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희-
dc.creator김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2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presenting an objective and reasonable standard of evaluating the labor force of married woman by means of estimating reservation wage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of household production on time allocation and statistical techniques in the field of labor force. Research into what influence the reservation wage rate has on the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the labor force of married woman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labor policy for woman.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up a questioning material for 2,514 married women(813 working women and 1,701 women without work) and analyzed the result using the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executed by Korean Labor Institute in 2000. To analyze the result, various analyzing methods were used including Frequency, Percent, Means, Probit analysis, OLS analysis, t-test analysis and ANOVA. Following its purpose, the topic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he estimation of reservation wage, evaluation of married woman's labor force and its utilization. The questions can be specified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factors deciding the equation of reservation wage estimation? 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reservation wage equation and the grasp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equation. Secondly, how does the estimated reservation wage rate show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Thirdly, how can the labor force of woman be evaluated within the institution of private insurance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household work of married woman in terms of institution. Lastly, what are the possibilities of the reservation wage rate in respect of utilization of woman's labor force? For the last question, comparison between the reservation wage rate of working women and that of women who are not in the labor market.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nalysis of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equation to estimate the reservation wage revealed several factors had meaningful influence. The factors include age(+), age squared(-), education level(+), health(+), types of employment of spouse : whether the spouse is wage worker(+), nonwage worker(+) or unemployed(-), earning of spouse(-), income of household from other source(-), household asset(+) and debt(+), home ownership(-), presence of children under 6(-). Result of estimated equation of the hourly wage rate of married woman showed the 39 percent R-squared. Factors affecting the hourly wage rate were age(+) and age squared(-), whether or not the subject graduated from 2 year college course(+), the occupation status : temporarily worker(-), labor force experience(+), firm size(-), industry, occupation and etc. R-squared of market work labor equation was 29 percent, and factors influencing the market work labor hours were the occupation status : temporarily worker(-), daily worker(-), industry and occupation. In the case of hours of market work equation, there were no effects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s and household-related variables of working women, and the result is caused by the character of labor market in South Korea in which, when a woman participates in the labor market, the amount of labor supply is determined not by the individual choice but by the market situation. Secondly, the above process resulted in the reservation wage equation as in formula 4. The influence of regression coefficient calculated to estimate reservation wage rate had positive relevance to age, education level(whether or not the subject graduated from 2 year college), residence area, occupation form of spouse(whether the spouse is wage worker, non-wage worker, or not employed), work hours, family size and presence of children under six. Age squared, education level(under the level of middle school graduation), income of spouse, household non-earned income, house ownership and weekly work hours had negative relevance to the influence of regression coefficient. Reservation wage rate of the whole married women was ₩5,167, and that of the working women was ₩4,032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female worker's average wage rate per hour, ₩5,819. The reservation wage rate of women who were not working was ₩5,709, similar to that of female worker's average wage rate per hour. Thirdly, comparison between the transition of estimate reservation wage rate of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an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showed that reservation wage rate of women of age from 30 to 34 who are in the period in which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decreases was the highest and slowly decreased after that perio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ncreased between the age of 35-39 in which reservation wage rate decrea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continually increased though the gap between the reservation wage rate and market wage rate grew up. Fourth, reservation wage rat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investigated groups following individual-related and household-related variables of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In the case of working women,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health, presence of children under 6, children type, earning of spouse, household asset and debt. In the case of non-working women, family size, whether or not spouse is working, household non-earned income and house ownership plus the above factors had influence on the reservation wage rate among groups. Research into the utility of