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남숙-
dc.creator최남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25-
dc.description.abstract오늘의 세계는 에너지, 자원 문제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고 오염되는 등 환경위기에 직면하고있다. 따라서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와 함께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주부들의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환경과 가정과의 관계를 조망하는 생태체계적 접근법을 살펴보고, 환경문제 해결의 근간이 되는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의 실태를 파악한 후,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생활양식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를 대상으로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수는 806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집단간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수준은 높지 않았는데, 주부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등의 변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20-29세 집단이 30세 이상 집단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게 나타났고, 취업주부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식 수준은 아주 높게 나타났는데, 주부연령, 교육수준, 가계소득, 아파트거주여부 등의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20-29세 집단이 30세 이상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계소득이 높아질수록,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에 환경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보전행동 수준은 높지 않았는데, 집단간 차이를 보여주는 것은 연령 뿐이었으며, 20-29세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히 30대 이상 집단과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넷째, 생활양식은 사회지향성, 절약추구성, 유행추종성의 세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지향성은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환경교육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환경보전행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유행추종성은 환경교육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환경의식이나 환경보전행동과는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인구학적 변수, 생활양식, 환경교육, 그리고 환경의식이 환경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계별 회귀분석에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생활양식 변수에 의해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환경교육과 환경의식도 개발변수로서 환경보전 행동의 설명력을 많이 증가시키지만 환경의식보다는 환경교육에 의한 설명력 증가분이 더 컸다. 환경보전행동에 대한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절약추구성, 환경교육, 환경의식, 사회지향성, 유행추종성, 연령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로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과모형의 복합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중 연령은 생활양식, 환경교육, 환경의식 변수들을 통한 간접효과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를 갖는데 반해 다른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은 간접효과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양식 변수들은 환경교육, 환경의식을 통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환경의식을 통한 간접효과도 가지고 있어서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논의할 수 있다. 첫째,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에서 나타난 연령에 따른 차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생긴 ‘빈곤과 풍요의 경험’ 차이 뿐만 아니라, 가족생활주기에 의해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었다. 둘째,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에 대한 단계별 회귀분석에서 생활양식 변수의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절약 추구성이 환경보전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보전행동수준에서 각 가정이 소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의 크기보다 각 가정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더 중용하다는 점과 함께, 일상적인 가정생활 속에서 절약추구적인 행동이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하는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환경보전행동에 대해서 사회지향성과 유행 추종성이 가지고 있는 상관관계는 환경의식행동 수행에 있어서 사회 여러 분야로부터 얻게 되는 새로운 정보와 지식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환경교육 수준은 환경보전행동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에 있어서 환경의식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의식의 형성을 통한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수준의 환경의식이 환경보전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기술에 관한 환경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폐기물의 효율적인 분류배출과 재활용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분류배출이 반드시 재활용으로 이어진다는 확신을 주부들이 갖도록 해야하며, 정부나 사회의 정책적인 뒤받침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폐기물 분류시설이나 재활용 업체의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면, 환경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와 함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환경교육,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강화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을 덜 받고 있는 연령이 낮은 주부, 교육수준이 낮고 가계소득이 낮은 주부, 비취업의 전업주부 등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경험을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환경교육이 실제의 환경보전행동과 연계될 수 있게 하는 생활교육과 제도적 뒤받침이 마련되어야 하고, 환경교육의 수준이 질적으로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풍요로운 생활양식이 자발적 절약을 선택하는 생활양식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우리 생활에서 귀중한 자원이 폐기재로 폐기되는 것을 자원 재활용으로 대체하여 할 것이다.;Present world is faced with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crisis caused by catastrophe of environment. It is an urgent time to give impetus to an ecological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to promote an action to preserve environment. This thesis is to examine factors which give influence to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 consciousen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of housewives. This thesis made a survey on housewives’s responses to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which would lay basis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 This thesis also examined variable modes of life in relation to socio-demography.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Seoulite housewives. Among them 806 cases a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group difference, interrelational difference, recurrence analysis, and routine analysis have been applied for research.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s relatively low, differences are shown according to variables of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Age group of 20-29 is very low compared with age group of above 30. Higher-educated group and employed group show higher mark. Second, Whe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high, differences are shown according to variables of age, education, income, and housing. Age group of 20-29 is low compared with age group of above 30.