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5 Download: 0

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조성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성의 평균수명 연장, 여성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가 향상되어 여성건강은 월경주기, 생식기관, 임신, 분만, 산욕 등 생리적 능력의 범위에서 벗어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삶의 ⅓을 차지하고 인간이 정상적인 활동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이며,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면은 여성건강의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중년기 여성은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며, 이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중년여성의 수면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40-60세 여성 276명을 대상으로 2001년 9월 1일부터 2001년 10월 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39문항으로 일반적인 특성 6문항, 수면양상 9문항, 수면장애요인 13문항, 수면장애유형 11문항(불면증 3문항, 주간졸리움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요인은 미국의 국립보건원(NIH)이 지정한 Honolulu Heart Program Sleep Study의 내용을 근거로 신철 외(199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수면장애 중 불면증은 미국정신의학협회(1994)에서 개발하여 Liu et al.(2000)이 사용한 수면문제에 관한 질문 중 불면증에 관한 3문항으로, 주간졸리움은 Johns(1991)가 개발한 ESS(Epworth Sleepiness Scal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x²검정법, Wilcoxon rank sum test, Kruskal-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수면양상 평균수면시간이 6.76±1.22시간, 잠들 때까지의 시간이 20.16±13.73분이었다. 취침시간은 12시 이전이 35.14%, 기상시간은 7시 이전이 41.30%로 가장 많았다. 낮잠을 자는 경우가 38.77%였고, 낮잠시간은 47.53±26.61분이었다. 기상시 상쾌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2.90%였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2.68%, 규칙적인 수면을 취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6.88% 였다. 2. 대상자의 수면장애유형 전체 대상자 중 불면증은 42.39%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불면증 중 잠들기 어려운 형(DIS)이 19.20%, 자다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운 형(DMS)이 32.61%, 너무 일찍 깨는 형이 16.30%였다. 주간졸리움은 18.84%가 호소했다. 불면증과 주간졸리움을 모두 호소하는 1유형은 6.88%, 불면증만 있는 2유형은 35.51%, 주간졸리움만 있는 3유형은 11.96%, 비수면장애군은 46.65%였다. 3. 대상자의 수면장애요인 수면장애가 있는 3가지 유형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면장애요인 중 스트레스가 71.14%로 가장 큰 수면장애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걱정거리 44.00%, 밤의 소변 37.3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면증 유무, 주간졸리움 유무, 수면장애유형 일반적 특성 중 연령(p=0.0005), 학력(p=0.0110), 폐경상태(p=0.0002)가 불면증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p=0.0171)만이 주간졸리움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p=0.0149), 학력(p=0.0011), 폐경상태(p=0.0008)가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4개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불면증 유무, 주간졸리움 유무,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수면양상 수면양상 중 평균수면시간(p=0.0157), 잠들 때까지의 시간(p=0.0001), 기상시 상쾌함 유무(p=0.0300), 충분한 수면 유무(p=0.0043), 규칙적인 수면 유무(p=0.0354)가 불면증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잠들 때까지의 시간(p=0.0170), 기상시 상쾌함 유무(p=0.0.0448)가 주간졸리움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수면시간(p=0.0382), 잠들 때까지의 시간(p=0.0001), 기상시간(p=0.0452), 기상시 상쾌함 유무(p=0.0124), 충분한 수면 유무(p=0.0387)가 수면장애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수면장애유형에 따른 수면장애요인 수면장애요인 중 밖의 소음(p=0.0454), 걱정거리(p=0.0336), 이유없음(p=0.0017), 밤의 소변(p=0.0001), 통증·가려움증(p=0.0306), 술·카페인 음료(p=0.0340)가 수면장애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적 측면 본 연구결과에 따른 수면장애 요인을 바탕으로 해서 수면장애를 사정, 중재하기 위한 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실무적 측면 일반 간호실무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이 중년여성의 수면에 관한 간호를 수행할 때 대상자의 특성과 관련된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수면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간호 중재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스트레스가 가장 큰 수면장애 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3. 간호연구적 측면 중년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요인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면장애를 위한 간호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This study is purposed to know about sleeping pattern and the reasons of sleeping disorder, and to offer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for middle-aged women. A structured self report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1, 2001 to October 1, 2001 on the subject of 276 female from 40 to 60 ages lived in Seoul and Gyeongigi province. The tool of this research consist of total 39 questions; 6 questions on general features, 9 ones on sleeping pattern, 13 ones on the reason of sleeping disorder, 11 ones on the type of sleeping disorder (3 ones on insomnia, 8 ones on day time sleepiness). Sleeping pattern and the reason of sleeping disorder were measured by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Shin Chol et al. (1997), which based on Honolulu Heart Program Sleep Study authoriz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 Questions on insomnia was selected from questions on sleep disorder used by Liu et al. (2000), and which was developed b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 1994. Day time sleepiness was measured by using Epworth Sleepiness Scale developed by Johns (1991). Using SAS 6.12 program, a real quantity, percentage, average, the stan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Wilcoxon rank sum test, Kur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44.93% of the total participants were between ages 40 and 44, 56.52% have high school or lower level diploma, 88.77% married, 36.23% with monthly earnings between 2.00 and 2.99 million, 9.06% receiving hormone treatments, and 27.17% menopause. 