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원-
dc.creator김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11-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산업화, 근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안전의식 부재로 인한 사고율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1999)에 의하면 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은 연령은 중학생이며 원인은 학생의 안전의식 부족이라는 보고가 발표된 바 있다.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의식 및 태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와 태도를 기르는 것은 자신의 안전의식을 아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사고율이 높은 중학생이 안전한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첫 단계는 안전에 대한 자신의 의식 수준을 아는 것이므로 안전의식 측정 도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안전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안전교육, 안전사고 경험과 안전의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중학생의 안전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서울 시내에 있는 중학생 708명을 대상으로 2001년 11월 12일부터 11월 21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안전의식 분야를 가정안전, 학교안전, 교통안전, 화재안전, 응급처치 분야로 구성하였다. 가정안전 분야는 시설안전과 생활안전으로, 학교안전 분야는 시설안전, 생활안전과 실험안전으로, 교통안전 분야는 보행자안전, 자전거 안전과 대중교통안전으로, 화재안전 분야는 방지대책과 화재시 행동요령으로, 응급처치 분야는 일반 원칙과 응급시 행동요령으로 구성되었다. 2. 각 분야의 구성 요소를 포괄하는 1차 안전의식 척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안전의식 척도를 예비 조사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요인부하량이 낮은 27개 문항을 삭제하여 2차 안전의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73문항으로 구성된 2차 안전의식 척도를 예비 조사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12개 문항을 삭제하여 61문항으로 3차 척도를 개발하였다. 3. 61문항으로 구성된 3차 안전의식 척도를 본조사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안전교육, 안전사고 경험과 안전의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1)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 α계수가 가정안전 분야는 .7589, 학교안전 분야는 .7924, 교통안전 분야는 .8306, 응급처치 분야는 .7775, 화재안전 분야는 .7247이었다. 가정 안전 분야에서는 문항 삭제시 α 계수가 높은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가정안전 분야는 시설안전과 생활안전으로 수렴되었고 내용타당도에 부적합한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학교안전 분야는 시설안전, 생활안전과 실험안전으로 수렴되었고 내용타탕도에 부적합한 2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교통안전 분야는 보행자 안전, 자전거 안전, 대중교통 안전으로 수렴되었고 내용타당도에 부적합한 1개 문항이 삭제하였다. 응급처치 분야는 일반 원칙과 응급시 행동요령으로 수렴되었고 내용타탕도에 부적합한 3개 문항이 삭제하였다. 화재안전은 방지대책과 화재시 행동요령으로 수렴되었다. 총 8문항을 삭제하여 53문항으로 안전의식 최종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2) 학년별로 3학년이 1학년보다 안전의식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p<.05). 또한 인지된 학업 수준별로 보면 학업 수준이 낮은 학생이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보다 안전의식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1). 주거형태별로 보면 단독주택에 사는 학생이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에 사는 학생보다 안전의식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p<.05). 등학교 방법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학생이 자전거, 자가용, 도보로 통학하는 학생보다 안전의식 점수가 높았다( p<.05). (3)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안전교육을 받지않은 학생보다 안전의식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p<.001). 또한 가정안전사고, 학교안전사고 경험이 있는 학생이 사고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안전의식 평균점수가 낮았다(p<.001). 교통안전 사고 경험이 있는 학생도 마찬가지로 안전의식 평균점수가 사고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안전의식 평균 점수가 더 낮았다(p<.05) 마지막으로 화재안전 사고 경험이 있는 학생이 화재안전 사고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안전의식 평균점수가 더 낮았다(p<.001).;Recently, the industrialized world is suffering from accidents referring from the lack of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Korean Safety Regulation Department (1996), students at junior high schools are mostly involved in safety accidents, and this is due to lack of safety consciousness. To prevent these accidents, we need to have safety consciousness and attitude. To mak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ostly affected in these accidents act safely, they need to know their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line of measuring the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ducation, accident experiences and safety consciousness.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708 junior high students in Seoul, which was carried out from 12 November, 2001 to 21 November, 2001. 1. The main fields of safety consciousness are home safety, school safety, fire safety,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documents. Home safety is again divided into facility safety and livelihood safety, school safety is divided into facility safety, livelihood safety and laboratory safety, traffic safety is divided into pedestrian safety, bicycling safety and public transportation safety, fire safety divided into prevention and escaping during fire breakouts, emergency management safety is divided into general principles and escaping during emergency situations. 2. The primary safety consciousness scale was made according to every field of safety consciousness. A preliminary examination based on the scale and a study of reliance and the factors was held. Based on these results , 27 questions which were concerned to be impairing reliability or lacking in factor were deleted on the secondary safet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The secondary safety consciousness scale which constituted of 73 questions was put into another preliminary study and after analyzing reliability and the factors, 12 questions of low reliabilities were deleted and with these results, the third scale were made consisting of 61 questions. 3. A study based on the third safety scale which is made of 61 questions, were held and with a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s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ducation, accident experience and safety mind were examined. (1) The study of reliability and factors show that Cronbach's coefficient in home safety fields is .7598, in school safety .7924, in traffic safety .8306, in emergency treatment .7775, in fire safety .7247. The questions indicating low reliability were deleted.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home safety is converged on facility safety and livelihood safety. But one question was deleted because it showed incongruence of validity. School safety was converged on facility safety, livelihood safety and laboratory safety. But 2 questions showed incongruence of validity and these were deleted. Traffic safety fields were converged on pedestrian safety, bicycle safety and public transportation safety. One question showing incongruence of validity was deleted. Emergency treatment fields converged on general principles and acting in emergency situations and three questions showing incongruence of validity were deleted. Fire safety was converged on prevention and acting in fire breakouts. Totally, eight questions wer e removed and the final scale were consisted of 53 questions (2) The 3rd grade students scored higher average safety mind scales than 1st graders (p<.05). And students who had high scores at school tend to have a higher scale than those who do not(p<.001). (3) Average scale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were higher(p<.001). Students who had previously been involved in home safety accidents had a low score(p<.001). This was same to students with experience in school safety accidents (p<.001). Students with traffic safety accidents and fire safety accidents tend to have a lower scale too (p<.05, p<.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4 C. 연구문제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8 A. 안전 = 8 B. 안전 의식 = 11 C. 안전 분야 = 15 D. 안전의식 척도개발 = 24 III. 연구 방법 = 26 A.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 26 B. 연구 절차 및 방법 = 27 C. 연구도구 = 32 D. 자료분석 방법 = 33 IV. 연구 결과 = 34 A. 신뢰도 분석 = 34 B. 척도의 타당도 : 요인분석 = 40 C. 안전의식 척도의 문항구성 = 46 D. 안전의식 척도 비교 = 50 V.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록 1. 안전의식 1차 척도 = 60 부록 2. 안전의식 2차 척도 = 65 부록 3. 안전의식 3차 척도 = 69 부록 4. 안전의식 최종 척도 = 73 부록 5. 문항 수집 자료의 출처 = 76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96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