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숙-
dc.creator김선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40-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은 정보화로 인해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인터넷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여가/오락 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활동으로 일반아동 뿐 아니라 자폐아동을 포함한 장애아동에게 인터넷 기술을 교수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인터넷이 가정, 학교 등에서 빠르게 확산, 보급되면서 장애 아동이 인터넷에 접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아졌다. 그러나 자폐아동이 독립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일반화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즉, 장애아동이 외부의 신체적인 촉진 및 언어적 지시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중재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아동이 선호도와 흥미를 보이는 인터넷 사이트를 중심으로,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단계적 중재가 자폐아동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 습득과 일반화,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들은 현재 특수학교 초등부 3-5학년에 재학중인 자폐아동 3명이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동안에는 시각적인 단서를 제공하지 않았고 사전 관찰 기간 동안은 기초선의 조건과 동일하게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지 않고 중재의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중재 시기에는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하여 언어적, 신체적 촉진을 통해 중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넷 사용의 독립적인 사용을 위해 시각적인 단서들을 단계적인 소거해 가는 점진적인 소거들로 구분하였고 각 중재 기간은 선정된 준거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후에 중재하지 않은 다른 과제에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이 일반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제 완수율을 각 4회기씩 실시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 습득된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4주 후에 과제 완수율을 평가하였다.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점진적인 소거를 통해 자폐 아동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을 중재한 결과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이 습득되었으며 중재하지 않은 다른 과제에서도 중재의 효과가 일반화되었다. 또한 중재가 종료된 4주 후에도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점진적인 소거가 자폐아동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 습득과 일반화, 유지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에게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중재가 계열화된 과제를 교수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반복하여 입증하였을 뿐 아니라,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시각적인 단서를 각 단계가 모두 포함된 사진 수첩에서 세 개의 시각적인 단서로 구성된 포스터로, 마지막 단계에서는 시각적인 단서를 모두 소거시키는 중재를 시행함으로써 중재를 위해 사용된 시각적인 자극에 대한 의존성을 줄여나가 대상 아동의 독립적인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의 습득에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시각적인 단서를 통해 현대 사회에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에 적용하여 교수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In this fast paced Information Age, Internet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all levels of our livesat home, school, ommunity, etc. for an infinite range of purposes. It is significant, therefore, to tea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autism how to use the Internet. Despite their almost ubiquitous access to the Internet, however, children with autism have difficulty in learning (acquiring, generalizing and maintaining) the simple skills needed to use the Internet independently. Thus, an intervention strategy is required to eventually enable them to perform tasks without depending on physical prompts or verbal instructions.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of phased intervention, in which visual cues are gradually withdrawn, in helping autistic children to acquire, generalize and maintain the skills required to log on to their favorite Web sites on their ow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ree pupils with autism in third to fifth grade in the special school using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design. During the baseline phase, no visual cues were presented. During the pre-intervention phases,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observed without giving any visual cue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s, visual cues as well as verbal/physical prompts were provided. Once the students reached the predefined standard, they proceeded to the next intervention phase. The visual cues were gradually withdrawn with each intervention phase. There were four separate sessions of task performance assessment during the post-intervention phase to find out if they generalized the skills. Then, their task performance was assessed four weeks later to see if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maint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cquired the skills for start up and shut down on the Internet through phased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Seco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for other similar tasks. Thir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maintained even after four week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phased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in helping autistic children to acquire, generalize and maintain the skills for start up and shut down on the Internet. It reaffirms prior research findings tha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is effective in teaching autistic children sequential tasks. More significantly, the phased intervention strategy employed in this research effectively let autistic children learn how to use start up and shut down on the internet on their own by reducing the number of visual cues in each phase from eight to three to n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7 C. 용어의 정의 = 8 II. 이론적 배경 = 9 A. 인터넷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 = 9 1. 인터넷의 일반적인 특성 = 9 2. 인터넷 사용이 교육에 미치는 효과 = 10 3. 인터넷 사용이 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 13 4. 인터넷 사용 기술 교수 순서 = 15 5.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 및 실행 = 16 B.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중재 = 17 1. 시각적인 단서 사용의 효과 및 기능 = 17 2. 시각적인 단서의 선행 연구 = 20 3. 점진적인 소거를 이용한 교수 = 21 III. 연구 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실험 기간 = 25 C. 실험 장소 및 실험 도구 = 25 D. 실험 설계 및 절차 = 28 E. 자료 수집 및 분석 = 36 F. 관찰자간 신뢰도 = 39 IV. 연구 결과 = 40 A.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점진적인 소거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 42 B.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의 과제 일반화 = 44 C.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의 유지 = 45 V.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6 B. 제한점 = 54 C. 제언 = 56 참고문헌 = 58 부록 = 68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12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한 점진적인 소거가 자폐 아동의 인터넷 실행 및 종료하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