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구조분석

Title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구조분석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시간의 구조분석을 통해 여가생활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여가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의 효율적 여가관리를 위한 여가자원의 개발방안을 모색하였다. 자료는 1999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생활시간조사」이며, 연구대상은 55세 이상의 노인이다. 연구대상은 55세~64세의 노인을 노인 1기(9,485 case), 65세~74세의 노인을 노인 2기(5,225 case), 75세 이상의 노인을 노인 3기(2,469 case)로 구분하였고, 총 17,179 case의 시간일지로 여가생활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여가생활 영역은 통계청의 분류기준을 근거로 교제활동, 대중매체 이용, 일반인의 학습활동, 종교활동, 관람 및 문화 행사 참여활동, 스포츠 및 레져활동, 취미활동, 여가물품구입활동, 기타의 여가활동으로 나누었다. 이들에 소요된 시간량은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 T 검증으로 분석되었고, 활동인 비율을 근거로 시간대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여가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은 OLS 분석, Tobit 분석, Logistic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여가자원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부합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시간 중 노인 1기, 노인 2기, 노인 3기일수록 시간량이 늘어나는 하위 영역은 개인유지생활과 여가생활이었으며, 여가생활시간은 개인유지생활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노인 1기, 노인 2기, 노인 3기일수록 증가하는 하위 여가생활영역은 교제활동, 대중매체 이용, 취미활동이었으며, 스포츠 및 레져활동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전체 여가생활시간 중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나타나 주요 영역에 포함되었다. 여가생활이 집중되는 시간은 오전 11시~정오 12시, 오후 8시~오후 10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제활동에서는 노인 1기, 노인 2기, 노인 3기일수록 가족원 외의 사람과의 교제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오전 11시~정오 12시, 오후 3시~오후 5시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 이용에는 TV시청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고령일수록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집중 시간대는 오전 9시~오전 10시, 오후 9시~오후 10시이지만, 어느 시간대나 다른 여가영역에 비해 활동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 및 레져활동은 노인 1기, 노인 2기, 노인 3기일수록 걷기와 산책활동시간이 증가하며 오전 6시~오전 7시에 활동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일수록 활동인 비율이 줄어들고, 활동 시간대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취미활동은 휴식의 형태, 바둑이나 장기 등의 놀이에 주로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고령일수록 휴식시간이 늘어나 유의미한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취미활동은 주로 오전 11시를 시작으로 오후 3시~오후 5시에 집중되었다. 넷째, 비주요 여가영역의 활동인 특성으로 노인 여가의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일반인의 학습활동인들은 고학력의 배우자와 동거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비활동인에 비해 스포츠 레져와 여가물품구입시간이 많았다. 종교활동인들은 여성노인이 많고, 자가소유율이 낮으며, 대중매체이용이나 취미활동시간은 적고 학습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 및 문화행사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여성이 많고 자가소유율이 높으며 비활동인에 비해 대중매체 이용시간이 적었다. 여가물품 구입에 시간을 소요하는 노인들은 여성이 많고, 학력수준이 높으며, 무배우자가 많으나, 자가소유율은 낮았고, 비활동인에 비해 교제, 스포츠 레져, 취미활동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생활시간의 주요 영향요인은 성별, 연령, 연령2, 요일 특성, 학력, 배우자 유무, 직업유무로 나타났다. 남성은 대중매체이용, 스포츠 레져, 취미, 여가물품구입 영역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었으며, 여성은 종교와 관람 및 문화행사 참여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었다. 교제, 대중매체, 종교, 관람 및 문화행사 참여, 여가물품 구입에는 연령과 정적인 영향력을, 취미활동은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교제, 대중매체, 종교활동은 주말에 이루어지며, 일반 학습활동은 주중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매체 이용, 스포츠 레져, 일반 학습, 종교, 여가 물품구입시간과 학력은 정적으로, 취미활동시간은 부적으로 관련되었고, 특히 고학력일수록 종교활동시간의 증가현상은 뚜렷하였다. 교제, 대중매체이용, 스포츠 레져, 취미, 종교활동시간은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많았고, 무직노인은 모든 여가영역에서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를 소유하지 않은 노인은 대중매체, 종교, 여가물품 구입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노인 여가생활의 주요 특성을 요약할 수 있는데, 성별에 따른 노인의 여가생활패턴의 차이, 지나친 대중매체의 의존, 여가유형의 획일화·동시화를 들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제시된 노인의 여가자원 개발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통계적 상황이 고려된 여가프로그램의 개발이다. 노인의 주요 여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들을 기준으로, 성별 여가선호체계에 따른 프로그램, 독거노인, 부부노인, 대가족노인의 life cycle을 맞출 수 있는 가족유형별 프로그램, 은퇴여부를 기준으로 다양한 시간 선택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고학력의 노인의 경우 안정된 경제수준을 지닐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은 취미시간이 적고, 대중매체 이용과 스포츠 레져시간이 많으므로, 이들 선호체계의 파악은 여가산업체에 주요 마케팅 대상을 찾아내는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요일별 여가수요의 충족방안 마련이다. 