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란-
dc.creator조혜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25-
dc.description.abstract<三韓拾遺>는 老論인 安東 金氏 문중의 서얼 출신 작가 金紹行에 의해 1814년에 창작된 한문장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미 기존 연구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거론되어 온 바 있으며, 이 작품에 대한 당대 문장가들의 序跋은 조선 후기 소설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인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지껏 <삼한습유>의 서사 세계를 총체적으로 고찰한 본격적인 작품론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삼한습유>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론을 시도하는 데 있다. Ⅱ장에서는 <삼한습유> 출현의 문학적 배경과 작가의 저작 동기를 살펴 보았다. 18, 19세기 조선 문학의 전반적인 특징의 하나는 상층이 기층의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기층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양상을 나타낸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많은 문학 장르들이 소설로 견인되어 문학 장르의 습합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또한 소설에 대한 인식도 달라져 洪奭周, 金邁淳, 洪吉周 등 당대의 고문가들이 소설의 서발을 써 주기에 이르른다. 서얼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말미암아 평생올 울울하게 살았던 김 소행은 <삼한습유>에 대한 창작변을 쓴 '誌作記'라는 글에서 자신이 이 소설을 쓴 이유는 향랑의 열을 기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에 쓰일 곳이 없는 자신의 재주를 쏟아 놓기 위해서 창작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모든 재주를 동원하여 심혈을 기울여 썼다며 자신의 소설에 대한 자부심을 표명하여 소설의 작가라는 점에 있어 근대적인 작가의식을 보이고 있다. Ⅲ장에서는 <삼한습유>의 소설화 방식과 작품 세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삼한습유>의 소재 원천은 조선 肅宗 28년(1702)에 慶尙道 善山 지방에서 실제로 있었던 香娘故事이다. 향랑고사는 평민 여자인 향랑이 열녀로서 정려를 받았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어 사대부들에게 널리 수용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향랑고사를 소재로 한 漢文傳과 漢詩들이 많이 지어졌다. 이 작품들의 창작동기는 향랑의 열절을 기리는 것으로서 중세 회귀 의식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삼한습유>와는 전혀 다른 작품세계를 지니고 있다. <삼한습유>는 향랑고사를 소재원천으로 했으나 이 고사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작품이다. <삼한습유>는 그 배경을 신라로 설정하고 가난한 평민의 딸일 뿐인 향랑을 요조숙녀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갈등이 첨예화되고 주변 인물들의 비중이 커지며 등장인물간의 관계 속에서 사건이 진행되도록 하여 소설화가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삼한습유>의 장편화 방식은 향랑의 사적과 삼국 통일의 역사를 결구한 설정이다. 이는 작품 처음부터 계산된 것으로, 향랑의 주도 아래 삼국의 이야기가 연대기적으로 서술되도록 한 것이다. 