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Title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Authors
변혜령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or infa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dynamic growth physically and mentally, educating creative dance education has the effective function that elevates aesthetic senses and raising adaptability to society and esprit de cooperation as well as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based on the form of art. With educational prejudice against creative dance, lack of recognition and uniformed type of education that restrains infants from developing their abilities, using teaching media proper for their interest and level and developing movement ideas will exert a great effect on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complex development of figures and creative movement by studying and developing an infant creative dance program using figure activity as a teaching medium. The study contents for this purpose is, first, examine the features of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 of infant creative dance. Seco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creative dance and figure. Also, investigated the practical use of the media and figure, movement and figure from precedent studies.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basic direction and the model of an infant creative dance program focusing on using figure. Referring to various related books and video data, I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creative dance using figures has a purpose to form a creative human being who is made up of a creatively developed way of thinking and moving through harmonious combination of movement and figure factors. Second, the program is divided into LEVEL A and B by age levels, and each level is composed of four steps that use figure elements(body design - movement application - improvising expression - imaginary expression). Third, during instruction in the class, it is required to prepare for any reactions from the students. Also required to prepare materials of movement, media and proper teaching language. As written above, an infant creative program suggests the idea of figures so that kindergarten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es can provide effective movement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telligent and positive way of thinking. Also, this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fant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through combining art thinking and movement in creative dance education, responding to modern society's request to pursue creative and active human beings through development of creative elements. More study and development through creative and relevant ideas is needed, and it is my task to diagnose learning effect and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신체적·정신적으로 역동적인 성장과정에 놓여있는 유아에게 있어서 창작무용교육은 예술의 형식을 토대로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발달 뿐만 아니라 미적 감각을 높여주고 사회 적응력 및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창작무용에 대한 교육적 편견과 인지도의 부족현상 그리고 주입식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형태로 유아의 잠재능력 개발을 저해하는 현 상황 속에서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과 움직임 소재의 개발은 유아기 성장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형 활용을 중심으로 교수매체를 이용한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도형이라는 미술적 소재와 자료를 창의적 움직임 표현에 도입함으로써 두 영역의 복합적인 발달을 꾀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유아의 성장발달의 특징과 유아 창작무용의 필요성 및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둘째, 유아 창작무용과 도형의 관계에 있어서 도형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매체와 도형, 움직임과 도형의 활용을 고찰해보았으며, 선행된 연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셋째, 본 연구의 결과로서 도형 활용을 중심으로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의 기본방향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들을 여러 참고문헌과 비디오 자료를 통하여 조사·개발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형을 활용한 창작무용은 움직임과 도형 요소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발달된 사고와 움직임을 이루는 창조적인 인간을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프로그램은 연령별 수준에 의해 LEVEL A와 LEVEL B로 나뉘고 각 LEVEL은 도형의 요소를 활용한 4단계(신체 디자인 - 움직임 응용 - 즉흥 표현 - 상상 표현)의 내용으로 구성한다. 셋째, 수업 지도시 움직임의 소재 즉, 도형 요소, 교수매체, 수업 언어 및 반응에 대한 세심한 준비와 배려를 해주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도형을 이용한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현재 유치원 및 기타 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창의적이고 지적이며 적극적인 사고를 개발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움직임 교육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은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인간을 지향하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창작무용교육에 있어서 미술적 사고와 움직임의 결합이라는 시도를 통해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유아 발달에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보다 창의적이고 연계성있는 아이디어의 개발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효과 및 효율성에 대해서도 현장검증을 통하여 평가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