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임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주목적은 신혼기 부부의 결혼적응에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는 부부간 성생활과 부부의 가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가치관과 자아관이 부부간 성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부부간의 가족 가치관 차이 및 자아관 차이가 부부간의 성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 신혼기 부부의 성생활 특성의 양상에 부부간의 차이가 있는지와 사회인구학적 변에 따라 부부의 성생활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선영(2001)의 신혼기 부부의 성생활에 대한 연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140쌍 총 280명으로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for 10.0 Window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 Alpha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간의 성생활 양상에 있어서 부부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편이 아내보다 성생활 의사소통을 잘하고 있다고 느끼고 성생활 만족, 성생활 부담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아내가 남편보다 성생활 욕구 불만을 더 많이 토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집단별로 보면, 남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성생활에 부담을 느끼고 아내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성생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진다고 느끼며 성생활에 만족하고 반면 가정소득이 높을수록 성생활 욕구 불만을 적게 토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가치관 및 자아관은 부부간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있어서 우애적 가족관의 성향이 높을수록 부부의 성생활 부담을 가중시키고 가부장적 가족관 성향과 자기무력감 성향이 높을수록 부부의 성생활 욕구 불만을 감소시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편의 경우는 자기무력감 성향이 높을수록 성생활 만족은 감소하였고 아내의 경우는 우애적 가족관의 성향이 높을수록 성생활 만족감을 가져다 주며 자기효능감 성향이 강할수록 성생활에 부담은 증가하고 성생활에 욕구 불만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의 가족 가치관 차이는 남편의 성생활 의사소통에만 영향을 미치고 아내의 성생활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내보다 남편의 우애적 가족관이 성향이 높을수록 남편의 성생활 의사소통이 잘 되었다. 또한 부부의 자아관 차이 중 자기효능감 차이가 부부 모두의 성생활 특성에 영향을 미쳐 남편의 자기효능감이 아내의 자기효능감보다 클수록 남편과 아내 모두의 성생활 욕구 불만의 성향이 강하며 아내의 성생활 부담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신혼기 부부 관계의 규율과 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가치관 및 자아관, 특히 이러한 가치관과 일치와 부부관계의 애정의 표출인 성생활 측면과의 실질적인 관계를 밝힌 점과 성생활의 부부를 쌍으로 연구하여 부부의 상호작용을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focus on the married couples sexual life which seems to be important factor for newly married couples' marriage adaptation, and to find out how family value and self-value have an effect on couples sexual life The study adapted secondary were collected for the project of Seo (2001).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40 newly married korean. Spss 10.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Pera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a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uples sexual life mode between men and women. It is that men feel they communicate with their partners about sex than women do and they think that they are supposed to satisfy the partners sexual needs. Furthermore, women speak out their sexual complaints more than men. The older they are, the more burden they have and in case of women,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y have, the better communication about sex they feel they have. But the poorer they are, the more they speak out about sexual complaints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family value and self-value have an effect on married couples sexual life. As for both men and women, the tendency of high brotherliness make their sexual life more burdensome and the tendency of low patriarchy and self-powerlessness aggravate their sexual complaints. But in case of men, the more self-powerlessness they are, the more sexually satisfied they are. In case of women, high brotherliness enhances their sexual satisfaction and the stronger self-efficacy is, the more burdensome they feel. And the weaker self-efficacy is, the more complaints about sex they have.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e difference in family value and sense of self between husband and wife have an effect on couples sexual life. difference in familiy value and self-value between husband and wife have an impact on sexual life communication only, not on wife's sexual life characteristics. Husband have better communication about sex more than women if they have brotherly families values And, of married couples self-value differences, self-efficacy difference only has an effect on sexual life characteristics of both men and women. So the bigger the difference is,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sexual life complaints is. But the smaller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is, the bigger the wife's sexual life burden is. This thesis has a meaning in that it fou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y value, self-value that have an effect on the norm of newly married couples and sexual life which is expression of love in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