고소설은 여타 다른 유형의 작품은 물론 역사소설까지도 대개 일대기적 구조를 취하고 있는 작품이 많은 반면, <삼한습유>의 역사 서술은 삼국의 이야기를 공히 두루 서술하는 연대기적 구조를 택하고 있다. <삼한습유>의 연대기적 역사 서술 방법은 <三國志演義> 등 중국의 역사 연의소설의 독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한습유>는 기존 서사 구조들을 수용하면서 그 유형성을 극복하고자 한 작품이며, 내용면으로 보면 傳奇小說의 전통 안에 있으면서 이를 발전시킨 작품이라고 하겠다. 謫降構造의 변형인 천상계/지상계의 반복 순환, 진지한 역사 의식과 상당량의 지식을 요하는 토론의 진행 등 夢遊錄의 전통, 婚事障碍主旨에 해당하는 神魔的 軍談 등이 바로 <삼한습유>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지식의 전개는 <삼한습유>의 특징 중의 하나로, 조선 후기 소설에 지식이 삽입되는 현상은 조선후기 지식의 확산 현상과 관련이 있다. <삼한습유>에 삽입된 지식은 서사의 앞 뒤 맥락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범주에 걸쳐 체계적인 서술을 하고 있어 작가의 백과전서적인 지식 성향을 알 수 있다. <삼한습유>의 표현적 특성을 보면, 우선 文體는 비교적 소박한 古文에 漢詩의 삽입이 많은 것으로서 傳奇小說의 문체적 특징을 나타낸다. 인물 형상화 방법은 사실적인 대화와 묘사, 그리고 대비되는 인물들을 설정함으로써 등장인물들의 개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의론적 대화체는 백과전서적 지식을 담는 도구로, 의론적 대화를 통해 작가의 생각이나 주장을 담아 냄으로써 작가의식을 또렷이 하고 작품에 비중을 더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Ⅳ장은 Ⅲ장을 토대로 하여 <삼한습유>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를 살피는 장이다. <삼한습유>는 주인공이 여성일 뿐만 아니라 여성인물들이 대거 등장하며 남성인물과 여성인물과의 관계에 있어 여성이 주도권을 행사하며 남성은 이를 따르는 순종적인 인물로 그려져 있어 흥미롭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再嫁禁止法이나 貞節 이데올로기로 억압당하였다. 性이나 身分은 선택할 수없는 문제이다. 작품에서 보이는 여성 인물에 대한 傾斜는 庶出로 조선의 중앙에 속하지 못한 작가의 경험이 여성에 대한 관심으로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한습유>는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많은 작품이다. <삼한습유>는 조선조 소설에서는 보기 드물게 신라만이 아닌 백제, 고구려의 역사에 이르기까지 삼국역사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을 보인다. 이는 작가가 중국 역사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를 중시했으며, 그것이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고소설의 관습을 거절하고 삼국 역사를 자재롭게 소설화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하겠다. 김 소행은 경직된 사고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작품에서 유교를 공박하고 불교나 도교를 긍정하는 것 같은 면이 있으나 이는 그가 불가적인 혹은 도가적인 세계관을 가져서라기보다는 경직되고 교조화된 유교 이념 자체를 거부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그가 刹魔公主의 魔道라는 제 3의 道에 대해 긍정적으로도 이해될 수 있는 언급을 하는 것에서 드러난다 <삼한습유>는 지식인 소설로서의 특징을 지녔다. 대부분의 고소설은 작가가 미상이며, 작품에서 어떤 작가의 고유한 작가의식을 찾는 것이 어려운 작품이 많다. 한문 장편소설인 <삼한습유>는 작가의식이 뚜렷하고, 작가가 문예물의 하나로 소설을 창작한다는 의식을 갖고 소설을 쓴 본격적인 개인 창작물로서의 소설이다. 이러한 <삼한습유>는 傳奇小說의 흐름을 이으면서 동시에 다른 기존의 서사 구조들을 자유롭게 변형, 수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환골탈태시키고 있다. 