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즐거운 생활' 교과서의 전통음악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즐거운 생활' 교과서의 전통음악 분석
Authors
정지윤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전통음악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2000 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과서 『즐거운 생활』1-1, 1-2, 2-1, 2-2에 실린 전통음악을 과거의 제6차 교과서와 비교하여 달라진 내용을 추출해내고, 그 악곡들이 아동들의 수준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제7차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음악 악곡들을 통해 저학년 아동들이 자연스럽게 전통음악을 익힐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전통음악 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음악 악곡을 기보방법, 장단, 구성음, 리듬 등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내용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제6·7차 교과서『즐거운 생활』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제7차 교과서는 전통음악의 비중이 높아지고 내용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많이 있었지만, 각 악곡을 4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개선된 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쉽고 재미있게 음악적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그림악보를 제시한 의도는 좋았으나, 다수의 곡은 너무나 음악적 개념이 불투명하여, 오선악보보다 악곡을 이해하기가 더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제7차 1학년 교과서에는 전통음악의 비중이나 장단 면에서 제6차 교과서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2학년 교과서는 전통음악의 악곡 수가 비슷한 수준이고, 특정 장단에 편중되어 있으며, 일부 악곡에서 리듬의 종류와 형태가 아동들의 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점 등이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제7차 교사용 지도서는 제6차보다는 전통음악 내용을 구체적으로 전달하였으나, 전통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아직도 미흡한 면이 많다. 전반적으로 제7차 교과서는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발전적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질 함양을 위한 폭넓은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edcational direc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 primary school class to help children in lower grade learn it more naturally.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we first investigate the sixth and seventh national primary school curriculum textbooks, 『Jeul-gur-un Saenghwal』('The Joyful Life') from the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lower graders'. In addition, we ar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its 1st version to the latest 7th revision. These works will be performed through comparing the musical contents of the seventh 『Jeul-gur-un Saenghwal』 textbooks of the 1st and 2nd grade with those of sixth curriculum textbooks and making sure what the differences are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Many improvements can surely be found in the seventh textbooks, which still leave something yet-to-be improved as the whole musical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by means of four criteria-musical notations, 'Jang-dans'(a group of specific beat stream), tones, and rhythms.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 is characterized much by its creative musical notation, 'Graphical score', but from its abstraction and simplifying property, it also brings the ambiguity of musical features which have to be clear at least to teachers and in some cases, it makes a few pieces harder to understand. Textbooks for the 1st graders can be regarded much improved since they obviously have more pieces of traditional music within them, including more suitable rhythms and Jang-dan's. But in the 2nd graders' textbooks, the por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is found to be no more than in the previous revision, weighing partially on some specific Jang-dan's, and in some songs, types and structures of rhythms are rather difficult regarding the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them. And the 7th curriculum textbook still have something to improve to help the music class teachers who are not the experts of the traditional music even though it contributes the concrete conceptions of traditional music contents. As a whole,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have shown positive perspectives of educating the traditional music with their new attempts and changes. To make it successful in the classrooms, there must be supportive programs for cultivating teachers' abilities and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