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uthor이설영-
dc.creator이설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6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넘쳐나는 다양한 매체의 이미지들은 실재(實在)라고 여겨진 고유한 영역의 벽을 허물고 실재와 가상(假象), 원본과 모방의 영역을 불분명하게 하며 오히려 실재를 지배하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과 영상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들이 실재를 압도하면서 참과 거짓, 실재와 가상 사이의 차이는 더 이상 무의미해진다. 본인은 우리의 일상 공간, 주변 풍경 속에서 소재를 찾아 서로 상반되는 속성을 가진 실체와 허상, 현실과 환상(幻像)을 넘나들며 마치 진실게임을 하는 듯한 화면을 보여준다. 공간과 공간이 겹치며, 공간 너머에 또 공간이 있는 착시와 환각의 세계 즉, 이미지 간의 뒤섞기 과정을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새로운 리얼리티의 경험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여러 형태로 제시된 시각적 환영(幻影)들을 통해 ‘우리가 굳건하게 믿고 있는 현실이 과연 유일한 실재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실재와 가상이 공존하는 시각적 표현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에는 예술에 있어 재현의 담론이 바탕이 된다. 눈이 지각한 ‘현실’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하는 재현의 방식은 본인 작업의 근간을 이룬다. 이에 본론 첫 장 ‘혼합된 공간의 재현’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연의 모방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서구 회화사에서의 재현에 대한 개념에 대해 언급한 후, 플라톤(Platon)의 이데아(Idea) 사상과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크르(Simulacre)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미술의 역사 속에서 실재성을 지닌 일상적인 사물들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현실의 실제 공간과 이미지로 재현된 공간을 통한 실재와 가상의 관계에 대해 서술한다. 여기에는 실재하는 대상과 그려진 대상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회화작품 분석이 수반된다. 본론 두 번째 장의 ‘차원을 넘나드는 공간’에서는 이것이 실재인지 그림인지 사진인지, 보는 이의 지각을 건드리는 본인의 작업에서 2차원과 3차원의 혼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해본다. 또한 실재와 가상의 문제에 접근하며 현대미술의 개념적 다양성을보여주는미켈란젤로피스톨레토(MichelangeloPistoletto)의‘거울회화(Mirror Paintings)’, 토마스 데만트(Thomas Demand)와 유현미의 사진 및 영상 작품을 살펴보고, 작품의 표현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본인의 작품과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론 세 번째 장의 ‘실재와 환영의 사이 공간 (작품분석)’에서는 위에서 다룬 이론과 설명들을 토대로 본인의 작품에서 현실과 환상 세계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본다. 본인은 미술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 특성을 기본 바탕으로 회화·설치·사진·영상 작업을 통해 현실과 비현실,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허물며 이 두 세계가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상 공간 속의 소재들을 ‘진짜’처럼 그림으로 그리기도 하고, 재현적 회화 대신 거울과 라인테이프라는 의도된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면서 실제 물리적 공간 속에 환영적 공간을 구현한다. 이러한 형상들은 2차원과 3차원의 경계를 허물며 시각의 교란을 주도하면서, 현실과 이미지의 간극에 놓인 새로운 공간을 모색한다. 이처럼 본인은 작은 연출과 트릭을 통해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쳐버린 실재와 가상이 혼재되어있는 풍경의 조각들을 발견하고, 이를 시각화하고자 한다. 본인에게 미술이란 현실과 닮은 또 다른 현실을 재창조하는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을 통해 미술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지속되어온 재현성에 대한 개념과 시지각적 물음을 환기시키고, 시뮬라크르의 세계와 본인의 작품 세계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찾아 탐구해볼 것이다.;Today images created by a full and wide variety of media break down the walls around a unique zone called actual being,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the original and the copy, and put the actual being under their influence. As images overwhelm actual being on the heels of advancements in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and visual media, differences between true and untrue or between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no longer hold significance. The investigator goes around everyday spaces and surrounding landscapes to find materials, and shows scenes simulating a truth game between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or between reality and fantasy with contrasting attributes. It is intended to have the viewers experience a new reality in a process of mixing different images in a world of optical illusions and hallucinations where spaces overlap each other and there are spaces beyond other space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visual expressions with the coexistence of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with my works, which were conceived by a question, “Is the reality in which we put utter trust the only actual being?”, through visual illusions presented in various forms. This basis was the discourse representation in art.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reality” perceived by the eyes made a foundation for the investigator's works. Chapter 1 of “representation of mixed spaces” reviewed the concepts of representation 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s, which have traditionally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imitation of nature. It also explained connections between the Idea ideology of Plato and Simulacre of Jean Baudrillard, examined the meanings of everyday objects with actuality in the history of art, and discussed relations between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through actual spaces in reality and reproduced spaces via images. Also analyzed in the chapter were the paintings of Rene´ Magritte that raised a question about relations between actual objects and painted objects. Chapter 2 of “spaces crossing over dimensions” examined how two and three dimensions were mixed together in the investigator's works that stimulated the senses of viewers as to whether they were real or in paintings. It also examined “Mirror Paintings” of Michelangelo Pistoletto, who showed the conceptual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by approaching the issue of actual being and virtual being, as well as the photographs and video works of Thomas Demand and Hyun-mi Yoo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works with the investigator's works with a focus on expressive methods used. Finally, Chapter 3 of “spaces between actual being and illusion (work analysis)” examined how the real and fantasy worlds were described specifically in the investigator's works based on the theories and explanat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art, the investigator created paintings, installations, photographs, and video works and demonstrated with those works that the two worlds of reality and non-reality or actual and virtual being could have the boundaries between them fall down and coexist with each other. I embodied illusionary spaces in actual physical spaces by painting materials in everyday spaces to look “real” in paintings and using intentional devices such as mirrors and line tapes instead of reproductive paintings. Those forms search for new spaces situated in gaps between reality and images,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s and leading visual disturbances. The investigator tried to discover pieces of landscape, where actual being was mixed with virtual being rarely perceived and then ignored by people in everyday spaces, through small directions and tricks and visualize them. To me, art has the significance of re-creating a different reality resembling a reality. In the study, I aroused the concepts and visual perceptive questions of reproductivity persistent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and searched for and explored my own work directions at a point where the world of Simulacre was connected to my world of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혼합된 공간의 재현 4 A. 일상적 사물들로 매개되는 다층적 공간 8 B. 실제 공간 속의 이미지 공간 15 Ⅲ. 차원을 넘나드는 공간 22 A. 거울과 공간 22 B. 다차원적 미디어 공간 32 Ⅳ. 실재와 환영의 사이 공간 (작품분석) 44 A.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44 B. 존재와 부재의 경계에서 50 C. 2차원과 3차원의 경계에서 59 Ⅴ. 결론 73 참고문헌 76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764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시지각으로 경험되는 혼합 공간-
dc.title.translatedOn the Boundary Line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 Mixed spaces experienced through visual perception-
dc.creator.othernameLee, Seoul Young-
dc.format.pagei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