문예물로서의 소설 창작은 단지 소설이 양적으로 많이 유통되었다는 점에서만이 아니라 소설이 문학의 중심장르로 진입했음을 작품으로 입증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 <삼한습유>익 의론적 대화체는 몽유록의 문학적 전통을 이은 것으로, 이는 <談囊傳>을 거쳐 개화기의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車夫誤解> 등 이념지향적 정치소설의 토론체 형식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그동안 본격적인 작품론이 수행되지 않았던 <삼한습유>의 형식과 내용을 고찰하여 이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세기에 이르면 소설이 문학의 중심 장르로 진입하면서 <삼한습유>와 같은 문예물로서의 본격 소설이 출현하게 되었음을 밝혔으며, 김 소행이 보여준 소설 작가로서의 의식은 근대적 작가의식에 수렴하는 것으로 이같은 작가의 출현은 앞으로 다가올 소설시대를 암묵적으로 예고하는 것이라 하겠다.;<三韓拾遣> 是於一八一四年爲金紹行所創作的漢文長篇小說, 金紹行是屬於老論的安東金氏中庶孼出身作家. 這篇小說從來 受到許多硏究者的重視, 幷且當時的文學家給這篇寫出的序跋, 對於朝鮮後期小說史硏究有相當大的意義. 本論文的目的, 在於正式試探分析 <三韓拾遣> 的形式內容, 又以此作品論的結果爲基礎再抽出來作者的思想看法, 而考察朝鮮後期小說在歷史上的地位. 在第二章, 我考察了 <三韓拾遺> 出現的文學背景和作者的著作動機. 十八,九世紀朝鮮文化的特徵中, 特出的一點是上部階層人關心下層人的文化而接受其文化的優點, 又有一點是小說吸引了其他文學作品的長處. 因而對小說的認識與昔日不同, 洪奭周,金邁淳,洪吉周等當代大文豪都寫作過爲小說的序跋. 因爲不能脫離庶擊身分的桎梏,金紹行的一生過得滿優鬱. 他寫作過把 <三韓拾遣> 的創作動機記下來的'誌作記' 在那裡說, 他創作這篇小說的目的, 不是在於追慕香娘的貞節, 而是在於被世不用的自己的才華須要灌注的對象. 他又說過自己所有的才華都灌注到自己的小說, 而且對這一點他具有흔大的自負感. 從這點, 我們可以看到他具有近代性的創作意念. 在第三章裏, 考察了 <三韓拾遣> 的小說化方式和其作品世界. <三韓拾遣> 的題材源於香娘故事, 那就是於朝鮮王朝肅宗二十八年(1702)實際發生的故事. 香娘故事乃是平民女人受到貞閭的內容, 因此, 爲兩班士大夫所廣範受容, 結果, 以香娘故事爲題材的漢文傅記和漢詩多多出現了. 這垈作品的創作動機在於表揚香娘的貞節以呈現露出他們的封建性意識, 這與 <三韓拾遺> 的作品世界完全不同. <三韓拾遺> 確是源於香娘故事, 可是這與香娘故事完全不同的영一種作品. 香娘的作品背景是新羅時代, 把貧窮農人的女兒香娘描寫成爲窈窕淑女. 且把作品裏的糾紛要描寫更激烈而將配角的比重擴大, 事件進行在於登場人物之間, 總而言之, 把簡單的故事完全成功地變成長篇小說了. <三韓拾遺> 之長篇化方式原來由於香娘的事蹟和三國統一的歷史結構. 這是作者故意導出來的, 就是以香娘故事爲主之下, 三國的故事有次序地寫出來. 與古代小說的其他類型-樣, 歷史小說也取到-代記構造方式, 可是 <三韓拾遺> 的敍述方法取擇了湊合三國故事的連帶記構造方式. <三韓拾遺>的連帶記性歷史敍述方法, 大槪有關 <三國志演義> 等中國歷史小說被廣範流讀的傾向. <三韓拾遺> 採納旣有的敍事構造而又克服了타的常套性, 在內容上說起來, <三韓拾遺> 應該置於傳奇小說的傳統之中, 可是這比從前傳奇小說更進一步發展的作品. <三韓拾遺> 構成的因素就如此, 那是由謫降構造變型出來的天上界,地上界之反復循環, 對歷史的認眞談討, 知識程度相當高的討論, 這一點就是 <三韓拾遺> 沿襲夢遊錄傳統的痕迹, 又有該於婚事障碍主旨的神魔軍談等等. 知識的誇耀就是 <三韓拾遺> 的特徵之一. 知識揷入到小說裏乃是朝鮮後期小說的一般現象, 這有關到朝鮮後期以來出現的知識的擴散現象. 揷入到 <三韓拾遺> 裏的知識, 在小說裏緊緊有關聯與敍事構造的前後脈絡, 小說中所涉及的範籌흔廣範且有系統, 由此我們可以知道, 作者像百科全書-樣那마多彩的知識範圍. 要談討 <三韓拾遺> 在修辭上的特徵, 首先可說那本書採用比較樸素的古文加以揷入許多漢詩, 這就是一般傳奇小說在文體上的特徵. 對人物的形象化方面, <三韓拾遺> 採用逼眞的對話和描寫方式, 又設立各自各樣對比的人物形象以把登場人物的個性活生生地塑造了. 還有, 採用議論式的對話, 以可得到好像百科全書一樣裝成了흔那知識的效果. 作者用議論式的對話來說出 自己的思想和見解, 又據比以顯示了 自己的意識觀念, 而把作品的名聲再提高一些 在第四章, 把第三章的議論爲根據, 考察了 <三韓拾遺> 所顯示的作者意識和其在小說史上的意義. <三韓拾遺> 的主角是女人, 且在小說裡的登場人物中女人比男人還多. 有趣的是, 在小說裡女人指揮男人, 然而男人都順從女人. 朝鮮時代的女人都爲再嫁禁止法和貞節理念所犧性的對象. 性別或身分都是自己不能選擇的節目. 作者對女主角的傾注, 大槪由於庶孼卑賤身分的作家將自己的憤만排泄出來的結果. 不過, <三韓拾遺> 對歷史흔有關心的小說. <三韓拾遺> 與其他朝鮮時代的小說不一樣, 對新羅,百濟,高句麗的歷史講究得흔周到. 由此可以說, 作者不但對中國歷史,也對我國歷史흔重視, 結果, 他排斥了一般以中國爲小說背景的寫作習慣, 而以三國歷史爲背景而把타自由自在地小說化. 金紹行對固陋思想滿不喜歡. 