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9 Download: 0

16世紀 士林의 記文 硏究

Title
16世紀 士林의 記文 硏究
Authors
김정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16세기 사림의 문학이 前代의 문학과 달리 性理學的 道를 담은 "載道之器"임을 표방하여 文學을 心性修養의 한 방편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그 구체적인 실상파악을 위해 시도된 것이다. 그것은 "文學과 道學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재도지문의 주장으로서 기존의 관각문학에 대한 개혁의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야만 한다. 또 이와같은 16세기 당대문학의 구체적인 실상 파악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작가들의 정신세계와 개성은 달라도 통시적으로는 그 시대 공통의 특이한 문풍과 문채를 보일 수 있다는 점에 그 근거를 둔다. 본고가 산문쟝르의 일종인 기문을 통해서 고찰한 것은 기문이 記事之文이라는 장르적 특성이 있기 때문이며, 記文이 당대 문학의 양상을 詩文學에 의한 고찰보다 더욱 첨예하게 드러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또 기문저작의 동기가 대부분 청탁에 의한 것으로 당대 能文者의 文才가 잘 드러난 산문이라는 점에 연유한다. 본고는 士林文學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詩文學 爲主였다는 점에서 그와같은 연구 방법을 止揚하려는 시도라고도 볼 수 있다. 본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16세기 사림의 기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분석되었다. 기문을 통한 당대 문학의 通時的인 연구는 당대 문학의 실상을 살필수 있는 보조적 연구로서 그 가능성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는 記文類型의 전개와 확장을 통해서 당대문학의 배경사상을 알 수 있으며, 또 당대 문학담당층인 작가연구에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것은 기문이 記事之文의 특성이 있는 산문이라는 것과 문학담당층이 당대의 능문인으로 인정된 작가라는 점에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16세기는 사림의 전성기로서 이들이 주장한 재도지문의 실상이 각각의 기문유형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었으며, 어떤 서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의 문제는 철학, 역사, 교육분야와의 관련연구를 야기 시켜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문학의 입장에서 이를 수용하고 있는 당대문학의 실상을 분석해 보았다. 16세기 사림기문의 저작배경은 정치적으로는 잦은 사화로 인한 귀향, 은둔, 좌천이라는 변화와 시대적인 배경으로는 국가의 右文興學정책과 書院의 勃興時期였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그 사상적 배경은 朱子性理學의 擡頭와 陽明學의 流入에 대한 對應 등을 들 수 있다. 기문의 저작배경은 청탁에 의한 능문인의 자부심의 발로이며, 당시 산수유람의 풍조와 함께 누정과 서원의 숫적 증가에서 能文의 顯示 수요가 증가되었다는 점에 있다. 그 외에 老年의 臥遊를 위한 기록이 필요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6세기 사림들은 스스로 君子, 士林, 斯文의 개념을 黨類意識인 "吾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보이며, 그 내면에는 朱子性理學을 하는 文人으로서 同類的 계층의식을 보였다. 그들 기문의 성향은 지역별 특징을 보였는데, 近畿士林은 言官意識, 嶺南士林은 修己意識, 湖南士林은 興趣意識이 각각 분석되었다. 기문의 유형별 전개와 서술 특징에서는 산수기, 산수기류에서는 儒家的 산수유람관과 道仙的 산수유람관이 공존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결과 山水之美의 서술은 道體體得에서 오는 儒家的 興趣와 道仙的 夢幻의 분위기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 분석된다. 그리고 유람기의 산수 자연에 대한 묘사는 세밀한 실경묘사를 하고 있는데, 기문이란 四時에 따른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변화양상을 묘사하는 산문이라는 인식이 빈번하게 보였다. 또 이같은 기문을 잘 쓸 수 있는 사람은 韓愈와 같은 능문자로서 현장을 보지않고도 상상에 의해서도 잘 쓴다고 보았다. 누정기류는 명명지설 속에 기문작자의 사유세계를 보였다. 또 누정공간은 四時의 아름다움을 완상할 수 있는 "館宇之美"와 "江海之美"로 갖춘 공간으로서 儒家的인 觀物과 辨物의 空間인 동시에 莊子的 鴻 의 세계로 飛翔하여 浩然之氣를 느끼게 하는 物外 空間의 인식이 보였다. 官해, 公廳記類는 실용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작자는 관직의 역임에서 오는 儒家的 "仁"을 실천하려는 牧民意識을 보였으며, 揭示用의 글이라는 점에서 작자자신의 능문의 현시를 보여준다. 그것은 기문동기자의 업적에 대한 찬미의 서술에서 보이며, 이 부분에서 기문 동기자에 대한 찬미를 자신의 가치관에 따른 역사적 인물로 선정함으로서 능문자의 자부심을 보였다. 書院, 鄕校記類는 어느 것이나 교술적 권계가 강하다. 예를 들면 향교기는 장차 관리가 될 서생들에 대한 권계가 강하고, 서원기는 성리학적 아카데미즘의 촉구가 강하게 드러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君子의 四維意識, 斯文의 吾黨意識, 스승으로서의 勸戒意識등으로 펼쳐진다. 假記類는 時空을 초월한 구성으로 그 의식을 유학경전 속의 성인에 假託하여 저작자 자신의 도덕적 의지를 표명한다. 즉 역사속의 특정사건과 특정인물에 대한 褒貶을 시도함으로서 寓言을 대신했다. 16세기 사림들에게 자연공간이란 個人的으로는 心性修養과 道體窮究의 觀物空間이며, 公的으로는 儒家的 牧民意識의 발휘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方外的 超越과 解鬱의 창작공간에 대한 인식이다. 