2. Participants sleep pattern Mean duration of sleep time is 6.76±1.22 hours and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 is 20.16±13.73 hours. 35.14% go to bad before 12 and 41.30% rise before 7. 38.77% take naps during the day and mean nap time is 47.53±26.61 minutes. 52.90% feel freshness and comfort upon rising, 62.68% get enough sleep and 56.88% regular sleet. 3. Participants sleeping disorder 42.39% of all participants have insomnia; 19.2% of those who have insomnia are DIS (difficulty in initiating sleep), 32.61% are DMS (difficulty returning to sleep once awakened) and 16.3% awakened too early. 18.84% experience sleepiness during daytime. Type 1, experiencing insomnia and sleepiness during daytime together, is 6.88%, Type 2, with insomnia only, is 35.51%, Type 3, with sleepiness during daytime only, is 11.96% and 46.65% experience no sleeping disturbances. 4. The reason of sleeping disorder After studying only those with 3 types of sleeping disturbances, it is found that the most common cause of such disturbance is stress (71.14%), anxiety 44.00%, urination during nighttime 37.33%, no apparent reason 31.54%, and noise from outside 27.33%. 5. Insomnia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wo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005), education level (p=0.0110) and status of menopause (p=0.0002), and showed insignificant or no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p=0.3137), monthly earnings (p=0.3137) and hormone treatment (p=0.4977). 6. Daytime sleepin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ly education level(p=0.0171)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no or little differences were revealed for age (p=0.8026), marital status (p=0.9381), monthly earnings (p=0.4768), hormone treatment (p=0.2194) and menopause (p=0.0950) between the two groups. 7. Sleeping disorder typ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ge (p=0.0149), education level (p=0.0011), menopause (p=0.0008) reveal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and marital status (p=0.0813), monthly earnings (p=0.6121), hormone treatment (p=0.2664) revealed no meaningful differences. 8. Sleeping pattern by insomnia Of sleeping behavior, mean duration of sleep time (p=0.0157),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p=0.0001), whether or not feeling freshness and comfort (p=0.0300), whether taking enough sleep (p=0.0043), whether taking regular sleep (p=0.035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having insomnia, and time to sleep (p=0.1739), time of rising (p=0.0529), whether taking naps (p=0.9285), mean duration of nap time (p=0.1019)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9. Sleeping pattern by daytime sleepiness Of sleep behavior,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p=0.0170) and whether or not feeling freshness and comfort(p=0.0448)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having daytime sleepiness, and mean duration of sleeptime(p=0.1423), time to sleep(p=0.6673), time to rising(p=0.4826), whether taking naps(p=0.3695), mean duration of nap time(p=0.6176), whether taking enough sleep(p=0.6546), whther taking regular sleep(p=0.8961)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10. Sleeping pattern by sleeping disorder type Of sleeping behavior, mean duration of sleep time (p=0.0382), mean duration of sleep latency(p=0.0001), time of rising (p=0.0452), whether or not feeling freshness and comfort (p=0.0124), and whether taking enough sleep (p=0.0387)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leeping disturbance types, and time of going to bed (p=0.5531), whether or not taking naps (p=0.8079), mean duration of nap time (p=0.3850), whether or not taking regular sleep (p=0.2120)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for the groups. 11. Sleeping disorder factors by sleeping disorder type Of sleeping disturbance factors, noise from outside (p=0.0454), anxiety (p=0.0336), no apparent reason (p=0.0017), urination during nighttime (p<0.0001), pain/itch (p=0.0306) and alcohol/caffeine beverages (p=0.034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leeping disturbance type, and stress (p=0.7446), anxiety/fear/terror (p=0.3481), persons living together (p=0.2762), hurry (p=0.2656), noise from inside (p=0.7915), bedroom temperature (p=0.7915), illumination (p=0.5840) did not reveal meaningful differences by sleeping disturbance ty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