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직무수행능력과 현직교육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조사

Title
직무수행능력과 현직교육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조사
Authors
이은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는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의 질 향상은 교사의 질 향상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에 있어 필요한 능력을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교사교육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특히 교사들의 수행 능력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변화나 교육과정 개정, 새로운 교수 방법 등에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직 교육을 통해 교사들의 질적 수준을 계속적으로 향상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특수교육 현직교육과정의 대부분은 현장의 요구와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교육의 목표와 근거를 제공하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의 배치환경(특수학교, 특수학급), 학력, 교육경력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앞으로의 현직교육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에서 근무하는 특수학교 교사 56명, 특수학급 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직무수행능력 목록은 미국 특수교육협회의 교사 양성 및 자격에 관한 국제적 기준(CEC, 2000)을 바탕으로 13개 영역, 80개 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영역별,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순위를 구하거나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교육 교사들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결과, 특수교육 교사들은 『수업내용과 실천 기술』, 『진단 평가 기술』, 『학생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리기술』, 『의사소통과 협력 기술』등의 순위로 중요도를 인식하였고 『학습장애 수업기술』, 『수업내용과 실천 지식』, 『교수학습 환경의 계획과 운영지식』 등의 순위로 현직교육 필요도를 인식하였다. 2. 교사의 배치환경에 따른 직무수행능력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에 비해 『수업내용과 실천 기술』,『학습장애 수업기술』,『 학생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리 기술』등 9개 영역에 대해 중요도를 더 높이 인식하였으며 특수학급 교사는 학습장애 수업기술, 컴퓨터 등 교수공학, 통합교육 지원과 관련된 수행능력에서, 특수학교 교사는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절차, 보조 기구 사용 및 관리 등에 대한 수행능력에서 현직교육을 더욱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직무수행능력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무수행능력 중요도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현직교육 필요도에 있어서는 5년 미만 경력 교사가 5년 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학습장애 수업기술』에 대한 현직교육을 더욱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4. 교사의 학력에 따른 인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 졸업 교사가 대학 졸업 교사에 비해 『진단·평가 지식』, 『학생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리 지식』, 『의사소통과 협력 지식』, 『의사소통과 협력 기술』에 대해 중요도를 더 높이 인식하였으며 현직교육에 있어서는 『학생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리 지식』을 더욱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수교육 교사들은 연구에서 제시된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현직교육 필요도에 대해 교사의 배치환경, 교육경력, 학력에 따라 일부 영역, 항목에 대해 유의한 인식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교사의 배치환경에 따른 인식은 가장 확연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사의 배치환경이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과 현직교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수교육 교사의 배치환경, 교육경력, 학력은 현직교육을 계획하는 데 있어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의 현직교육 계획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Teachers are an essential factor for providing quality education. Quality educa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securing quality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equired skil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erform their jobs and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the skills. In particul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perspectives regarding of required skills and needs for inservice education. 56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127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ponses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following variables: work settings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years of experiences, and levels of education of the teachers.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on the CEC standards and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 1. The teachers reported the most required skills for performing their jobs in order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diagnosis and evaluating skills; managing student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skills. 2. The teachers reported the most needed inservice education in order of teach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instructional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and planning and manag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knowledge. 3. About the most required skills for performing their job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work settings. Special class teachers rated the following skills higher than special schools teachers did: instructional contents and proactive skills; teaching skills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managing students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skills. 4. About the most needed inservic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years of their experience. While special class teachers required inservice education in the following areas: teaching skills for learning disabilities; education technology; and inclusion education, special school teachers needed screening, prereferral, and classification procedures of special children; and using and maintaining adaptive equipment.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quired of required skills for performing their jobs according to years of experiences of special teachers. 6. Special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experience required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ing skills for learning disabilities more than those with more than five years' experience. 7. According to levels of education, undergraduate degree and graduate degree, special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 rated diagnosis and evaluation skills; managing student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knowledge;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knowledge higher than the others did. From the above,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erspectives of required skills for performing their jobs and expectations of inservic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work settings, years of experience, and levels of education. In particular, work settings of special teachers was reported as the most critical variable which effects on special teachers' performing jobs and expectations of inservice education. I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