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조건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요인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개발

Title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조건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요인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개발
Authors
오영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performed an analysis of stress concerned with a working condition on 6,764 workers based on 'A survey of healthy condition of workers on 1999' by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developed a stress educational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industrial workers' health promo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 workers were males(72.3%), the 20~30 years old were 73.3%, working-places less than 100 workers were 49.9%, and workers who had worked more than 6 years were 42.1%. 2. For working conditions, the working hours were 40~50 hours per week(40.7%), 58.4% of them did not have an regular breathing time, 68.3% and 48.6% of them responded that they had a ordinary intensity of work and a ordinary working space, respectively. Workers responded that the physical working conditions had a problem about temperature(23.9%), humidity(14.7%), noise(35.4%), dust and ventilation(33.8%), lightening(15.6%), exposure on harmful chemical materials(12.0%), cleanness(12.0%), a rest room and a mess hall(21.9%), and were a safety of a working place(31.0%) respectively. With regard to social working conditions, 52.1%, 78% and 80% of the total workers responded that a degree of a job demand, a degree of a job control,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normal, respectively. 3. The degrees of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had more stress than of male(p<0.001). Further, as age was lowered and as the working-space was bigger,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also higher(p<0.001, p<0.01). 4. The degrees of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e working hours were more(p<0.001) and as the breathing time was less(p<0.05),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higher. Further, as the working space was smaller and as the intensity of the work was higher,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higher(p<0.01). For physical working condition, when they sense that a humidity and a safety of working-space had some problems, the degrees of a stress appeared also high(p<0.01). When they sense that a noisy was trouble, the degree was high(p<0.01). When they sense that a lighting, a dust and a ventilation, a rest room and a mess hall had troubles, the degrees were high. For social working condition, when the workers sensed that a degree of their job demand and a degree of job control was higher,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lower, the degrees were high (p<0.001). 5. An educational program which relates a stress-control of the workers based 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a consideration of references constitutes 12 sessions. The first session valuates a stress of the workers, the second and the third sessions recognize stresses of individual workers using feedback with the stress-valuation, the fourth session performs an understanding of the stresses, the fifth and the sixth sessions perform a control of a physical field over the stresses, the seventh and the eighth sessions perform a control of a spiritual field, the ninth and the tenth sessions perform a environmental control, the eleventh session performs a control of a health, and the twelfth session performs an valuation of a training and a valuation of level of second stress.;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인하여, 산업장의 작업환경과 작업내용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이에 근로자들에게는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능력이 요구되어졌고, 개인의 욕구와 산업장 요구간의 불일치로 인해 근로자들은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근로자의 건강과 작업능률을 저해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작업환경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와 스트레스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의 '1999년 근로자 건강실태조사'를 근거로 전국의 제조업근로자 6,764명을 대상으로 작업조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스트레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분포는 대부분이 남성(72.3%)이었고, 연령은 20대와 30대가 73.3%였으며 규모에 있어서는 100인 미만 사업장이 49.9%였다. 근로자의 경력은 6년 이상이 42.1%로 가장 높았다. 2. 근로조건에서는 1주간의 총 작업시간이 40시간이상 50시간미만인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40.7%), 공식적인 휴식시간이 없다고 한 경우가 58.4%였다. 작업밀도와 작업공간에 있어서는 각각 68.3%와 48.6%를 보통이라고 하였다. 물리적 작업환경에서는 온도는 24.9%, 습도 14.7%, 소음 35.4%, 분진 및 환기 33.8%, 채광조명 15.6%, 유해화학물질노출 12.0%, 청결 12.0%, 휴식공간과 식당 21.9%, 작업장 안전 31.0%가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사회적 작업환경에서는 직무요구도, 직무통제성, 사회적지지에서 모두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각각 52.1%, 47.4%, 44.5%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으며(p<0.001),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규모는 클수록 그 수준이 높았다(p<0.01). 4. 근로조건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시간이 많으며(p<0.001), 휴식시간이 없을 때(p<0.05) 그 수준이 높았고, 작업공간이 좁고 작업밀도가 강할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01). 물리적 작업환경에서는 습도와 작업장안전에서 문제가 있다고 느낄 때 스트레스가 높았다(p<0.01). 소음이 문제가 있고(p<0.01), 분진 및 환기와 휴식공간과 식당, 채광조명에 문제가 있을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5). 사회적 작업환경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통제성이 높고, 사회적지지가 낮을 때 모두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5. 본 연구결과 및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발한 근로자 스트레스 교육프로그램은 12회로 구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회는 근로자의 스트레스 평가, 2~3회는 스트레스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근로자 개개인의 스트레스를 인지하며, 4회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5~6회는 신체적 영역의 관리, 7~8회는 정신적 영역의 관리, 9~10회는 환경관리, 11회는 건강관리, 12회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및 2차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