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분석

Title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분석
Authors
홍재선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ue to the rapid world-wide industrializati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ame much severe nowadays. The growing sense for this environmental crisis consequently calls for the practical solutions and the human being's affective attitude for the environment most urgently. Accordingly, the 'environment'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had been newly opened in the sixth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concerns about the subject is more enhanced in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s essential to promote the school children's sense for environmental value and their will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activ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xt book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in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The specific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are; 1. What are the objective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education? 2. What are the desirabl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education? 3. What ar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education? To survey these subjects, the elementary text books of five subjects which have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a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are; 1. The conceptual and emotional objects are emphasized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education in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Particularly, the conceptual object is emphasized more than the emotional object, and the physical object is scarcely considered. 2. Each topic in the current curriculum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treated in the equal amoun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grade is insufficient. 3.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eaching methods are 'discussion and debate', 'investigation' and 'audio-visual education'. From the present results, for mor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it can be suggested like this; The emotional objectives should be more stress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sirable teaching methods are 'experience' and 'practice', by which the children can contact the environment directly.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include 'environmental ethics' 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to develop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and 'prudent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to enhance the children's environmental activity in their real lif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grade should be reinforced, so as to take the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interest, and difficulty in each grade into consideration.;세계적인 산업화의 물결에 따라 지구적인 규모의 자연 파괴나 환경오염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로 인한 위기감은 직접적인 환경대책을 요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도 환경에 대한 인식과 애정을 심어줄 필요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환경과목을 신설하였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그 위상이 더욱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환경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의지를 기르고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 보급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제7차 교육과정에 초등학교 환경교육 목표는 어떠한가? 2. 제7차 교육과정에 초등학교 환경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3. 제7차 교육과정에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시행중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 중에서 환경교육과 관련이 깊은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도덕』, 『사회』, 『과학』의 5개 과목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행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 인지적 영역이 가장 강조되고 있었고 정의적인 영역은 환경교육에서의 중요성에 비해 적게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행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각 영역이 고르게 반영되지 않아 '자연환경'과 '인공환경'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학년간의 연계성도 부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 및 토론', '조사', '시청각 활용' 수업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환경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의 함양이라는 환경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환경과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 잡힌 환경교육을 위해 정의적 영역의 목표가 보다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환경교육의 내용에 있어 학년간 위계성과 과목간 통합성이 체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환경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현장체험학습이나 실험·실습, 조사, 실천 및 참여와 같은 학생들의 활동이 중심이 된 교수-학습 방법이 더욱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