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초등 교사의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Title
초등 교사의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Authors
서승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개정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교사의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준비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교사의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의 하위 항목으로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상황,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학습 지도 및 평가 방법의 실시 현황과 7차 수학과 적용상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관련 문헌들을 연구하여 운영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와 수업 관찰 기록표를 개발하여 7차 수학 교과를 가르치고 있는 초등학교 1, 2, 3, 4학년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교사 표본을 추출하여 수업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준비 실태 결과,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행 2년째에 접어들었지만 조사 대상 교사의 62.9%만이 공식적인 연수 경험을 가지고 있어, 교사들의 사전 연수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정도를 높이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교원 연수가 확대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소수 교사들의 참여로 단위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됨으로서, 학교내 교사들의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운영계획에 대한 합의와 숙의 과정이 생략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와 교사의 현실여건에 보다 적합한 수학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해서 학교 교육과정개발에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결과, 교사들은 6차와 비교, 학습량 경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심화·보충과정 활동 시간은 주로 수업 시간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심화·보충 교재로는 담임 교사가 수시로 만든 자료나 교과서 자료에 주로 의존하고 있었다. 특별 보충 과정은 단위 학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조사 대상 학교의 33%가 국가 수준의 문서에 제시된 특별 보충 과정 운영 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수학과 단계형 교육과정에 대해 취지는 좋으나, 재이수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이 많고,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단계형 교육과정 운영의 실효성에 문제점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보통'정도의 실천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시, 심화·보충 과정 교재 및 시간 운영, 교수·학습 개별화 등의 운영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실천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학습 지도 및 평가 방법과 실제 교실에서 사용하는 학습 지도 및 평가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지도·평가 방법의 적용 및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상의 장애요인으로 과밀 학급과 자료 및 지원 체계 부족, 현실적인 여건과 괴리가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식 등 교육 환경적 요인과 교육과정 자체요인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따라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을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필수 과제로 과밀학급 해소, 물적·인적 자원 지원과 보급,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식개선이 요구되었다. 다섯째, 교사들이 현재 수학과 교육과정을 지도하는데 영향을 받는 방법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지도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 평가 방법 가운데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평가, 구두 시험 등은 수학과 평가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고 정확한 사용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평가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사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수학 이론 및 지도 방법을 교사용 안내자료에 제공·보급해주는 동시에, 수학 이론의 습득과 더불어 실제 적용 가능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국가 차원의 교사 재교육 및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져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how the 7th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s recognized by teachers at school and how it is being implemented by them.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ver teachers who teac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observations of sample classes. The survey was focused on finding out how teachers recognized, operated and adjusted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clas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used to confirm and compare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as follows: First,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as generally recognized by most teachers through inside and outside school training, not very well nor not very bad. The surveyed teachers, however, were not well aware of the program and operation of curriculum since not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cedures of adjusting the curriculum to each school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Second, the surveyed teachers were found to agree with the definition of the level education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Each class was dedicated to the basic and supplementary course and cooperative grouping between the high and low level students were not made. The recognition of advanced and supplementary classes by teachers was also average and the classes were based on textbooks or other materials made by teachers. The three levels of the students were divided by teachers' judgement but teachers preferably divided students into those who pass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n't. Teachers were surveyed to find difficulty in developing appropriate problems for superior and average students. Five out of the surveyed 15 schools had promotion standards following the direction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encourage the students who can't complete the course to retake it. And they were giving supplementary classes and the test of the basic education course, usually after school before and after vacations. Most teachers surveyed answered that they agreed to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by level but it was hardly implemented at school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passing some students and making others retake the course. Third, teachers were following the guidelines of teaching method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except for the use of calculators. Particularly,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use of various education supplementary tools and they were actively adopting those education methods. Fourth, teachers were most affected by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ld ones in teaching and evaluation procedures. They picked overly populated classes, lack of supporting systems and materials, and level education as main obstacles in adjust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obser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make the 7th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etter implemented at school. Firs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 by teachers should be continuously enhanced through various formal and informal trainings given by national, municipal or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Further, more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discussions on the course being made at each school. Second, more deliberation should be made on the level education system which most teachers agree to but find difficulty adopting at school. Each school should have more discussion on this matter and try to find way to adjust to individual school under its unique circumstances. It is significant that more teachers share the vision of the new education course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every decision-making procedure. To help realize the level education,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keep supporting systematic materials and information and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in which teachers exchange can exchange experience and information. Third, substantially appliable guidelines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as they were found to be most dependent on the guidelines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encourage teachers to apply the new curriculum at school, the national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make the environment first and continuously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the new course so that they can learn not only the theoretical foundation but also substantial ways to adjust it in each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