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박형주-
dc.creator박형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03-
dc.description.abstract분석심리학자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무의식을 태어날 때 이미 가지고 나온 집단적, 보편적 무의식과 태어난 뒤의 개인 체험과정에서 형성된 개인 무의식으로 구분하였다. 집단 무의식은 인간에게 유전되는 선험적인 것으로서 의식할 수 없으나 다양한 문화와 종족에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꿈, 그림 등을 통해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즉 집단 무의식은 그 대부분이 원형(Archetype)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원형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행동유형의 선천적 조건이자 본능의 정신적 측면이고 이미지(원형상)로서 나타난다. 문양은 같은 모티브, 형식, 기술이 전 세계 모든 나라에 존재하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술 · 상징 · 은유 · 신앙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면에서 문양은 집단 무의식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또한 문양은 환경과 문화, 경제적 조건 등이 다른 시대나 지역에 따라 다르게 발전하여 개별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다. 결국 문양은 민족이 살아온 환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를 지니게 되는데, 전통 문양이 바로 그것이다. 본인은 작업을 통해 집단 무의식을 구성하는 원형의 한 형태인 전통 문양과 본인의 개인 경험에서 나온 현대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작업에서는 전통 문양 중에서 원형 이미지로서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민화를 활용하였다. 장식성과 실용성을 가진 민화를 활용하는 본인의 작업은, 장식, 전통, 여성, 가정 등과 관련된 것에 영감을 받은 1970년대 미국의 미술사조인 ‘패턴과 장식(Pattern & Decoration)’을 비롯해 문양을 차용하여 오리지널과 복제, 예술과 장식의 경계에 의문을 던지며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다양한 현대미술 작가들과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모란 변주곡> 시리즈는 전통 문양 가운데 모란을 차용하였다. 모란이 부귀영화와 여성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여성작가로서의 정체성 탐구의 의미가 있다. 작업의 시발점은 의식이 표출되는 하나의 형태로서 본인의 콤플렉스이다. 작품에서 모란은 본인의 잊고 있던 어린 시절의 기억과 본인이 성장하였던 시대, 전통, 문화, 개인의 바램, 욕망 등을 상징하며 본인의 자화상으로 대치된 인형과 광고 속 모델과 함께한다. 이 작업은 본인의 개인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이었다. 이는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 1914-2009)이 문화를 이해해 가는 것, 즉 우리의 삶을 구성하고 지배하는 힘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과정은 인간이 처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유사하다. <시간 속을 거닐다> 시리즈는 원형으로서의 집단 무의식에 관한 작업이다. 인간이 의식하지 못하기에 더욱 그 영향력이 큰 집단 무의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존재한다. 이것의 한 형태인 원형 이미지는 근원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본인은 이것을 보편적 총체인 물, 그중에서 파도를 형상화하여 표현하였다. 이처럼 본인은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을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 문양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과거부터 거슬러 현대로 올라와 보는 본인의 작업은 ‘자아’가 ‘자기’를 찾아가는 자기실현의 과정이기도 하다.;The psychoanalyst Carl Gustav Jung (1875-1961) divided unconsciousness into collective or universal unconsciousness that one is born with and individual unconsciousness formed by individual experiences after birth. Collective unconsciousness is something transcendental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ven though people cannot be conscious of it, it is symbolically manifested in dreams and painting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across various cultures and races. In other words, collective unconsciousness is mostly comprised of archetypes, which are innate conditions for the most fundamental behavioral types of mankind, make the mental aspects of instinct, and are presented in images (archetypical images). Patterns have universal nature in that the same motives, forms, and technologies are found in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signifying incantation, symbol, metaphor, and faith. In that sense, patterns are regarded as a form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Patterns, at the same time, do ha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they take different growth paths accord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cultures, and economic conditions in each period and region. In the end, patterns develop a unique form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a race, and they are called traditional patterns. In her works, the investigator attempted to visually express and conscientize traditional patterns, one of the archetypical forms making up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modern images derived from her personal experiences by utilizing folk paintings that are traditional patterns with life force as archetypical images. The investigator's works utilizing folk paintings with decorativeness and practicality adopted patterns including the Pattern & Decoration, an American art trend of the 1970s inspired by things related to decoration, tradition, woman, and family. They share some commonalities with those of various contemporary artists who raise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between original and copy and between art and decoration and expand the domain of art. The Peony Variation Series adopted the peony pattern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riginating in the investigator's complex as a form to express unconsciousness. In the series, the peony symbolizes her forgotten childhood memories and the time, tradition, society, culture, and personal wishes and desires of her growing years, presenting the doll replaced by her self-portrait side by side with an advertising model. The series represents her identity exploration as a female artist in that the peony symbolizing wealth and prosperity represents women. The series traces her conscientization process of her personal unconsciousness, which is similar to a view held by Edward Hall (1914-2009), who argued that understanding culture or the process of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force to make up and dominate human life i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situations. The Walking in Time Series is collective unconsciousness as an archetype. Collective unconsciousness exerts greater influence because people cannot be conscious of it. It claims its existence beyond time and space. One of its forms, archetypical images have essential life force, which was embodied and expressed as the total and universal element of water and more specifically waves in the series. The investigator visualized and expressed a process of conscientiz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with modern images and traditional patterns. Her works, which trace her journey from the past to the modern times, represent a self-fulfillment process of her 'ego' finding her 'self'.-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의 반영 3 A. 무의식과 원형 3 B. Pattern & Decoration 7 Ⅲ. 이미지의 의미와 표현방식 13 A. 전통 문양 - 민화 13 B. 민화와 현대적 이미지 15 C. 장식과 반복 25 Ⅳ. 작품분석 32 A.모란 변주곡 33 B.시간 속을 거닐다 47 Ⅴ.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723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에서 표출된 이미지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본인 작품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mages Manifested in the Conscientization Process of Unconsciousness : With a focus on the works of the investigator-
dc.creator.othernamePark, Hyung Ju-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