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에 따른 생활행동

Title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에 따른 생활행동
Authors
김기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의 생활문화 전반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국인의 가치관과 생활행동이 세대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세대와 가치관이 생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부터 69세까지의 한국인 남녀 869명이었으며,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치관 척도는 Triandis(1995), Trompenaars(1996), 김재은(1987), 신수진(1998)의 문항을 참고하여 구성하였고, 생활행동 척도는 김수현(1999)과 문숙재·최혜경·정순희(2000)의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10.0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가치관은 집단주의, 권위주의, 자연수용, 개인주의, 보편주의, 평등주의, 자연통제의 가치관에서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적 가치관 중 집단주의, 권위주의, 자연수용의 가치관은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현대적 가치관 중 개인주의와 평등주의 가치관은 연령이 낮은 세대일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연령이 낮은 세대가 현대적인 가치관의 특성을, 연령이 높은 세대가 전통적인 가치관의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인의 생활행동은 가족활동, 가사활동, 소비활동, 여가활동에서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활동을 제외한 가족활동, 소비활동, 여가활동은 연령이 낮은 세대일수록 높은 점수를,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젊은 세대일수록 가족활동, 소비활동, 여가활동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인의 가치관은 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세대가 가치관과 상호작용하여 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전통적 가치관 중 집단주의, 권위주의, 특수주의는 세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은 세대에서 가족활동, 여가활동, 지역사회활동, 가사활동이 감소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반면, 현대적 가치관 중 개인주의와 보편주의는 세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대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은 세대에서 지역사회활동, 직업활동이 증가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편주의는 세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편주의가 높을수록 연령이 높은 세대에서 여가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수용의 가치관은 세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수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높은 세대에서 가사활동이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한국인의 가치관은 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세대와 가치관은 한국인의 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difference of the sense of values and life behaviors of Koreans by generation. We wan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generation and the sense of values on their life behaviors.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869 male and female from 20 to 69. We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 We composed the measurement for the sense of values using the questionnaire of Triandis(1995), Trompenaars(1996), Jea-eun Kim(1987) and Soo-jin Shin(1998) and for life behavior we have used the questions of Soo-hyun Kim(1999) and Suk-jae Moon & Hye-kyung Choi & Soon-hee Jeong(2000). To analyze the material we have used SPSS for 10.0 Windows program and execu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regression.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seems to b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sense of values such as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nature accommodation, individualism, universalism, equalitarianism and nature control. Especially, the aged generation show high points in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and nature accommodation among traditional values. On the other hand in modern values such as individualism and equalitarianism, younger generations show high points. It implies that younger generations have the modern sense of values and older generations have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s. Second, in life behaviors of Korean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family activities, household activities, consumption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In family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consumption activities except household activities, younger generations show higher points and older generations show lower points. It implies that younger generations do family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consumption activities more actively. Third, the sense of values of Koreans was influencing on the life behaviors. Especially the generation interacts with the sense of values and make influence on the life behaviors. It is general that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and specialism made influence on family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household activities to be reduced in the old generations with stronger traditional sense of valu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ism and universalism out of modern values made the older generation with stronger modern sense of values participate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vocational activities more activel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generations. However, in older generations leisure activities were decreased if they had strong universalism. If they had strong characteristics of nature accommodation, their household activities seemed to be increased. Conclusively, the sense of values of Koreans has made influence on life beha viors. Especially the generation and sense of values seemed to make influence on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