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미-
dc.creator김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97-
dc.description.abstract언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문장에 포함된 낱말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법에 따라 낱말의 조합이 어떻게 문장의 의미를 산출하는지를 이해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장이나 담화를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와 구문 수준의 언어학적인 이해만으로는 불완전하며, 맥락에 근거한 화용적 이해가 필요하다. 언어이해과정에서 화자가 의미하는 바를 청자가 이해하기 위한 본질적인 맥락은 화자와 청자가 대화하고 있는 그 순간에 믿는 상호지식(common ground)으로 구성된다. 상호지식에는 세 가지의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언어적 공존으로 이는 이전에 진술된 정보로 구성된다. 두 번째는 물리적 공존으로, 이는 청자와 화자간에 현재 경험하고 있고 이미 경험해 온 것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는 공동체 멤버쉽으로, 이는 특정한 공동체의 일원들이 공유하는 배경지식을 말한다. 최근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화용 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화용 능력에 관한 연구의 초점은 주로 표현이나 상호작용에 두었으며, 이들의 이해능력을 살피는 연구들도 수용적인 어휘나 문법적 구조의 이해를 살피는 내용으로 제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화용적인 이해능력에 관한 연구의 결과들도 아동들의 언어학적인 결함과 화용적 결함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해주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과 정상아동들의 (1) 정보가 완전한 발화의 이해능력 (2) 애매모호한 발화에 대한 상호지식 이용 능력 (3)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의 인지능력을 비교하고 (4) 상호지식의 이용능력 및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 인지능력과 비언어성 지능, 문장이해력 및 사회인지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화용적인 이해능력의 특성을 알아보고, 언어학적 이해능력과 화용적 이해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2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아동 20명 그리고,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정상아동 2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발화의 조건을 정보가 완전한 발화, 언어적 공존 및 공동체 멤버쉽에 의한 상호지식이 포함된 발화,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한 조건 당 6개씩, 총 24개의 문단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대상 아동에게 문단을 읽어주고, 그림판에 그려진 6개의 사물과 "몰라요"라고 쓴 카드 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해서는 각 발화조건에서의 정반응율을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단순언어장애집단아동들이 각 발화 조건에서 다른 두 집단아동들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호지식이 포함된 발화조건에서의 정반응율 및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조건에서의 정반응율과 비언어성 지능지수, 문장이해력 점수 및 사회인지과제 점수간에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완전한 발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생활연령일치집단의 아동들보다 열등한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2. 언어적 공존의 상호지식을 포함한 발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생활연령일치 집단의 아동들 뿐 아니라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열등한 수행을 나타냈다. 3. 공동체 멤버쉽의 상호지식을 포함하는 발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생활연령일치집단의 아동들보다 열등한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4.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를 인지하는데 있어서 생활연령일치 집단의 아동들보다 열등한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는 유사한 수행을 나타냈다. 5. 단순언어장애집단, 생활연령일치집단 및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은 상호지식이용능력과 비언어성 지능, 문장이해력 및 사회인지력 중 문장이해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인지능력과 비언어성 지능, 문장이해력 및 사회인지력 중 어떤 변인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생활연령일치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인지능력과 문장이해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인지능력과 사회인지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완전한 정보를 포함한 발화조건 즉 언어학적인 이해를 요하는 발화조건에서는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적 공존의 상호지식이 포함된 발화 즉 화용적 이해능력이 요구되는 발화조건에서는 언어능력일치집단의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언어학적인 이해 이상의 어려움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집단의 아동들은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 인지능력과의 상관분석결과 다른 두 집단과 달리 어떤 변인과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발화에 대해 대처하는 전략이 다를 수도 있음을 암시하였다.;To comprehend language is beyond on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word and how a combination of words according to the grammar of the language produces the meaning of a sentence. To completely understand a sentence and a discourse, linguistic comprehension based on semantic and syntactic level is incomplete, and pragmatic comprehension based on the context is necessary. The context for understanding what a speaker means is the common ground that the listener believes applies at that moment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he or she is speaking to. There are three sources of common ground. The first source in comprehension is linguistic co-presence. The listener takes as common ground between him and the speaker all of their conversation up to and including the utterance currently being interpreted. The second source is physical co-presence. The listener takes as common ground what he and the speaker are currently experiencing and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last source is community membership. If something is universally known in a community, then two people in that community can assume that they mutually know it. Recent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ve skills,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pragmatic ability of children with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language- disordered children's ability in pragmatics have focused on expression and interaction. A few studies have been done in the pragmatic comprehension area and even among them,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xamine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with respect to (1) compre- hending informative utterance, (2) using common ground in comprehending ambiguous utterance, and (3) monitoring insufficient information,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and (4)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ability to use common ground and recognize insufficien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non- verbal intelligence, sentence comprehension and social cognition,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were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20 chronological age (CA) matched children, and 20 language ability (LA) matched children. 24 short vignettes which included a speaker, a listener, three or four sentences of context and a referential utterance by the speaker to the listener about one of the objects in the display, were constructed. After the children listened to the vignettes, each accompanied by a set of six pictures of objects randomly placed with varying details, they were asked to choose an objec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A matched children but similar to LA matched children in comprehending informative utterance. (2)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the other two groups in using the common ground based on linguistic co-presence. However, in using the common ground based on community membership, children with SLI and LA match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A matched children. (3) In recognizing insufficient information, children with SLI and LA match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CA matched children. (4) In using the common ground to compre- hend ambiguous utterances, performance of all three groups of childr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but in recognizing insufficient information, children with SLI didn't show any correlation with tasks. However, CA match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LA match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cogn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y beyond their linguistic problem. Also it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LI use different strategies than normal children in dealing with comprehension probl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4 II. 이론적 배경 = 6 A. 화용적 이해 = 6 B. 상호지식 = 13 C.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 인지기술 = 18 D. 화용적 이해능력과 관련된 변인들 = 22 III.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검사도구 = 31 C. 연구절차 = 39 D. 자료의 분석 = 41 E. 통계분석 = 43 IV. 연구결과 = 44 A. 정보가 완전한 발화의 이해능력 = 44 B. 상호지식의 이용능력 = 46 C.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의 인지능력 = 49 D. 상호지식 이용능력 및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 인지능력과의 상관관계 = 51 V. 결론 및 논의 = 61 A. 정보가 완전한 발화 = 61 B. 상호지식이용이 가능한 발화 = 62 C.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인지능력 = 67 D. 상호지식이용능력 및 정보가 불충분한 발화인지능력과의 상관변인 = 69 E.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83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화용적 이해능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상호지식 이용능력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