이와같은 인식은 文氣와 연계되는데, 자연공간의 광대함과 미세한 인간존재의 자각에서 오는 갈등을 창작의욕으로 해소하고 있다. 文氣의 개념은 대개 莊子的 發想에서 왔으며, 時間과 空間의 극대화와 초월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16세기 사림기문에서 보인 재도의식의 표출양상과 문학관은 諸經典인 四書五經과 性理書의 차용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에 따른 부수적인 부작용으로 人爲的인 情感의 節制樣相을 들 수 있다. 즉 四書五經의 차용은 각각의 勸戒와 鑑戒를 자신의 敎述的 勸戒로서 차용하였다. 예를 들면 {詩經}은 자연물의 아름다움, {周易}은 四時의 變易과 우주순환의 이치, {書經}은 게시용 공용문에 의한 능문자의 자부심, {論語}는 修己治人의 실천철학의 촉구, {春秋}는 건물의 興作을 통한 역사적 감계로서 그 차용의미를 갖는다. 인위적인 정감의 절제양상은 문학에서는 漢唐文學의 唯美風과 반대로 哲理的인 宋詩風의 수용으로 드러났다. 그 주된 원인은 朱子性理學의 五倫의 중시와 小學敎育의 중시, 性理書의 學習과 普及중시, 朱子文學觀의 수용등으로 분석되었다. 그 내용은 道本文末의 주장과 詞章學의 배격, 理氣論의 文學的 形象化, 唐宋八家文의 典範에 의한 古文의 受容등으로 분석되었다. 16세기 사림기문의 특색은 浮薄하고 唯美한 文風으로 일컫는 前代문학에서 벗어나서 사상성과 문학이 결합된 宗經과 明道의 이론을 포함한 재도지문을 형성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문학을 경시하고 道만을 중시한 양상으로 보였지만 문학의 의미를 "正心"에 두었다는 점에서 볼때 그 위상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6세기 사림문학은 문학이 지향하는 情緖醇化라는 목적외에 문학을 통하여 悟性의 世界로 나아가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哲學的 思惟世界의 文學的 形象化라는 과정에서 또한 산문문학의 발달을 가져왔다고도 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으로 본 16세기 사림기문에서는 기문저작자에 의한 기문장르 인식의 확대로 기문이 문학성이 높은 산문임이 증명되었다. 그것은 그들이 구체적으로 드러낸 기문 인식 중에서 기문을 대부분 독립쟝르로 분류하고 있으며, 작자의 文才 辨別로서 文氣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즉 기문은 작자의 文氣를 변별할 수 있는 산문쟝르라는 인식을 보였다. 더 나아가서는 기문에 의한 당대문학의 연구가 산문문학 연구의 비중을 높일 수 있으며, 당대의 작가연구와 文學史의 史料로서도 그 가치를 지닌다고도 볼 수 있다. 앞으로의 전망은 17세기의 사림기문에 대한 연구에서 본 연구의 관점에 대한 타당성 여부가 밝혀지리라고 본다.;The literature by the intelligentsia of the 16th century has been argued to be a way of cultivating one's mind in contrast to the preceding literature while representing itself as a container of doctrines emphasized by Sung Confucianism. This dissertation makes an attempt to crystallize this claim by looking into every possible detail. This effort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volition to reform the extant literature of officials was betrayed in the contention, "Literature has to be in concord with morality." In addition, the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as one phase of the diachronic stream of literature is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nnial literature as a whole, distinct from the fact that mentality and personality of writers should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era. A kind of prose called Kimoon is chosen for inspection in the dissertation in that one of its features is ascribed to the record of events and it is strikingly differentiated from poetry since it reflects on th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at is more, this genre displays the literary ability of the gifted writers of the times in that the prose was created mainly by request. In this respect, the attempt of this dissertation is distinguished and devi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been poetry-centered. The analysis of the intelligentsia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results in the following points. The diachronic research via Kimoon has been proved to have the potential as a supplementary material that can examine the status quo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To go into detail, the background ideology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s reveal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imoon