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호정-
dc.creator김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420 mothers of 7-year old children from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was assessed by using the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Halberstadt, 1995),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measured by the Child Behavior Questionnaire(Rothbart, 1991)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as assessed by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Oh, Hong, Lee, & Ha, 1997).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rrelational analyses on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uggest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of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negativ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between self-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regul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of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s behavior problems. 2. Regression analysis on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suggested that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has influence on self-regulation. 3. Regression analysis on self-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 suggested that self-regulation has influence on behavior problem. 4. Regression analysis on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suggested that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has influence on behavior problem. 5. In the significant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was found. Generally,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regulation on behavior problem in present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in relation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behavior problem was supported.;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문제 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중재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 42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의 측정을 위하여 Halberstadt(1995)의 정서 표현성 척도(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의 측정을 위해 Rothbart(1996)가 개발한 아동 행동 질문지(Child Behavior Questionaaire: CBQ)에서 Eisenberg가 자기 조절 능력 측정을 위해 선정한 항목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문제 행동 척도는 Achenbach(1991)의 아동 행동 평가척도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에 앞서 정서 표현성 척도와 자기 조절 능력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문제 행동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와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은 정적 상관이, 문제 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는 자기 조절 능력과는 부적 상관, 문제 행동과는 정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문제 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을 설명하였다. 4.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자기 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을 설명하였다. 5.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문제 행동의 관계에서 중재 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을 통제하였을 때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주는 직접 효과가 유의미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아 중재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및 문제 행동간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는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문제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부정적 정서는 낮은 자기 조절 능력을 통해 문제 행동의 증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1. 정서 표현성의 정의 = 3 2. 정서 표현성의 측정 = 4 B.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 4 1. 자기 조절의 개념 = 4 2.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의 자기 조절 능력 = 7 C. 아동의 문제행동 = 8 1. 문제행동의 개념 = 8 2. 문제행동의 측정 = 9 D.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문제 행동 = 10 E.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 11 F.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과 문제 행동 = 13 G.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및 문제 행동 = 15 III.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및 절차 = 16 1. 예비 조사 = 16 2. 본 조사 = 16 B. 측정 도구 = 17 1.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척도 = 17 2.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척도 = 18 3. 아동의 문제 행동 척도 = 19 C. 자료 분석 = 20 IV. 연구 결과 = 22 A.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 문제 행동의 상관분석 = 22 B.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2 C.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 23 D.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4 E.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한 자기 조절 능력의 중재 효과 검증 = 25 V. 결론 및 논의 = 27 참고문헌 = 31 부록 = 41 영문초록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16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