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중학교 영어 작문 채점 현황 파악 및 채점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영어 작문 채점 현황 파악 및 채점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uthors
나성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과거의 선다형 지필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수행평가의 실시는 그 동안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가 어렵다는 이유로 등한시되어오던 표현 기능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그 결과 최근에는 많은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영어 작문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작문 수행평가는 채점에 있어서 교사의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가 많다. 또한 작문은 수준 높은 사고력이 요구되는 매우 복잡한 활동이므로 작문을 채점하는 일 또한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다. 따라서 작문 평가의 경우 채점의 신뢰도가 문제시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작문 평가와 채점에 대한 더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이나 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채점 기준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채점 기준들은 영어 모국어 화자나 ESL상황의 학습자를 위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EFL상황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것이다. 게다가 작문은 문화적 영향도 많이 받는 활동이므로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독자적인 평가 절차나 채점 기준의 마련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학교 영어 교사들의 작문 지도와 평가 및 채점의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영어 작문 채점 기준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학교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작문 지도와 평가 및 채점 현황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과 등급의 수가 다른 두 가지 채점 기준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중등 영어 교사와 교육대학원 영어 교육 전공생으로 구성된 채점자들에게 이 채점 기준표를 사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어 편지를 채점하도록 하였다. 그 후 사용된 채점 기준의 신뢰도 검증을 통해 채점 기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또한 채점 기준을 사용해 본 채점자와 채점용 작문을 작성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채점 기준의 장단점 및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가 행해지고 있는 요즘에도 여전히 영어 쓰기는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덜 중시되는 편이고 영어 작문의 지도나 평가의 횟수도 적은 편이다. 그러나 영어 쓰기 기능의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적절한 영어 작문 평가 도구와 채점 기준의 마련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이 사용할 만한 적절한 채점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두 가지 종류의 채점 기준은 모두 신뢰도가 높았다. 그리고 채점 기준별, 채점자 집단별 신뢰도의 차이는 별로 크지 않았다. 셋째, 채점자들은 대체로 학생의 작문 능력을 자세하게 채점할 수 있는 등급이 세분화된 채점 기준표를 선호한 반면, 학생들은 자신의 작문의 장단점, 특히 단점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는 영역이 세분화된 채점 기준표를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어 작문 평가에서 신뢰로운 채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학교 상황에 맞는 채점 기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서 교사들이 자신의 교육 목표와 내용, 상황에 맞게 인용할 수 있는 자료의 토대가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채점 기준에 기초한 채점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므로 학교와 교육 당국의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채점 기준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교사들이 채점 기준을 개발, 선택할 때에는 자신과 학생의 서로 다른 요구를 절충하여 최대한 신뢰로운 채점 기준을 개발, 선택하려 노력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채점 기준의 사용을 공정하고 신뢰로운 채점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채점 기준을 미리 제시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채점 기준 모형을 적용할 때에는 교육 및 평가의 목적, 학생들의 학년이나 수준 등의 적용 상황을 고려하여 알맞게 수정한 후 사용해야 할 것이다.;Since the late 1990s,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implemented in classrooms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standardized tests.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led to the emphasis on assessing productive skills which had been neglected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obtaining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Recently, therefore, assessing and scoring writing has also become an issue. In assessing composi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reliability of scoring because it is a subjective and complex process. For this reason, foreign colleges and institutes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scoring criteria for English composition. However, the criteria cannot be easily implemented for Korean students without any modification because they were developed for native or ESL learner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rating composition and develop a rating scale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rst survey how middle school teachers teach, assess, and score English com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wo scoring criteria that hav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mensions and scales were designed for letters which were written by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six raters composed of te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four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and twelv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scored the letters using the two scoring criteria. Next, the reliability of the two scoring criteria was estim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raters who had used the criteria and the students who had composed the letter were surveyed for their preference between the two scoring criteria. On the basis of all the results, a model of scoring criteria for English composition written b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s suggeste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writing skill is being emphasized less than the other skills in an English class but interest in English writing is increasing. Thus, scoring criteria which make scoring reliable and are appropriate to the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need to be developed. Secondly, two scoring criteria which were designed had high reliability. Thoug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reliability between them, it can be neglected. Thirdly, scoring criteria which raters prefer are different from those which students prefer. While raters require scoring criteria which have minute scales, students prefer those which have various dimensions. Thus, when teachers design or refer to scoring criteria, they should take their students' needs as well as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urposes into consideration. In conclusion, studies on scoring criteria of English composition for Korean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help teachers score reliably. Additionally school authorities should give institutional and executive support to teachers, including reducing their work load because scoring with criteria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Teachers ought to use scoring criteria not only for the purpose of scoring reliably but also with the object of making their students self-directed learners. That is, teachers should offer students scoring criteria while they perform tasks in order that they can refer to the criteria. Finally, in using the scoring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teachers should modify them according to their purposes of teaching and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