genre. Besides, the outcome is substantial in that it is helpful in the study of writers. All these findings are associated with the two elements, i.e., Kimoon as a record of events and writers acknowledged as talented. The class of intellectuals enjoys its heyday in the 16th century. Thus, analysts have taken interest in how the so-called congruity of literature and morality is embodied in each form of Kimoon and what properties it has. These issues have been studied in relation with philosophy, history, and education. In the meantime, this dissertation delves into the literature of the age for its own sake. The intelligentsia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 was produced with the following backdrops. Politically, there were many purges of scholars that ended up with punitive homecoming, sequestration, or relegation. Chronologically, the government had the policy of encouraging literarism and learning and lecture-halls were prospering. Ideologically, the doctrines of Chu-tz? came to the fore and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as introduced. Kimoon was written by literati out of pride to which increasing needs for well-written compositions were added due to the trend of sightseeing and the increase of arbors and lecture-halls in number. Furthermore, writings were necessary as the enjoyment of later years. The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seem to have perceived gentlemen, intellectuals, and Kimoon as those belonging with them, i.e., all being in "our party." In other words, they felt they were of a class as the literati of Sung Confucianism. Their Kimoons are to be distinc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regions that they are from. Those from Kyonggi and Chooncheong show a sense of officialism. Those from Youngnam show moral training. The others from Honam manifest a sense of gust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oon, the views of Confucian and Taoistic excursion co-exist in the writings about landscape. Hence, the description about hills and streams is analyzed to contain the Confucian taste and Taoistic fantasy. The detailed portrayal of nature reveals that Kimoon is a prose which depicts the changing aspects of natural beauty accompanied by four seasons. Those who are able to write Kimoon well are considered capable composers like Hanyu that can make use of imagination without seeing the scenery firsthand.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s about arbors or bowers unveil the writer's world of thoughts through nomenclature. The space of arbors or bowers, itself, is seen to be equipped with the beauty of arbors and that of rivers and seas, which, in turn, can be the space of viewing and judging things from the standpoint of Confucianism and is enhanced to the world of chaos from the viewpoint of Taoism. After all, arbors and bowers are considered a transcendental realm where one can have the moral energy charged fully in heaven and earth, called Hoyeonjigi. The prose for a public building can be regarded as practical writing. Meanwhile, it shows the writer's enlightening efforts that are embodied in the deeds of "perfect virtue" and the writer's dexterity in composing. This fact can been seen in panegyric about the Kimoon motivator whom is chosen among the respectable historical personage. The prosaist, himself, chooses one of the admirable