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05-
dc.description.abstract신생아의 출생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인데, 고위험 신생아가 출생하게 되면 아기는 출생 후 즉시 중환아실로 옮겨져서 부모와는 격리되고, 부모들은 더욱 소외되게 되며, 위기와 스트레스는 가중된다. 지금껏, 임신, 출산 및 양육과정에서, 아버지는 단지 어머니의 지지자로서만 여겨져 왔으나, 이 시기에 아버지는 고위험 신생아와 산모의 건강문제에 대한 결정권이나 보호자로서 역할과, 조기접촉이 어려운 산욕기 산모와 신생아간의 연결고리 역할, 산모의 지지자 역할도 하게되어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 역시 사회적, 정신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겪게되며 도움을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아버지 역할이나 아버지의 애착에 대한 인식이 적어, 간호현장에서 아버지 역할 수행을 포함한 아버지들을 위한 중재전략은 미흡한 채, 어머니들의 요구와 어머니와 신생아와의 관계에 주로 초점을 둔 간호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접촉이 어려운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정도를 파악하고, 부성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의 애착 정도를 확인하여, 정상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강화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1년 10월 23일부터 12월 2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2개 대학부속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출생한 정상 신생아의 아버지와 분만 즉시 중환아실(NICU)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의 아버지를 임의 추출하였고, 구두로 연구 참여의 동의를 받았다. 대상자 수는 정상 신생아 아버지 32명과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 36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Greenberg & Morris(1974)의 아버지 애착의 7가지 특성을 근거로 김지영(1994)이 작성한 부성애착 측정 도구에 연구자가 문구를 추가하고,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Chronbach's α=.92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 신생아 아버지와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성 애착의 하위 속성별로는 '시각적 인식'에서 정상 신생아(평균 23.09) 보다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평균 20.92)의 애착점수가 낮았다(t=-3.894, p=.000). 2. 정상 신생아 아버지와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간에 신생아를 첫 대면한 시기(t=9.397, p=.009)와 첫 접촉시간(t=13.084,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첫 신체적 접촉시기와 면회횟수, 신생아 출생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첫 대면시기, 첫 신체적 접촉시기, 첫 접촉시간, 면회횟수, 신생아 출생일에 따른 정상 신생아 아버지와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간의 부성애착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와 정상 신생아 아버지간의 부성애착 정도에서는 아버지의 직업(t=2.566, p=.047), 가족수입(t=3.202, p=.029), 산전교육 참여(t=-2.065,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신생아 아버지의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부성애착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496, p<.01), 정상 신생아 아버지군에서는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높은 집단이 부성애착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551, p=.016). 이상에서와 같이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와 정상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부성애착의 7가지 하위 속성 중 시각적 인식의 애착 정도는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가 정상 신생아 아버지보다 낮았다.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가 정상 신생아 아버지보다 신생아 대면시간이 늦고, 접촉시간은 짧았으나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와 정상 신생아 아버지의 부성애착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아버지가 자신의 아버지와 애착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자신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고위험 신생아와 아버지의 애착 정도를 높이기 위해, 아버지에게 분만 후 빠른 시간 내에 신생아를 대면할 수 있는 기회와 만져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후속연구로서 관련요인을 통제한 상황에서의 부성애착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2. 기존의 어머니·신생아 애착이나 아버지·신생아 애착에서 나아가 부모·아 애착 탐색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3. 중환아실에서의 부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The birth of newborn is stressful events for parents. And the birth of high-risk infants aggravates the stress and emotional crisis to parents because high-risk infants are isolated from parents on admitti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immediately after the birth and parents are excluded from care for their infant. Until now, father has been considered as mother's supporter for infant care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but actually father serves as a decision-maker; a link between his wife and his high-risk newborn and mother's supporter. Therefore, father confronts with the difficulties, demands, the needs of social and emotion support for the mother. With the lack of perception of paternal attachment, nursing care has been focused on mother-infant attachment and inte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gree of the paternal attachment to high-risk newborn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the paternal attachment to high-risk related to the influencing factors, comparing to the paternal attachment to normal newborn. The main purpose was to make the bas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paternal attachment. The data was collected at the 2 university hospitals and 1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Oct. 23. to Dec. 2. 2001. The subjects were 32 fathers whose partners have delivered normal newborn and 36 fathers whose partners have delivered high-risk newborn.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Ji Young(1994) based on Greenberg & Morris's(1974) the 7 kinds of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ttachment and modified by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 SD, t-test, x²-tes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between high-risk and normal newborn though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ormal newborn showed somewhat higher result than high-risk newborn. The visual aware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t=-3.894, p=.000) among the 7 kinds of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ttachment.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visual contact(t=9.397, p=.009) and the duration of physical contact(t=13.084, p=.001) between two groups, but no differences in the first physical contact, the frequency of visual contact and the day after birth.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and the first visual contact, the first physical contact, the duration of physical contact, the frequency of visual contact and the day after birth between two groups. 4. The degree of the paternal attachment to high-risk and normal newborn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related to the father's job(t=2.566, p=.047), family income(t=3.202, p=.029) and prenatal education(t=-2.065, p=.043). 5. The parental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ernal attachment to newborn(r=.496, p<.01).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ternal attachment were found between the fathers of high-risk newborn and the fathers of normal newborn but the high-risk newborn's fathers have the lower visual awareness of attachment than normal newborn's fathers. Though the high-risk newborns' fathers saw their infants later than normal newborns' fathers, they held their infants shorter than the normal newborn's fa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ernal attachment to high-risk and normal newborn. A satisfying relationship with the father's father(grandfath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aternal attachment to newborn. Therefore, to improve paternal attachment,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give fathers the opportunity to watch and hold their high-risk newborn as soon as the infant is stab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 1. The comparative study is needed under the control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ternal attachment. 2. The research on the Father-mother-infant attachment are required. 3. The interac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father-mother-infant attachment in the NICU.-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용어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A. 고위험 신생아 = 7 B. 부성 애착 = 10 III. 연구방법 A. 연구설계 = 21 B. 연구대상 = 21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1 D. 연구도구 = 22 E. 분석 방법 = 24 E. 연구의 제한점 = 24 IV. 연구결과 및 논의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5 B. 부성애착 정도 = 32 C. 부성애착 형성의 관련요인에 따른 부성애착 정도 = 36 D. 신생아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성애착 정도 = 39 E. 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성애착 정도 = 42 F. 신생아 아버지의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부성애착과의 관계 = 44 V.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0 부록 = 59 영문초록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3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위험 신생아 아버지와 정상 신생아 아버지의 애착 정도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