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1990년대 한국창작춤의 경향에 관한 연구

Title
1990년대 한국창작춤의 경향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창작춤'이라는 용어가 처음 나오기 시작한 1930년 최승희의 창작무 용공연을 시작으로 우리한국무용계는 '창작'이라는 과제아래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정확하게 지금의 창작춤은 1970년대 후반, 이화여대의 무용과 신설로 인한 창작무용분야의 활성화로 인해 이뤄진 시점을 그것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이렇게 시작된 한국창작춤은 전성기인 1980년대를 거쳐, 90년대에 또 다른 한 장르로 인정받을 만큼의 발전을 거듭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80년대 이뤄진 '한국창작춤의 개념과 용어'에 대한 정리와 함께 90년대 논의 되어지고있는 '현대춤'에 관해서도 개념정리 하고자 한다. 또한, 90년대 한국창작춤의 경향을 연구하여 21세기를 향한 한국창작춤의 방향과 역할을 제시하고, 다른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고자 하는데 있다. 한국창작춤의 경향을 연구함에 있어서 지역적으로는 공연의 40%가 서울에서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였으며, 시간적으로는 90년도부터 98년까지의 작품을 그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연도별 작품선정에 있어서는, 92 춤의 해의 문제점과 병폐로 술렁이는 분위기를 잡지 못한 영향력이 중반까지 이어져, 본 연구의 대상을 94년부터 98년까지의 작품만을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그해에 가장 주목받은 작품으로 각각의 무용단체를 통해 구체적 안무활동을 하고 있는 인물들로, 창작작품들을 통해 그들의 안무스타일과 창작정신을 발휘해 객관적 기록 및 평론을 남긴 인물의 작품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크게 질적 변화와 양적 변화로 인한 한국창작춤의 경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적 변화로는 첫째, 90년대 이후 단체내에서 추진하는 자체적 기획전이나, 페스티발이외에도 국, 공립에서 지원금을 제공하면서 발표의 기회를 주는 기획전등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이로 인해 신진세력이 대거 출연하였고. 셋째, 국제화의 사회, 문화적 분위기는 '창무국제예술제'나 '국제 무용제', 'SIDance'와 같은 국제전으로 이어져, 해외에 대한 관심도와 진출이 증가하면서, 국제적 교류가 많아졌다. 넷째, 무용관련잡지의 증가로 인해 무용관련 정보를 많이 접할 수 있었으며, 평론가의 활동이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질적인 특징으로는 첫째, 주제적 측면에서 기존에 흔히 작품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시되었던 작품줄거리에 대한 관심도와 집중이, 미학적 측면의 강조로 인한 표현주의적 경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90년대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삼분법적인 무용분류가 점차 무너져,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의 절충적 한계극복을 해 나가면서 '현대춤'으로 인식되는 개념 하에 현대시 점에 맞는 창작춤의 한 장르로 발전되고 있다. 셋째, 무용안무가들의 과학적 방법론이 제시되면서, 작품에 있어서 「시리즈」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안무가들의 작품구성방법론을 좀더 체계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지며, 개인의 심리적 세계의 깊이를 추구하므로써 자기세계구축이다. 넷째, 전문화된 무용단의 구성이나 운영은 직업무용단체들이 많아졌다 기보다는 전문무용단체들이 이제는 자신들의 무용단체만의 색깔을 유지하 면서 꾸준한 무용공연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무용저널리즘의 기능상승으로 오는 특징이다. 이것은 무용작품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된 직접적인 영향력일 수 있는데, 평론가들의 영향력의 증가와 평론의 의미중요성으로 인해 무용가들은 작품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여러 가지면에서 좀더 체계적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이렇게 90년대 한국창작춤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면에서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 장르로 인정받기에 충분하였다. 21세기로 나아가는 한국창작춤이 지금의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 춤계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여, 무용계 전반에 깔린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한다. 무용예술의 진흥을 위한 정책이나 지원제도의 미비, 무용계 전반에 깔린 무용인들의 배타적 사고와 같은 커다란 문제점 해결과 90년대 한국창작 춤의 기획전의 활성화와 기존 문화의 명맥유지와 같은, 계속적이고 뚜렷한 문헌연구가 유지된다면, 이후의 무용계는 더 발전적인 모습으로 거듭날 것 이다.;Since Choi Seung-Hee's creative dance performance in 1930 when the term of `Korean creative dance' first, came out, our Korean dance field has developed under the task of 'creation'. However, it is more exact that today's creative dance came from the activation of creative dance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dance department in the late 1970s. Korean creative dance starting like this has developed appreciated as a genre through the 1980s and 1990s, the golden age of Korean dance. Hereb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fine `the concept and terms of Korean creative dance' made in the 1980s, and `The contemporary dance' which is being discussed in the 1990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role of Korean creative dance toward the 21st century by studying the trends of the 1990's Korean creative dance to make Korean creative dance appreciated as a genre. In researching the trends of Korean creative dance, I considered that 40% of performances are done in Seoul, and examined works from 1990 to 1998 as a subject. However, in selecting works of each year, the problems of 1992's dance and its effect was connected to the mid 1990s,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works from 1994 to 1998. This included figures who do specific choreography activities through each dance group by the most outstanding works of each year, and this study examines the works of figures who left objective records and criticism by displaying their choreography style and creative spirit through their creative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e trends of Korean creative dance caused by anality and quantity change,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quantity change, own planned performance developed by the inner group, festivals and performances giving the opportunities of presentation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Second, new power groups appeared a lot, and third, the atmosphere of globalized society and culture was connected to international performances such as `Creative dance international art festiva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SIDance', and international exchanges also increased. Fourth, the increase of dance magazine made better approaches to information of dance, and the activity of critics also increased. As quality characteristics, first, interest in and concentration on the story of a work in terms of subject is changed into expressionism trends by the emphasis of aesthetic aspects Second, three-divisional dance classification, the most problematic in the 1990s, is being developed into a genre of creative dance under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dance. Third, with choreographers' scientific methodology, series, in work appeared. This seems like a phenomenon of more systematically developing a choreographers' composing methods, and it is the establishment of self-world by pursuing the depth of individual psychological world. Fourth, professional dance groups mean continuous performance activities rather maintaining their color than the increase of their number. Fifth, it is characteristics coming from the elevated function of dance journalism. This can be a direct influence of the improvement of dance in quality. The increase of critics' power and the importance of criticism made dancers interested in work quality, and dance became to have more systematic forms in many aspects. Like this, Korean creative dance suggests developing directions in the aspects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and it is good enough to be appreciated as a genre. To develop Korean creative dance going toward the 21st century, we should solve problems rooted in the overall dance field. The future dance field will be developed more if big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dance-promoting policy or system, and dance people's exclusive thoughts are solved by the activation of the 1990's Korean creative dance performance, and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