characters which, therefore, reflects his own conviction. The prose for a lecture-hall or school is didactic. The prose for a school is admonitory for those who are expected to become government officials, whereas the prose for a lecture-hall instills the Confucianistic academicism. Further on, it is articulated into the four spirits of noblemen, our-party spirit of Kimoon, and admonition of teachers. Fiction is, beyond time and space, formed to represent the writer's moral volition under the disguise of a saint in the scrip. As far as the intelligentsia is concerned in the 16th century, nature is construed as the space of moral culture and truth-realization, and the space of Confucanistic officialism. However, what should be focused on is the perception of creating space where one is principle-free and anxiety-free. The friction between the vastitude of nature and the trivial human being finds its resolution in the creating desire. This is related to writing vigor, the conception of which is originated from Chuangtzu's ideas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maximization and transcendency of time and space. The representation and view of literature derived from the sense of morality are to be seen in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and Sung Confucianism. Along with this follows some minor side-effect like the artificial containment of emotion. The borrowing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means the borrowing of the exhortation and supervision of each canon. To take some examples, Shih-ching (The Book of Odes) provides the beauty of nature, Chu-yeok (The Book of Changes) shows the change of four seasons and the principle of universe, Shoo-king (The Scripture of Documents) contains the pride of able writers about the passage for post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stimulates the practical philosophy of self-cultivation and alter-reigning, and Choonchu (The Chronicles of Lu) furnishes the historical superintendence through the way of building. The deliberate abstinence of emotion is due to acceptance of rational writing of poetry from the Sung Dynasty in contradistinction to romantic versification of the Han and Tang Dynasties. This phenomenon can be ascribed to the influence by the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primary education, learning and dissemination of Sung Confucianism, reception of Chuja's outlook on literature, etc. The content is analyzed to consist of the argument for moral-first-literature-later, argument against art-for-art's-sake, literary realiz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acceptance of the ancient passages written by the Eight Renowned Literati of Tang and Sung Dynasties, and so forth. The major property of the 16th-century Kimoon is that it outgrows the previous shallow and aesthetic style of writing and it proposes the convergence of ideology and literature, which is called composition laden with morality. This Taoism-affected literature includes admiration of canons and illumination of truth. In this context, superficially, it seems that literature is neglected while only Taoism is respected. However, literature, itself,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it is based on the "proper mentality." Therefore, the 16th-century intelligentsia literature should be noteworthy in the sense that it not only