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효정-
dc.creator임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사이버 공간에 의존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터넷 사용이 중독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지 탐색하여 인터넷 남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심리상태나 실생활에서의 부적응적 행동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PC통신 및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우울 성향과 대인관계 예민성을 중심으로 신체화, 강박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차원에서 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계기로 사이버 의존자들의 심리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심리상태를 이해하여 앞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중독증을 이해하고, 그 처치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사이버 상담 등에서 통신 이용자들의 심리특성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주로 통신망(PC통신과 인터넷상의 동호회, 뉴스그룹, 이메일을 이용)을 통해 피험자를 모집하였으며, 연구 주제를 게시판에 올리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총 956명의 응답을 받았다. 그리고, 서울시내 1개 학교의 직접 설문을 통하여 10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이버 의존 여부를 분류하기 위하여 Young(1995)의 인터넷 및 통신 중독진단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사이버 의존자의 대인예민성과 우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Derogatis 등(1976)이 개발한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를 사용하였다. 김재환, 원호택 등이 표준화한 이 검사는 9개 증상차원, 9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버 의존자들의 통신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인터넷 및 통신사용에 관한 정보를 묻는 질문의 내용은 통신사용 경력 및 시간, 통신 이용 목적,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른 사용정도로 구성되어 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인예민성에 있어 사이버 의존 집단이 비의존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제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요소들 즉, 부적절감, 불안 등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사이버 의존 집단은 우울 차원에서도 비의존 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인터넷 중독과 우울은 높은 상관을 가진다는 Young과 Rodgers(1998)의 연구결과를 다시 한번 지지하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의심되는 사례는 우울 평가도 함께 해야 함을 시사한다. 3. 신체화 경향, 강박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등 간이정신 진단검사의 다른 하위 척도들에 있어서도 사이버 의존 집단이 모든 차원에서 비의존 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가 10점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간이정신진단검사 점수가 9개 증상차원 모두에서 사이버 의존 집단이 비의존 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이버 공간에 몰입하는 사람들을 인터넷 중독이나 PC통신 중독과 달리 좀 더 폭넓게 이해하고자 사이버 의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심리상태를 검증하고 사이버 공간이 현실적 문제로부터의 도피 혹은 자신의 욕구를 투사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는 정신분석학적 가설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는 데에 있다. 그리고 사이버 의존자들에게 적절한 심리치료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사이버 의존자들이 정신진단검사의 모든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이들 대다수가 정신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아니다. 이들이 컴퓨터에 몰두하게된 환경, 그로 인한 심리적 문제들을 다루어야 함을 의미한다. 인터넷 중독장애가 뚜렷한 병리적 원인을 가진 실체로서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선 인터넷 중독이라는 진단 범주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그러한 진단을 내리기보다는 이런 행동을 가져오게 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 심리치료도 사이버 의존이 대인관계 문제 혹은 우울 등으로 인한 이차적인 증상일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people who depend upon cyberspace using PC communication and Internet. It was examined whether Internet usage can be addictive. We also analyzed mental status or maladaptive behaviors caused by Internet abuse. In detail, the research has determined differences between cyberspace dependents and non-dependents in such varied areas as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in terms of depress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the foundation data to diagnose psychological problems of cyberspace dependents. It will also be used to not only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status and offer the best solution, but also to analyze cyberspace addiction and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C communication users who are in cyber therapy or other cyber activities. In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collect data in an on-line survey from 956 individuals. All the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take the on-line questionnaire voluntarily through the Internet such as message boards, newsgroups, and e-mails. In addition, 106 pencil-based case samples were obtained from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Seoul, Korea. The subjects' cyberspace dependence was measured by the Cyberspace dependenc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author on the basis of Young(1995)'s Internet Addiction Questionnaire, and the SCL-90-R which was developed by L. R. Derogatis et al(1976) was used to measure tendency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e SCL-90-R was standardized by Jae-Hwan Kim and Ho-Taek Won and consists of 90 items with 9 symptom dimensions. The questionnaire about Internet usage behavior consists of frequency, history and purpose of Internet usage and the frequency of usage among the respective applic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interpersonal sensitivity levels, cyberspace depen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ponses than non-dependents did. This suggests that cyberspace dependents have a higher level of inappropriateness and anxiety as well as actual interpersonal problems. 2. With respect to depression levels, cyberspace depen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sponses than non-dependents. This study replicates the result from Young and Rodgers(1998)'s experiment which suggests the measuring of depression when addictive Internet usage is suspicious. 3. Cyberspace dependents also showed higher levels in other subscales of the SCL-90-R such as somatization tendency,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by approximately 10 points. Consequently, cyberspace depen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all 9 symptom dimensions of the SCL-90-R than non-depen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eople who devote themselves to cyberspace in wider perspective by applying the idea of cyberspace dependence instead of Internet or on-line addiction. Another significance is to introduce the psychoanalytic hypothesis that cyber space can be used to escape from reality or satisfy person's desire to Korean society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it also proved that prope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cyberspace dependents. While we cannot conclude that all the cyberspace dependents have high potential or possibility of mental disorders just because they show higher level in all scales of the SCL-90-R, it means that we need to recognize the circumstantial motive or condition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the condition might incur. Even though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ernet addiction disorder stemming from pathological caus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fundamental reasons for such an addictive behavior instead of setting up the diagnostic category of Internet addiction and diagnose individuals. This also represents that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yberspace dependence as second hand symptoms caused by personal problems or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사이버공간 = 6 B. 사이버의존 = 12 1. 사이버의존 = 12 2. 사이버의존 관련 선행연구 = 19 C. 사이버의존과 심리특성 = 24 1. 대인관계 = 24 2. 우울 = 26 III.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절차 = 30 1. 통신망을 통한 피험자 모집 = 31 2. 학교를 통한 피험자 모집 = 31 C. 검사도구 = 32 1. 인터넷 및 통신중독 진단 설문지 = 32 2. 간이 정신진단검사(Symtom Checklist - 90 - Revision) = 33 D. 자료분석 = 34 IV. 연구결과 = 35 A. 통신실태 = 35 1. 이용자 실태 = 35 2. 서비스 사용 실태 = 39 B. 대인예민성과 우울에서의 사이버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간 비교 = 40 C. 사이버 의존집단과 비의존 집단간 심리특성의 탐색적 분석 = 41 V. 결론 및 논의 = 43 참고문헌 = 49 부록 = 53 영문초록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7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 간의 심리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인예민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