reservation wage in the institutional respect of economic evaluation of unpaid household labor of married women and in the respect of policy of utilization of married women's labor force showed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average value of unpaid household labor was calculated about ₩738,833 per month. Specifically, working woman's average value of unpaid household labor was ₩427,000 and non-working woman's one was ₩1,054,000. The calculation was aimed at evaluating and reflecting the labor force of married women in policy making. Secondly, evaluation of unpaid household labor uses reservation wage method in which individual condition of married woman is regarded to calculate the average monthly income used to determine the imposition standard of insurance premium and allowance, and the method seems useful as a objective index for the proper evaluation. Thus, continuing accumulation of objective data and social agreement confirming the labor force of non-working women's unpaid labor will be used to make labor force of married women evaluated within the institution. Thirdly, result of evaluating the amount of labor evaluation in the existing judicial precedent of claim for damage by means of reservation wage rate revealed that amount of the of damages were only 74 percent compared to that which the damages are estimated by reservation wage rate. Legislation of more objective channel and notification of unpaid household labor evaluation by means of reservation wage rate reflecting individual household condition will readjust and actualize more impartial compensation for the damage of women. Fourth, investigation into the transition of reservation wage rate of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at re-entrance of women to market work after child birth and rearing is increasing. Increasing gap between reservation wage rate and market wage rate despite such increase in the women's re-entrance to market work implies that married women who regain the job after the break off of their job enter the inferior and poor labor condition. Policy making and its execution, therefore, should be directed toward lowering reservation wage rate or raising market wage rate, that is, decreasing gap between the two in order to utilize the labor force of married women. There are several proposition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legislation reservation wage in institution and policy making. Firstly, legislation of reservation wage appear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caused by the gap between the occupation-related costs and those of law of opportunity cost including involuntary unemployed and non-monetary factors. Relevance of the legislation to children-related variables means that it can be used to reflect and evaluate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condition of married women. Secondly, existing problems of failure in financial management of pens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four social insurance seem to make it untimely to apply the proposition of this study for the practical situation. However, if the problem of social insurance is gradually solve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nd non-working women will be included in the range of formal membership. Thirdly, in case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indemnity in the private insurance is necessary, approach based on the reservation wage method will be used as an objective means of considering the individual household condition of married women and determine the standard of daily, monthly and yearly amount of indemnity. Fourth, policies making it possible for women to maintain their occupation in spite of marriage and child birth are related to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lowering the fixed cost concerning working women's occupation and level of non-working women's reservation wage. Several propositions related policy making include expanding the institution of maternal protection and socializing the cost concerned. At the same time, tax support for the business proprietors to make the employment cost of men and women equal should be introduced. Importance of child-care policies related to the child raising should also be regarded to make other policies effective. The present child-care policies are not appropriate enough to guarantee the continuous occupation of married women, and diverse support of government in forms of tax benefit, aid to the cost of institution of day-care centers and their administration should be carried out along with the flexible application of legislation concerned to the condition of firms and their owners. Most of all, employment condition is too stiff and closed in South Korea, making the reentrance of married women to the labor market after pregnancy, child birth and child-care even harder, so the supporting policy regarding these women should be produced.;본 연구는 시간배분에 관한 가계생산의 이론적인 모델과 노동공급분야의 통계적인 기법을 근거로 유보임금을 추정함으로써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에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와 활용에 유보임금률이 어떠한 가능성을 가지는지 제도적인 측면과 정책적인 측면에서 논의해 봄으로써 여성노동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2000년에 실시된 한국노동패널조사 3차 자료를 이용하여 기혼여성 2514명(취업여성 813명, 미취업여성 17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Probit분석과 OLS분석, t-test 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유보임금률의 추정과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부분과 이의 활용부분으로 나누어 수행되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혼여성의 노동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혼여성의 유보임금 추정함수의 결정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두 번째, 추정된 유보임금이 기혼여성의 개인 및 가계특성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가치평가를 통해 사보험 제도내에서 여성의 노동력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정책적 측면에서 취업여성의 유보임금률(W=W*의 기본가정에 의해 시장임금률임)과 미취업여성의 유보임금률의 비교결과를 통해 여성노동력 활용의 측면에서 유보임금률이 갖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보임금을 추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이루어진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결과, 연령(+), 연령제곱(-), 교육수준 가변수(+), 건강상태(+), 배우자의 취업형태: 임금근로자(+)·비임금근로자(+)·미취업(-), 배우자의 소득(-), 가계의 비근로 소득(-), 가계의 자산(+) 및 부채(+), 주택소유(-), 만6세미만 자녀유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임금을 추정하기 위해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진 기혼여성의 시장임금과 노동시간 함수의 추정 결과, 기혼여성의 시장임금함수의 설명력은 39%로 나타났으며 시장임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연령제곱(-), 전문대졸이상(+), 종사상의 지위: 임시직(-), 근속년수(+), 기업규모(-), 산업, 직종 등이었다. 