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정-
dc.creator박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3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03-
dc.description.abstract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고위험 신생아들은 치료적 진단적 목적으로 많은 통증을 경험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통증경험시 강직되거나 몸부림치는 전신적인 신체반응과 심박동수의 증가, 혈압상승, 경피산소분압의 감소, 호르몬과 대사변화 등이 일어나 여러가지 부작용과 치료지연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에 대한 지속적인 사정과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통증과 통증관리에 대한 책임 및 정보교환 등 중요한 역할이 요구된다. 고위험 신생아의 효율적인 통증관리는 건강회복뿐만 아니라 입원기간을 단축시키고, 의료비용을 절감시킨다. 본 연구는 임상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가 사정하는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반응과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및 경기도, 울산시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과 5개 종합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2001년 10월 22일부터 11월 12일 사이에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사의 고위험 신생아 통증반응 사정은 Als 이론을 근거로 Howard & Thurber(1998)가 개발한 간호사의 고위험 신생아 통증반응 사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사가 지각하는 처치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정도와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시행정도에 대해서는 Poter, Wolf & Gold(199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고위험 신생아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은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하여 작성한 후 간호학 교수 3인과 고위험 신생아 전문간호사 1명, 경력 5년 이상의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 10명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고위험 신생아 통증에 대해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이는 지에 대해서는 자주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통증 민감 정도는 영아가 성인보다 더 민감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고위험 신생아 통증반응은 자율신경, 내부장기 반응, 운동성 반응, 상태 변화로 분류하였다. 간호사는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반응을 사정 할 때 자율신경, 내부장기 반응에서는 심박동수의 증가, 혈압상승과 호흡수 증가, 산소포화도의 감소 순으로, 운동성 반응에서는 이마에 주름이 짐, 얼굴을 찌푸림, 몸부림 침 순으로, 상태 변화에서는 보챔, 울음, 예민함, 안절부절 함 순으로 사정하였는데, 고위험 신생아의 생리적, 행동적 통증 반응들을 비슷하게 사정하고 있었다. 3. 간호사가 지각하는 처치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정도는 평균 2.75(4점 만점)로 중정도 이상의 강한 통증을 주며, 흉관삽입, 요추천자, 기관내 삽관 순으로 통증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간호사는 처치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평균 2.59로 자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흉관삽입,중심 정맥관 삽입, 요추천자 순으로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시행정도는 평균 1.63으로 간혹 시행한다고 하였는데, 중심정맥관삽입, 말초정맥삽입, 흉관삽입 순으로 간호중재를 시행하고 있었다. 4. 간호사가 적용한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은 비영양성 빨기, 마사지(쓰다듬어주기), 담요로 감싸기, 목소리로 얼르기와 환경적 자극 감소시켜주기 순이었다. 간호사가 경험한 효과적인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은 마사지(쓰다듬어 주기)였고 다음으로 비영양성 빨기, 담요로 감싸기, 부드럽게 흔들어 주기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는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반응 사정과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시행 시, 적절한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반응을 사정하고 다양한 통증 간호중재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에 대한 인식과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필요성 대해서 수용적인 태도와는 달리, 실제 임상실무 현장에서는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시행하는데 적극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고위험 신생아 통증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임상실무에서 통증 간호중재를 시행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고위험 신생아 통증사정과 중재에 관한 기본 지침 개발과 이를 담당할 고위험 신생아 전문간호사를 양성하여야 하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신생아의 통증반응 시 미숙아와 만삭아를 대상으로 통증반응의 차이에 대한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2. 고위험 신생아에게 적용하고 있는 통증완화 간호중재 방법에 대해서, 실험연구를 통한 효과측정 연구가 필요하다. 3.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사정과 중재에 대한 기본 지침 개발이 필요하다.;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High Risk Newborns experience many kinds of pains for remedy and diagnosis. Early pain experience in New born period makes inappropriate influence in pain experience in late infant period. Effective pain management of High Risk Newborns will reduce the health recovery period, the hospitalization and medical expens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pain management of High Risk Newborns by confirming the pain response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 for High Risk Newborns that are used in the filed of nurs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5 nurses who were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5 hospitals and 3 university attached hospitals located in Seoul, Kyunggi-do and Ulsan City. We executed the survey using questionnaire from October 22 till November 12 in 2001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used Pain Sensitivity Questionnaire of Jones (1986) revised by Howard & Thurber (1998) based on Als theory for pain responses assessment of High Risk Newborns of the nurses. For the recognition of nurses on High Risk Newborns pain management, the instrument of Poter, Wolf & Gold(1997) was used.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study. 1. Nurses are paying attention frequently to the pains of the High Risk Newborns. They recognized that the infan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pains than the adults. 2. We classified the high-risk newborn pain respondents as Autonomic/Visceral response, Motion response and State-related. Nurses assess High-risk newborn pain response in Autonomic/Visceral response as increasing heart, increasing blood pressure, increasing respiration and decreasing transcutaneous oxygen pressure saturation from the strongest in order. In Motoric responses, they think Grimacing is the strongest and then Wiggling. In state change, they assess that fussiness is the strongest and then cry, Alertness and Restlessness in order. They assessed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pain responses of the High Risk Newborns similarly. 3.The pain level of High Risk Newborns that the nurses recognize in the procedu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as 2.75 in average (full score: 4). They recognized that the infants felt medium strong pain and the order of the pain would be chest tube, lumbar puncture and endotracheal intubations from the strongest.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rsing intervention to release the pain resulted from procedure of High Risk Newborns very often such as 2.59 in average. They thought pain nursing intervention most in insertion of chest tube, venous cut-down and Lumbar puncture in order. In the hospital, they actually executed nursing intervention to release pains of High Risk Newborns rarely such as 1.63. In the actual execution they executed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venous cut-down, insertion of peripheral intra venous line and insertion of chest tube in order. 4. Nursing intervention method to release High Risk Newborns from the pains are pacifiers, massage (rubbing), nesting, speaking in soft quite tone and decrease stimulation in order. The most effective pain releasing nursing intervention that nurses experience is massage and then pacifiers, nesting, vestibular and then pharmaceutical intervention. In the conclusion, nurses assessed the pain response of High Risk Newborns appropriately and applied various kinds of nursing interventions in pa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hile they agree on the necessity of pain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 they did not execute nursing intervention in the actual hospitalization. Therefore to perform the appropriate pain management of High Risk Newborns, we need to identify the obstacles against the nursing intervention and make efforts to find out the solutions. Additionally, we should develop protocol regarding pain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 to apply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ffective pain release and nurture neonatal nurse practitioners that will be in charge of High Risk Newborns nurs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2 B. 연구목적 = 2 C. 용어정의 = 3 II. 문헌 고찰 = 4 A.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 = 4 B.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반응 사정 = 8 C.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완화 간호중재 = 14 III. 연구 방법 = 18 A. 연구 설계 = 18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8 D. 연구 도구 = 19 E. 자료 분석 = 20 IV. 연구 결과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B. 간호사의 고위험 신생아 통증반응 사정 = 23 C. 고위험 신생아의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 25 V. 논의 = 30 VI. 결론 및 제언 = 35 A. 결론 = 35 B. 제언 = 37 참고문헌 = 38 부록 = 48 영문초록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35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위험 신생아 통증반응 사정과 통증 완화 간호중재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