주말에는 가족과의 모임이 잦고, 주변 친지와의 모임이 많아지기 때문에, 요일별 여가유형의 특성에 따라 평일에는 개인의 여가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주말에는 가족과의 융합, 공감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세대 통합적 여가프로그램이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 대중매체를 이용한 여가정보의 공급이다. 노인은 일반 성인에 비해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므로, 정보원의 활용에서 읽는 매체보다 보고 듣는 매체의 이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바람직한 정보원으로 권장할 수 있는 방안은 대중매체의 이용이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이해의 난이도, 시간대 편성에 따라 노인을 위한 여가정보의 효율적 공급을 꾀할 수 있다. 대중매체 이용은 오전 9시와 10시 사이, 오후 9시와 10시 사이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간뉴스의 방영 시간대를 전후로 노인 여가를 위한 다양한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가족과 함께 시청이 가능하며, 이 시간대를 제외한다면 오전에는 교제, 오후에는 취미 및 스포츠 레져 관련 생활정보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노인의 시청을 높일 수 있다. 네째, 노인의 여가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이다. 노인의 획일적 여가실태는 질적인 여가문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개인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는 여가여건, 여가환경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는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융합시키는 모습으로 발전해야 한다. 국외에서 실시되는 지역사회의 무료 여가교육, 노인 호스텔 프로그램(Elder Hostel Program), 세대통합 프로그램(Intergenerational Ties), 평생교육이나 자원봉사 등은 우리나라의 노인을 위해서도 도입이 권고된다. 다섯째, 노인 여가를 위한 인력공급과 서비스 개발이다. 노인을 위한 여가생활관리 전문가와 도우미 양성, 서비스 개발, 관련 인력과 서비스의 체계적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종교활동 노인을 노인의 여가활동 도우미 인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종교활동 노인들은 비활동인에 비해 참여 및 봉사활동 시간이 유의미하게 많았으므로, 노인이 노인의 심리와 신체적 상태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종교활동 노인의 인적 네트워크 결성과 활성화로 또 다른 인력 공급안을 마련할 수 있다. 여섯째, 여가시설의 공급과 체계적 관리, 네트워크화를 유도한다. 노인의 여가를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는 적절한 여가장소의 부족이다. 공원, 복지기관 등의 기존의 공공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은 일상의 여가를 즐기도록 하는 방안으로 적절하며, 이 외에 정부는 장기적 여가시설의 계획과 민간기업의 투자유치 등을 통해 새로운 여가시설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여가시설의 네트워크화로 공동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 공동 예약시스템, 홍보책자 발간, 정보와 인력 및 시설의 교류, 연합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인력의 공동 교육훈련 등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정비이다. 시설개발에 따르는 정책 및 제도를 정비하여 민간기업 등의 투자유치를 유도하고, 저가형 여가시설에 대한 창업이나 비영리 여가시설의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이 권고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관련 분야의 후속연구들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여가산업체에는 노인의 소비자 욕구 파악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노인의 복지제도를 위해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그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This study analyzes using pattern of leisure time for understanding of leisure life conditions of the Elderly, examined that major determinants of leisure time by using data collected as part of the 199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studied the plan of the Leisure resources development for the elderly. The elderly is defined as person over 55 and samples are classified three groups as "elderly group 1(55 to 64)", "elderly group 2(65 to 74)" and "elderly group 3(over 75)". The size of total samples is 17,179. Leisure activities are classified acquaintance, using mass media, learning, religious activity, participation of cultural event, sports leisure activity, dilettante life, consumption for leisure activity and etc. by the standard of the 199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t-test,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obit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According to our analyses : (1) The elderly spend more time in personal life and leisure activity than others. In particular, the elderly group 2 and the elderly group 3 spend more time in it than the elderly group 1 significantly. (2) The elderly spend more time in acquaintance, using mass media, sports leisure activity and dilettante life than other leisure time. Especially, in elderly group 3, these are the domain elements of leisure life. Most elderly enjoy leisure activity between 11 a.m. and 12 p.m. and between 8 p.m. and 10 p.m. (3) In acquaintance activity, the elderly spend much time with freinds or his colleagues mainly. Also, the elderly group 3 spends more time in acquaintance than the others. Most elderly enjoy acquaintance activity between 11 a.m. and 12 p.m. and between 8 p.m. and 10 p.m. The elderly spend