기혼여성의 시장노동함수의 설명력은 29%였으며, 취업여성의 시장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사상의 지위: 임시직(-)·일용직(-)과 산업, 직종이었다. 노동시간함수의 경우 취업여성의 개인관련변수와 가계관련변수의 효과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 나라의 경우 일단 노동시장에 참여한다면 노동공급량은 개인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시장상황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정된 유보임금 방정식은 본문의 모형식(4)와 같으며, 유보임금률 산정을 위해 계산된 회귀계수의 영향력은 연령, 교육수준: 전문대졸이상, 거주지역, 배우자 취업형태: 임금근로자·비임금근로자·미취업자, 배우자의 근로시간, 가족크기, 만 6세미만 자녀유무와 같은 변수들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다. 연령제곱, 교육수준: 중졸이하, 배우자의 소득, 가계의 비근로소득, 주택소유, 주당노동시간은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혼여성의 유보임금률은 5,167원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여성의 경우 4,032원으로 2000년 여성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임금률(5,819원)보다 낮은 편이었다. 미취업 여성의 경우 5,709원으로 취업여성보다 높은 가격이었으며, 여성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임금률과 비슷한 수준으로 산정되었다. 세째, 취업·미취업 여성들의 추정된 유보임금률의 추이를 경제활동참가율과 비교한 결과, 예상했던 것처럼 경제활동참가율이 감소하는 시기인 30-34세에 미취업여성의 유보임금률은 가장 높다가 그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보임금률이 감소하는 시기 35-39세 사이에 경제활동참가율은 다시 높아지며 이후 유보임금률과 시장임금률 사이의 차이가 계속 커짐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넷째, 유보임금률은 취업 및 미취업여성의 개인적, 가계관련변수에 따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여성의 경우는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만 6세미만 자녀유무, 자녀유형, 배우자의 소득, 가계의 자산 및 부채상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미취업여성의 경우는 이 변수들외에 가족크기, 배우자 취업상태, 가계의 비근로소득과 주택소유에 따라 유보임금률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무보수가사노동 경제적 가치평가라는 제도측면과 기혼여성의 노동력 활용이라는 정책측면에서 유보임금의 유용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의 기혼여성의 노동력을 평가, 반영하기 위하여 유보임금법을 이용하여 무보수 가사노동의 월 평균 가치를 산정한 결과, 약 738,833원으로 계산되었으며 취업여성의 경우 427,000원이었고 미취업 여성의 경우 약 1,054,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보험 내에서 보험료 부과기준 및 보험급여수준 선정에 이용되는 표준 월소득액 산정시 기혼여성의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유보임금법을 이용한 무보수 가사노동의 평가는 이에 관한 객관적인 지표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무보수 노동에 종사하는 미취업여성의 노동력을 입증하는 객관적인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부단히 도출해 나간다면 기혼여성의 노동력을 제도권내에서 평가받게 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째, 유보임금률을 이용하여 기존의 손해배상청구 판례의 노동력 평가와 그 액수를 비교한 결과, 기혼여성에 대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손해배상금액은 유보임금률로 산정할 경우에 비해 7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여성들의 개별적인 가정상황을 반영한 유보임금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무보수 가사노동평가 채널과 고시가 법제화된다면 이들이 직면하게 될 손해배상에 보다 공정한 보상이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취업 및 미취업여성의 유보임금률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출산과 자녀양육이후 기혼여성의 시장노동으로의 재진입현상이 증가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보임금률과 시장임금률간의 차이는 커지는 것은 경력단절 후 재취업하는 기혼여성이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진입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인력활용을 위해서 유보임금률을 낮추거나 시장임금률을 높이는 즉, 이 둘 사이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유보임금법의 제도적 정책적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보임금법은 기혼여성의 무보수가사노동의 가치평가에서 시장대체비용법이 갖는 취업관련 비용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와 비자발적 실업자나 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비금전적 급부 등 기회비용법의 문제를 적절히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관련변수와의 관련은 유보임금법이 기혼여성의 개인과 가계의 개별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현재 사회보험이 처해있는 연금재정운영 실패, 4대 사회보험의 통합관리운영에 관한 문제들로 인하여 본 연구의 제안을 적용하기에는 시기적으로 빠르다. 그러나 앞으로 사회보험의 문제들이 단계적으로 해결된다면 본 연구의 결과가 객관적 지표로 활용, 미취업여성 역시 정식적인 가입자의 범위에 포함되어 연금수급권 등을 행사할 수 있게 단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사보험 제도의 손해배상액 산정이 필요한 경우 유보임금방법에 의한 접근은 기혼여성들 개별적인 가정상황을 고려하여 일별, 월별, 년별 보상액의 기준을 정하는 객관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결혼·출산에도 여성들이 계속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대표적인 정책은 취업여성의 취업과 관련한 고정비용과 미취업여성의 유보임금수준을 낮추어주는 모성보호와 관련된 정책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책적으로 몇 가지 제안을 하면, 우선 모성보호제도의 확대와 그 비용의 사회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와 동시에 여성과 남성의 고용비용을 동일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업주에 대한 세제 지원 역시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모성보호와 관련한 정책들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자녀양육 및 보육관련 정책의 중요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겠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보육관련정책 역시 기혼여성의 지속적인 취업활동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미흡한 상태이므로 기업주 지원의 육아서비스가 다양화되도록 시설설치와 운영비뿐 아니라 세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지원이 이루어지게 하고 관련법의 적용도 사업장과 사업주의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 나라의 경직·폐쇄된 고용시장 여건상 임신·출산·육아를 이유로 퇴직한 경우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 = 6 B. 유보임금에 관한 논의 = 17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문제의 설정 = 31 B. 분석자료 = 31 C. 분석모형의 설정 및 측정도구의 구성 = 33 D. 자료의 분석 = 45 E. 조사대상 기혼여성의 일반적인 특성 = 46 Ⅳ. 기혼여성의 유보임금 추정 결과 = 52 A. 유보임금의 추정 = 52 B. 개인 및 가계관련변수에 따른 유보임금 = 62 Ⅴ. 유보임금의 제도적 및 정책적 활용 = 70 A. 제도적 측면 :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 = 70 B. 정책적 측면 : 기혼여성의 노동력 활용 = 80 Ⅵ. 결론 및 제언 = 86 참고문헌 = 93 부 록 = 101 영문초록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34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보임금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노동력 평가 및 정책적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