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응급실 환자의 간호 요구도 및 만족도

Title
응급실 환자의 간호 요구도 및 만족도
Authors
한경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 내원 환자의 간호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 방안을 마련하고, 응급 간호의 질적을 향상을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서울시내 소재 일개 대학 부속병원과 경기도내 500병상 이상의 규모를 가진 2개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지를 배부하여 즉석에서 응답하게 한 후 회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응급실 환자의 간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Davis(1988)에 의해 개발된 Consumer Emergency Care Satisfaction Scale (CECSS) 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간호 요구도 측정 도구는 최연숙(1994)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이용현황에서는 진료과중 내과계가 71명(38.8%), 직접내원이 135명(73.8%), 응급실 선택동기에서 거리 및 교통편리로 인함이 84명(45.9%), 응급실 체류시간은 6시간 미만이 119명(65%)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응급실에서 빠른 처치와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내원 동기로는 급성질환이 102명(60.7%), 응급처치 후 조치는 입원이 111명(60.7%), 치료 후 병세는 "좋아졌다"가 96명(52.5%)으로 나타났다. 2. 응급실 환자의 간호 만족도는 전체 평균 5점 만점중 평균 평점 3.08점으로 나타냈고, 영역에 따른 간호 만족도 에서는 기술적 숙련 영역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퇴원 교육영역이 간호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체계화된 퇴원 전. 후의 퇴원교육에 대한 간호 활동의 강화와 퇴원 환자 지침서 마련이 필요하다. 간호 요구도는 평균 4점 만점 중 전체 간호 요구도가 평균 3.39점으로 나타났고, 영역별로는 진단 및 치료와 관련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냈고, 신체적 간호 요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간호 만족도는 치료 후 병세에서 "좋아졌다"고 대답한 환자가 간호만족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과계 환자군, 직접 내원한 환자, 24시간 이상 체류한 환자군이 간호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4. 대상자의 간호 요구도는 2번 이상의 응급실 방문을 했던 환자 집단에서, 밤번 근무시간에 내원하거나, 경제상태가 ‘상’이상의 집단에서, 사고로 내원한 집단에서 간호 요구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5. 응급실 환자의 영역별 간호 만족도와 간호 요구도의 비교에서 간호 만족도의 모든 영역과 신체적 요구와의 관계가 높았으며, 간호 만족도와 간호 요구도와의 상관정도는 r = 0.17 ( p<0.05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만족도 영역중 기술적 숙련도와 신체적 간호요구가 r = 0.28 ( p<0.000 )로 가장 높은 관계를 보였으며, 전체 간호 요구도와 기술적 숙련도는 r= 0.22 (p<0.002)로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환자의 간호 요구도가 높은 군에서 간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요구가 높은군에서 많은 간호요구를 하게되고, 간호사는 요구하지 않는군보다 요구가 많은군에 간호요구가 적극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추측되어지며, 결과적으로 간호요구가 높은 군에서 간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need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Emergency Room, and to pursue the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of ER nursing staffs. The survey wal done from September till October of 2001 with 183patients treated at ER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two other hospitals in Kyung Ki province which could accommodate around 500 patients. The question was designed to observe the immediate responses after the trestment in order to collect more accurate results. The revised CECSS created by Davis(1988) was use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and revised need scale created by Mrs Choi wal used to evaluate the need of the pati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reason of visiting ER rather than other medical facilities were observed as the necessity of internal medicine treatment(71 patients, 39.8%), directly walk in patients(135 patients, 73.8%), convinient transportation(84 patients, 45.9%), and shorter hospitalization(119 patients, 65%). Most patients were appropriately treated by ER medical personnels One hundred and two patients(60.7%) were treated by acute illness, and 111patients(60.7%) were hospitalized after emergency treatments. 2. Mean scaled score of the satisfaction level was 3.08 (lowest 0- highest 5) Among four categories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kill" had highest score of above result indicates that more systematic pre and post discharge educational progarm is necessary, though nursing skill is rather satisfactory. 3.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as higher with the group who were recovered from their illness than those who were not,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as also higher with the groups those were treated by internal medicine, those who directly walked- in, and those who stayed at ER more than a day, revealing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groups. 4. The need of nursing was higher with the groups those who were treated at ER more than twice, those who were treated during night shift, those who were financially stable, and those who were treated by automoblie accidents.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groups. 5. In comparision of categories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need of the patients, all categories were highly related revealing sta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rrelation constant r=0.17, p< .05). The categories of "Nursing skill"and "physical need" were highly correlated (correlation constant r=0.28, p< .000) and categories of "the need of whole nursing" and "Nursing skill"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r=0.22, p<0.002). The patients groups who had higher level of need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more active nursing management was performed to the patients groups who had higher level of need.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high level of satisfaction can be obtained from more aggressive expression of the ne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