, it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among many celadons produced in the mid-Goryeo period when the ceramic industry was being greatly spread. Most of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were produced in the mid-Goryeo period. The style of lotus petal patterns can be classified to three: their forms, compositions and engraving methods. Lotus petal pattern type I with intaglio lotus petals with wide vertical line inside, lotus petal pattern type II with single or double layered lotus petals with sharper ends compared to those of type I, and lotus petal pattern type III with narrower petals that was only engraved on cylindrical cups with vertical celadon wall. All 3 types were engraved on daily tableware including bowls, plates and cups using intaglio or emboss.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have similar style characteristics with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produced in China in similar period. Bowls of Goryeo lotus petal pattern I-1 and celadon bowls with lotus petal pattern excavated from the kiln site in Silongkou, Cixi City, Zeijiang, China, bowls of Goryeo lotus petal pattern II-1 and celadon bowls and celadon tray with lotus petal pattern excavated from Dabaianyao East Longshan, Zeijiang, China and cylindrical cups of Goryeo lotus petal pattern III-1 and white bows with vertically engraved flower pattern excavated from the kiln site in Quantaicizhou, Hebei, China are very similar.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excavated from Chinese kiln site are known their production years.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m are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similar period. Based on such data,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can be presumed.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excavated in Korea are produced mainly in two period, and they show changes by the period. The period 1 is from the late 11th centruy to the early 12th century. In this period, celadons with Goryeo lotus petal pattern I were mostly produced. The period 2 is from the middle of 12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In this period, productions with Goryeo lotus petal pattern I-2 continued, and new types, Goryeo lotus petal pattern II and III, started to be produced. Th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was produced massively compared to other celadons with patterns, and their consumption was nationwide. The reason these were that popular seems to be because of their easy imitative productions and emphasized patterns engraved on the whole outer surfaces. Therefore, it was easy to produce celadons with similar patterns in kilns that are not located in major ceramic production places, Gangjin and Buan. The ceramic industry of the Goryeo Period was developed around Ganjin, and it was spread to surrounding areas in the mid-Goryeo period. Since it was easy to produce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by imitation, their production areas spread, and their consumption became active.;고려시대 蓮瓣文瓷器는 고려시대에 속하는 가마터와 분묘, 사찰, 관청과 같은 여러 유적에서 많은 양이 출토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도자사 연구에서 연판문자기는 여러 가지 문양 중 하나로 소략하게 다루어져 연구대상으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실제적으로 고려시대 연판문자기는 고려 前,中期에 걸쳐 고려 내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특히 다른 문양자기에 비해 생산량이 많으면서도 고려 중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어, 고려중기 청자의 일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표식유물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출토되는 연판문자기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연판문자기의 생산과 소비 양상을 살펴보고, 출토 유물에 대한 면밀한 양식분석을 통해 다양한 연판문자기의 변화 양상을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요업이 확산되던 고려중기에 제작된 연판문자기가, 이 시기에 제작된 청자들 가운데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고려시대 연판문자기의 대다수는 고려중기에 제작되었다. 이 시기 연판문의 양식은 문양의 형태와 구성, 시문방법을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음각으로 연판을 그린 후 蓮瓣面 안에 넓은 세로선을 그은 연판문 I유형, 그리고 연판문 I유형보다 꽃잎의 끝이 뾰족한 형태의 연판이 1段 혹은 2段으로 시문된 연판문 II유형, 마지막으로 기벽이 수직을 이루고 있는 통형잔에만 시문되어 꽃잎의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인 연판문 III유형이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음각과 양각기법으로 발·접시·잔 등 일상기명에 시문되었다. 고려시대 연판문자기는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되어 시기별 변화양상을 보인다. 1期는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전반으로, 이 시기에는 연판문 I유형이 시문된 자기가 주로 제작되었다. 연판문 I유형은 11세기 후반부터 中心窯와 地方窯에서 각각의 양식으로 생산되었는데, 지방양식인 연판문 I-2유형은 자기반구병에 시문되어 12세기 전반까지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期는 12세기 중반에서 13세기로 연판문 I-2유형의 제작이 계속 이어지는 한편 새로운 유형인 연판문 II유형과 III유형이 제작된 시기이다. 고려시대 연판문자기는 다른 문양자기에 비해 많은 양이 제작되었고, 소비가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 연판문이 이렇게까지 유행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는, 모방제작이 쉬우면서도, 외벽 전체에 시문되어 문양 효과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자생산의 중심지인 강진과 부안지역 이외의 지방요장에서도 얼마든지 비슷한 형태의 자기 생산이 가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진지역을 중심을 이루어지던 고려시대 요업은 고려중기에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데, 연판문 역시 모방제작에 용이한 이점으로 인해 생산지역이 확장되었고 이와 더불어 소비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蓮瓣文瓷器 文樣의 淵源 5 1. 金銀器에 보이는 蓮瓣文의 조형적 특징 5 2. 中國의 주요 窯場 출토 蓮瓣文瓷器의 양상 9 Ⅲ. 高麗時代 蓮瓣文瓷器의 生産과 消費 23 1. 蓮瓣文瓷器의 조형 특징과 生産址 출토 양상 23 2. 蓮瓣文瓷器의 消費 遺跡 출토 양상 43 1) 해저인양 연판문자기의 특징 43 2) 분묘 출토 연판문자기의 특징 52 3) 사찰 출토 연판문자기의 특징 63 4) 건물지 출토 연판문자기의 특징 75 Ⅳ. 中國 蓮瓣文瓷器의 양식 변화와 고려자기에 미친 영향 89 1. 宋代 浙江地域 窯業의 변화와 고려자기 89 1) 寺龍口窯址 출토 연판문자기와 고려자기 89 2) 요업 중심의 이동과 宋代 龍泉窯의 양식변화 92 3) 용천요에 미친 북방 요업기술의 영향과 고려자기 97 2. 磁州窯의 倣定窯 蓮瓣文瓷器 양식의 형성과 확산 99 3. 高麗와 宋·金 간의 문물 교류와 그 영향 102 1) 高麗와 北宋의 교류 103 2) 金의 건국과 南宋의 성립 104 3) '南宋-高麗-金' 간의 정치적 이해와 경제적 교류 106 Ⅴ. 高麗時代 蓮瓣文瓷器의 양식변천과 특징 110 1. 高麗時代 蓮瓣文瓷器의 양식변천 110 1) 1期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 : 연판문 I유형 110 2) 2期 (12세기 중반~13세기) : 연판문 I-2유형, II유형, III유형 111 2. 高麗時代 蓮瓣文瓷器의 특징 116 Ⅵ. 맺음말 119 별표 125 參考文獻 154 圖版目錄 164 圖版 169 ABSTRACT 1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59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高麗時代 蓮瓣文瓷器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Goryeo celadons with lotus petal pattern-
dc.creator.othernameJung, Dauri-
dc.format.pagex, 1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