much time in watching television as a series of using mass media and closing to higher elderly group, it increase significantly. Most elderly enjoy watching television between 9 a.m. and 10 a.m. and between 9 p.m. and 10 p.m. The percentage of person using mass media is higher than other leisure activities. Closing to higher elderly group, the time for walking and taking a walk increase in activity for sport leisure. Most elderly are more active between 6 a.m. and 7 p.m. However, closing to higher elderly group, the percentage of active person decrease and the range of activity time is various. In a dilettante life, the elderly spend most time in a rest and game such as pabuk or changgi. Starting around 11 a.m., it is focused on between 3 p.m. and 5 p.m. (4) In the person of learning activity, the elderly who live together spouse and have the higher education degree, spend more time in learning. Also, they spend more time in sports leisure and consumption for leisure activity compared with the elderly of non-learning activity. In religious activity person, there are many female elderly and the ratio of home owner is lower. They spend little time in using mass media but much time in learning. In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various cultural events, there are more females and home owners than non-activity person. However they spend little time in using mass media. In the elderly spending time in consumption for leisure activity, the number of female and single is higher but the ratio of home owner is lower and they spend more time in acquaintance, sports leisure activity, dilettante life compared with non-activity person. (5) The main effective fators of leisure activity time are gender, age, age2, characteristic by a day of week, education degree, having spouse or not and having occupation or not. The male spend more time in using mass media, sports leisure, dilettante life, purchasing of leisure products but the female spend more time in religion, cultural events. Ag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quaintance, using mass media, lireligious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cultural event, but negative effect on dilettante life. We found that acquaintance, using mass media, learning, religious activity is done on weekends while normal learning activity in weekdays. The education degree had a positive effect on using mass media, sports leisure, normal learning, religious activity and time for purchasing leisure product but negative effect on dilettante life, especially we could fi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ime for religious activity. The single elderly spend more time in acquaintance, using mass media, sports leisure activity, dilettante life, religious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jobless elderly spend much time in all leisure area. The elderly who don't own home, spend more time in using mass media, religious activity and consumption for leisure activity. Consequently, to summari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life of elderly, the difference of leisure life pattern by age, excessive dependence on mass media, the uniformity and simultaneity of leisure style. As a result, this study group for the plan of Leisure resources development for the elderly : (1) It is a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 considered population statistic situations of elderly. (2) It is the arrangement of satisfaction plan. (3) It is the supply of leisure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ass media. (4) It is a effort to settle down leisure culture. The free leisure education, Elder Hostel program, intergenerational Ties, life time education and volunteering work operated overseas, are also recommended to introduce in korean for elderly. (5) It is a supply of manpower and service development for elderly leisure. (6) It is a suppl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leisure facilities and inducement of networking in the small sized leisure industry. (7) It is a equipment of related law and system.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allow researchers to have a unique view of the elderly leisure and will contribute to elderly well-being. This study is a useful instrument to researcher, enterpriser, policy ma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