aims to furnish catharsis but attempts to proceed toward wisdom by way of literature. As a result, the prosaic literature could flourish in the process of creating literature out of philosophical thoughts. The discussion of this dissertation proves that the genre of Kimoon is a literature with high standards in the sense that the recognition of Kimoon by the writers prevails in the 16th century. That is, the literati of the 16th century classifies Kimoon as an independent genre, and the value of this work of art is given by measuring the writer's talent. Thus, Kimoon is the barometer that can help measure up the writer's composing skill. Besides this, the research on Kimoon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can lead us to pay more attention to prose rather than poetry, and it is also argued to be precious now that it provides the materials for the study on the contemporary composers and history of literature. The future prospect is that the intelligentsia literature of the 17th century would clarify whether the approach of this dissertation is valid or not.;本論文是試圖較具體的了解十六世紀士林的文學與前代的文學之不同,士林文學是以標榜可載性理學之道的文學,將文學作爲心性修養的手段,我們應特別注目的部分是主張藉“文道一致”的文以載道之說來企圖將旣存的館閣文學加以改革. 영外,對十六世紀當代文學的具體眞相之掌握雖因隨着時代的變遷,而作家們的精神世界與性格各不相同,但大致上,可根据當時共同的特殊文風與文采中得知. 本文是透過散文體裁中的一種--記文來考察硏究的.原因是因爲記文是一種具有記事之文特性的體裁.可見以記文考察硏究比以當時主要文學的樣相--詩文學得到更敏銳效果,故采用之.再加上,當時著作記文多因請托而著,可推知記文多出于善文者的手中. 本文也試圖抑止對士林文學的硏究,過去多主張士林文學是以詩文學爲主的說法. 本文觀察硏究的十六世紀的士林的記文,可分析爲以下幾點: 藉對記文的硏究,可作爲瀏覽當時文學實相的補助材料.從具體方面來看,從記文類型的開端與擴展中,可了解當時文學的背景思想.也對當時負責文學的作者硏究帶來相當大的幇助.這表示可將記文視爲含有記事之文特性的散文及對當時負責文學的作者的一種肯定. 十六世紀是士林的全盛期,如何將所主張的“文以載道”從形式轉爲實際,在서述特色上所帶的一些問題至此始與哲學,歷史,敎育等領域連在一起.然而本文却僅以文學的立場來對當時的文學實황加以分析的. 十六世紀的士林記文的著作背景是:在政治上,因着頻繁的史禍而常有返鄕,貶官,隱居的事件.在時代背景上,正處于國家興學政策與書院的發起時期.在思想上,是對應朱子性理學的태頭與陽明學的流入之時期.記文的著作是在委托下寫成的,故可推知,善文者必會以著作記文爲傲,從當時的山水游覽之風氣及樓亭,書院的增加等現象中,可知對善文者的需求必會增加,영外當時也需要爲老年的臥游之記錄. 從分析中得知,十六世紀的士林們,將君子,士林,斯文分爲不同的黨類,其內皆含有朱子性理學的性質,各類間有區域性的階層意識之差別傾向.如:近畿士林是"言官意識", 嶺南士林是"修己意識",湖南士林是"興趣意識"等. 記文的各類型之開展與서述的特性是山水記,山水游記類,山水記,山水游記類是以儒家的山水游覽觀與道仙的山水游覽幷存的.有此可知,山水之美的記述是從描述道體體得中所得的儒家之興趣與道仙之夢幻的氣분.游覽記中的自然山水的描述是以細이的實景描述爲主.所謂的記文是描述隨四時而變化的自然之美的散文.在其中, 山水之美的描述是由北宋畵家畵論家郭熙的山水畵論借鑒過來的"山水訓".能將這種記文寫得最好的是像韓愈那樣卽使不在現場,也可憑想象描述的善文者.從樓亭記類中則可看出記文作者藉以命名之說的思惟世界.而且樓亭是可觀賞四時之美的空間兼具“館宇之美”與“江海之美”的空間,타不但是儒家的觀物和辨物的空間也是可고翔于莊子的鴻몽世界而體會浩然之氣的物外空間. 官해,公廳記類可視爲是實用文,可是從記文中可看出作者們努力以任官職的身빈來推廣幷實踐儒家之“仁”的痕迹之官吏意識.此類記文屬布告用的文章,由此也可顯示出作者文筆的實力,這点可從對記文同期們的業績之讚文中得知. 書院,鄕校記類多以訓誨,勸戒爲主,就是薰陶意識比較强烈, 擧例來說:鄕校記是以勸勉未來欲成爲官吏的書生爲主.書院記是多以追求性理學式的完美主義爲主.將此具體來說旣是君子的四維意識,斯文的吾黨意識,師者的勸戒意識. 假記類是超越時空而構成的記文,他是藉由儒學經典內的聖人來表明作者的道德意志,旣是對歷史中的特定事件或特定人物的褒貶來達到寓言的效果. 對十六世紀的士林們來說,所謂的“自然空間”以個人而言是被認爲心性修養與道體窮究的觀物空間,以全體而言是認爲發揮儒家的牧民意識的空間.可是更値得注目的是關于方外的超越與解鬱的創作空間的認知,這種認知可與文氣聯在一起.將對自然空間的浩大與自覺微不足道的人類間之矛盾藉由創作來消解.文氣的槪念大多來自莊子的想法,以時間與空間的極大化與超越來表現之. 十六世紀士林的記文之“文以載道”的方式與文學觀,可從四書五經和性理書中조到其內也含有對人爲的情感之抑制樣相,使用四書五經旣是指將其內的勸戒與鑒戒視爲對自己的敎訓與勸戒,例如:『詩經』是自然界的優美,『周易』是四時的變易與宇宙循環的道理,『書經』是藉布告用公文來顯示善文者的自豪,『論語』是追求實踐哲學的修己治人,『春秋』是藉建筑之興建來作爲歷史性的鑒戒,對人爲情感的節制在文學上是載于漢唐文學的唯美風與哲理性的宋詩風格中,其主要的原因可從朱子性理學之五倫及小學敎育,性理書之學習與普及,朱子文學觀等被重視中得出,其內容是道本文末之主張與詞章學的排擊,理氣論之文學的形象化,唐宋八家文之典範等古文. 十六世紀的士林記文的特色是從浮誇,唯美的文風中脫離,將思想和文學結合,把宗經與明道理論包含在內的載道之文,所以雖然從表面上看好像是輕視文學而重視道的樣相,但將文學視爲“正心”的角度來看時,可猜出其威望,영外也可視爲帶動哲學思惟世界之文學形象化的過程而帶動散文文學發達的一種文體. 由上的分析,證明了十六世紀士林記文是由記文作者對記文體裁認知的擴展,使記文成爲富文學性的散文.這是因爲他們具體的將記文大部分列爲獨立的體裁,辨別作者的文才是以文氣的問題來操作,也就是說,記文是可以辨別作者文氣的散文體裁,更進一步來說藉記文來作爲當時文學時,散文文學的比重則可被提高,對當時的作者與文學史的史料之硏究,也有相當的助益. 對未來的展望是欲從對十七世紀記文的硏究中可得知本文的觀點是否得當.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