在小說裡, 我們到處可以看到作者攻擊儒敎而肯定佛敎和道敎的寫作傾向. 可是這不因爲作者原來擁有情家或道家的世界觀, 而是由於他不要讚場固陋頑强的儒敎思想. 這可以驗證於小說中作者肯定刹魔公主的魔道的場面. <三韓拾遺> 都具有了知識分子小說的特徵. 大部分的古代小說作者不詳, 因而흔多作品中不容易拔到作者到底要說什마. 漢文長篇小說 <三韓拾遺> 具有明確的作家意識. 寫作之前, 作者已經擁有了文藝創作的認識. <三韓拾遺> 沿襲着傳奇小說的傳統, 同時, 又採用旣有的敍事構造而把타自在地變化,受容, 由此作品能得到脫胎換骨的結果. 這篇小說原本擁有文藝創作觀念的, 這在兩個方面上有意義. 其-有關小說流通構造的變化, 這種變化帶來小說被廣範流轉的現象, 영一方面的意義니, 蓋於我們據此可以提示驗證小說已經進入到全文學的中心部位上. 還有, <三韓拾遺>的議論式對話體沿襲着夢遊錄的傳統, 這經過 <談襄傳> 而到了開化時期出現的 <할子與癩子的問答>, <車夫誤解> 等帶有理念性的政治小說中, 再展顯了討論體的形式. 本硏究的目的, 在於談討從來不正式硏究過的 <三韓拾遺> 的形式, 內容, 以闡明這篇小說在小說史上的意義. 結果, 可以得到如此的結論. 到了十九世紀, 小說已經進入到了文學的中心部位, 困此, <三韓拾遺> 等正式文藝創作可以出現了. 金紹行所顯示的作家意識幾乎接近了近代性作家精神. 這些作家的出現, 可以說是一種豫告將來最繁盛的小說在地位上已經達到了什마程度.-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Ⅱ. 〈三韓拾遺〉의 출현 배경과 저작동기 A. 〈三韓拾遺〉출현의 문학적 배경 1. 기존 서사 양식의 소설적 수용 2. 당대 문학관과 소설 인식 B. 당대 작가 金紹行의 소설 인식과 〈三韓拾遺〉의 저작 1. 金紹行의 교유 관계와 학문 경향 2. 誌作記에 나타난 소설 창작 태도 Ⅲ. 〈三韓拾遺〉의 소설화 방식과 작품 세계 A.〈三韓拾遺〉의 구성과 전개 B.〈三韓拾遺〉의 소재 원천과 소설화 과정 1. 소재 원천으로서의 香娘故事 2. 소설화 과정과 장편화 방식C.〈三韓拾遺〉의 서사 구조와 그 특성 -------------------------------- 85 1. 기존 서사 구조의 수용과 유형성 극복 ----------------------------- 85 2. 백과사전적 지식의 전개 ------------------------------------------114 D.〈三韓拾遺〉의 표현적 특성 ----------------------------------------152 1. 傳奇小說的 문체의 수용 ------------------------------------------152 2. 인물의 구체적 형상화 --------------------------------------------160 3. 의론적 대화의 활용 ----------------------------------------------172 Ⅳ.〈三韓拾遺〉에 나타난 작가 의식과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 ------------180 A.〈三韓拾遺〉에 나타난 작가 의식 -----------------------------------180 1. 不遇한 인물에 대한 관심 -----------------------------------------180 2. 주체적 역사 의식의 모색 -----------------------------------------186 3. 경직된 사고에 대한 비판 -----------------------------------------192 B.〈三韓拾遺〉의 소설사적 의의 --------------------------------------199 1. 개인 창작물로서의 장편소설 출현 ---------------------------------199 2.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전통의 융합 ---------------------------------202 Ⅴ. 결론 -------------------------------------------------------------209 참고문헌 -------------------------------------------------------------217 중문초록 -------------------------------------------------------------2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15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삼한습유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i, 22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