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해금 정악곡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

Title
해금 정악곡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igimsae for the Traditional Classical Music of Haegeum : Focused on Youngsanhoesang, Pyeongjohoesang, and Gwanakyoungsanhoesang
Authors
김찬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The Sigimsae of the expressive technique is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plays the critical role in making the flow of melody flexible by connecting motion between notes to each other with the variou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ppearances of Chuseong, Toeseong, Yoseong, and Jeonseong out of the Sigimsae expressed in Hyunakyoungsanhoesang, Pyeongjohoesang, and Gwanakyoungsanhoesang based on the Haegeumjeongak of Kisoo Kim, and Sajoon Kang in the traditional classical music (jeongakgok) of Korean music system. For this, it examined the appearances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by music, found notes that the Sigimsae is used, and checked their progresses if those notes are connected to what notes. The result is as in below: The form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Youngsan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the Sigimsae which appeared in Youngsanhoesang is 61 times and it appears in Jungryeongsan most. Reviewing the type of the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Yoseong in the largest number and is used in order of Jeongseong, Chuseong, and Toeseong. It is not used in Toechuseong. It has been found that the notes that the Sigimsae is most shown from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Mu (nothing:無) and it is most shown in Hwang (Yellow:黃)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the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Jeon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form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Pyeongjo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the Sigimsae which appeared in Pyeongjohoesang is 115 times and it appears in military music most. Reviewing the type of the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Chuseong in the largest number and is used in order of Yoseong, Jeongseong, Toeseong, and Toechuseong. It has been found that the notes that the Sigimsae is most shown from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Jung (Middle:仲) and it is most shown in Lim (Forrest:林)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the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Jeong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form of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Gwanakyoungsan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Sigimsae which appeared in Gwanakyoungsanhoesang is 212 times and it appears in Yeombuldodeuri most. Reviewing the type of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Chuseong mostly and is used in order of Toeseong, Jeongseong, Yoseong, and Toechuseong. It has found that the notes that Sigimsae is most shown in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Hwang (Yellow:黃) and is most shown in Mu(nothing:無) from Jungryeongsan to Taryeong, and in Lim (Forrest:林)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Toechu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Yoseong and Jeong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result which I studied the Sigimsae of three musics has found that the notes that it appears and their motions are a little bit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ir scales by musi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igimsae shown in music is not exactly marked. So close supplementation of music is necessary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igimsae is used when musical instruments are played.;본 논문에서는 해금 정악곡 중 김기수·강사준 편 『해금정악』의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에서 나타나는 시김새 중 추성·퇴성·요성·전성의 출현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각 악곡별로 시김새의 출현음과 선율진행을 알아 보았다. 현악영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현악영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중령산이고, 전체 현악영산회상에서 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에서 시김새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無이고, 군악은 黃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 林→潢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黃→남, 無→林 등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無→林, 林→仲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黃→林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無→林, 太→黃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無→無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 仲→林 등으로 나타난다. 평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평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군악이고, 전체 평조회상에서 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까지 시김새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仲이고, 군악은 林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黃→太, 仲→林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姑, 潢→南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仲→仲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太→黃, 林→姑 등으로 나타난다. 퇴추성은 주로 하행진행에서 나타나고, 선율진행 유형은 潢→南, 南→林 등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仲→太, 林→黃 등으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黃→太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으로 나타난다. 관악영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관악영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염불도드리이고, 전체 관악영산회상에서 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까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無이고, 군악은 林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은 仲→林, 仲→潢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林→姑, 無→太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無→無, 仲→仲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 無→林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퇴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潢→남, 林→仲 등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南→潢, 黃→仲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南→林, 南→仲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無→潢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 潢→林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黃→黃으로 나타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