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shown higher to the group of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and apartment residents. Third, when environmental behaviour is low, group difference is shown only according to age. Age group of 20-29 is conspicuously low compared with age group of above 30. Fourth, as for mode of life, three diferent types such as socio-oriented, spare-life, fashion-oriented are examined. The group of socio-oriented type has keen inter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specially with environment education. The group of spare-life type has a keen inter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behaviour. The group of fashion-oriented type has an inter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but not with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Fifth,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de of life,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environmental behaviouris examined by the method of recurrence analysis. Research shows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variables of mode of lif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lso shows increased influence to environmental behaviour but environmental education has larger influence t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Relative influence to environmental behaviour is shown in the order of spare-life type,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ocio-oriented type, fashion-oriented type and age difference. Sixth, reseach method of routine analysis shows complex cause-effect relationship. Whi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difference, mode of life,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ther variables have only an indirect effect. Variables of mode of life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nvironmental education has not only direct effect to environmental behaviour but also has indirect effect throug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is analysis shows that there exists a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Above results of analysis provide basis of following discussions. First, the cause of difference of age groups shown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can not only be explained with the fact of different experience of poor and rich but also with the cycle of family life. Second, in research of recurrence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variables of mode of life show great influence, specially spare-life type is most influential to environmental behaviour. This indicates that value system and mode of life are more important than material resources of family life. This also shows importance of family education which can be related to spare-life type liv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behaviour with socio-oriented and fashion-oriented type of life is much concerned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 which come from every sector of social fields. Third, the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greater influence to environmental behaviour tha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nvironmental education may stimulat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Concrete and systematic knowledge and techniq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quisite in order to promot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hich would effect to environmental behaviour. Fourth, problem of effective classified salvages and recycling is suggested. Housewives need to have a conviction that classified salvages must be recycled to useful resources. Support of government and social policy should encourage building up of recycling compan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ffective handling of environmental problem i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ur.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long range environmental policy. More opportun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less educated low-aged group of housewives, low-income group, and house-keeping housewives. In order to get environmental education be effectively related to environmental behaviour, life-education and systematic support must be provided. Qu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also considered. In order to preserve our environment, the luxurious mode of life has to be changed to spare-life type of living. All valuable salvages must be recycled to useful resou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환경과 가정에 대한 생태계적 접근 --------------------------------- 8 B. 환경교육 --------------------------------------------------------- 13 1. 환경교육의 진전 ------------------------------------------------- 13 2. 환경교육의 유형 ------------------------------------------------- 16 C. 환경의식 --------------------------------------------------------- 22 D. 환경보전행동 ----------------------------------------------------- 25 1. 환경보전행동의 내용 --------------------------------------------- 26 2. 환경보전행동의 효과 --------------------------------------------- 36 E. 환경보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0 1. 사회인구학적 변수 ----------------------------------------------- 40 2. 생활양식 -------------------------------------------------------- 43 3. 환경교육 -------------------------------------------------------- 46 4. 환경의식 -------------------------------------------------------- 47 F. 연구문제의 설정 -------------------------------------------------- 49 Ⅲ. 연구방법 --------------------------------------------------------- 51 A. 척도의 구성 ------------------------------------------------------ 51 1. 사회인구학적 변수 ----------------------------------------------- 51 2. 생활양식 -------------------------------------------------------- 51 3. 환경교육 -------------------------------------------------------- 54 4. 환경의식 -------------------------------------------------------- 55 5. 환경보전행동 ---------------------------------------------------- 56 6. 복합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 58 B.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 58 Ⅳ. 결과 및 해석 ----------------------------------------------------- 60 A. 기초자료의 분석 -------------------------------------------------- 60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 60 2. 생활양식 -------------------------------------------------------- 61 B. 환경교육실태 ----------------------------------------------------- 67 C.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실태 -------------------------------------- 75 1. 환경의식수준 ---------------------------------------------------- 75 2. 환경보전행동실태 ------------------------------------------------ 76 D. 제 변수에 따른 환경의식, 환경교육 및 환경보전행동 ---------------- 80 1.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환경교육 ------------------------------- 80 2.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환경의식 ------------------------------- 82 3.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환경보전행동 --------------------------- 84 4. 생활양식과 환경교육, 환경의식, 환경보전행동의 상관 분석 --------- 86 E. 중회귀분석과 경로모형 -------------------------------------------- 89 1. 중회귀분석 ------------------------------------------------------ 89 2. 경로모형 -------------------------------------------------------- 97 Ⅴ.요약 및 결론 ------------------------------------------------------100 참고문헌 -------------------------------------------------------------108 부록 -----------------------------------------------------------------123 영문초록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6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가정 폐기물 분류배출행동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i, 15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