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분만 후 인슐린 분비능 및 감수성에 관한 연구

Title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분만 후 인슐린 분비능 및 감수성에 관한 연구
Authors
홍은순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2형 당뇨병의 주요한 병인은 인슐린 분비의 결함과 인슐린 저항성으로 이들 두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과 당뇨병 발병과정에서의 선행 여부는 아직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임신성 당뇨병은 모든 임산부의 2-4%에서 나타나고,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이 매우 높으며 40-60%에서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이 있었던 여성에서의 인슐린 분비와 감수성을 평가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의 병인을 규명함에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병인 규명을 위하여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분만 6-8주 후 75g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하여 내당능 상태를 평가하였고, 분만 후 10주에 정맥당부하검사를 시행하여 인슐린 분비능과 감수성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임신성 당뇨병 여성 22명은 분만 후 정상 내당능(11명)과 내당능 장애(11명)로 분류되었다. 2.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정상 내당능군과 내당능 장애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허리-엉덩이 둘레비, 혈압, 혈청 지질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내당능 장애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증가되어 있었고, 내당능 장애군 및 정상 내당능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공복 인슐린 농도가 감소되어 있었다(p<0.05). 3. 임신성 당뇨병 과거력이 있는 내당능 장애군에서 정상 내당능군에 비해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많았다(p<0.05). 4.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정상 내당능군과 내당능 장애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급성인슐린분비반응(AIRg) 및 췌장 베타세포 분비능(AIRg*SI)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5. 인슐린 감수성 지표는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정상 내당능군과 내당능 장애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6. 다중회귀분석에서 분만 후 내당능 상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없었다.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에서 분만 후 내당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어도 인슐린 저항성에 비해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임신성 당뇨병 및 제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인슐린 분비의 감소가 인슐린 저항성보다 선행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Type 2 diabetes mellitus(DM) is pathophysiologically characterized by defective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resistance. However, it is still under debate which of these abnormalities precedes the other in the evolution of type 2 DM.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for 2-4% of the previously normal population, this insulin resistance provokes glucose intolerance, which leads to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GDM). Women with a history of GDM are reportedly at high risk for future development of type 2 DM, and the cumulative incidence is 40-60%. So assessment of women with a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should help elucidate some of the underlying defects in insulin secretion or action in the evolution of type 2 DM. Glucose tolerance was assessed 6-8 weeks postpartum in 22 women with a history of GDM and 20 control subjects matched with age and weight using a 75-g glucose tolerance test(OGTT).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FSIGT) was done, and insulin secretion was measured as the acute insulin response to glucose(AIRg) and insulin sensitivity as minimal model derived sensitivity index(SI). AIRg*SI was used as a marker for β-cell function because AIRg can be modulated by SI.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GTT, the subjects with a history of GDM were classified into normal glucose tolerance(postpartum-NGT)(n=11)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postpartum-IGT)(n=1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HR(waist to hip ratio),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s among control, postpartum-NGT and postpartum-IGT group. Fasting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stpartum -IGT group compared to postpartum-NGT and control groups. Fasting insul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postpartum-NGT and -IGT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3. The percent of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ostpartum-IGT group compared to postpartum-NGT group. 4. AIRg and AIRg*SI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ostpartum-NGT and -IG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5. SI was lower in postpartum-NGT and -IG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6.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subsequent IGT were not found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the insulin secretory capacity of women with previous GDM was impaired even glucose tolerance restored to normal after delivery. The results suggest that impaired insulin secretion was a major pathophysiologic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GDM and type 2 D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